• Title/Summary/Keyword: 수행공학

Search Result 14,102, Processing Time 0.05 seconds

Comparison between at-site frequency analysis and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t Gangwon Province (강원도에서의 지점빈도분석과 지역빈도분석의 비교)

  • Seo, Dong Il;Kim, Sang Ug;Jeon, Young Il;Han, Jae 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05-205
    • /
    • 2023
  • 지역 빈도 분석과 점 빈도 분석은 하천 기본계획 및 수공 구조물의 설계에 있어 재현기간 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이다. 점 빈도 분석은 자료의 수가 부족하여 높은 재현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2019년도부터 사용되고 있는 지역빈도분석 방법은 이러한 점을 보완해주고 있다. 지역빈도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동질성을 확인하는 과정이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이러한 동질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K-means등의 군집분석과 L-moment 법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두 방법 간의 정확성은 비교가 어려우나 서로 간의 장점, 단점과 결과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산간지역이 많은 강원도와 같은 지역에 대한 확률강우량 산정의 적절한 방법을 판단해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역 빈도 분석은 강원도에 위치한 48개 관측소의 강우 자료 수집 후 고도, 위치, 지속시간 별 강우량을 변수로 지정하고 K-means 분석을 통해 6개의 군집으로 구분하여 수행되었다. 이질성 척도는 관측 자료와 500번의 모의 수행을 통해 결정하였다. 이후 분석된 군집이 동질한 경우 확률분포형에 적합시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점 빈도 분석은 지역 빈도 분석에서 결정된 군집에서의 최대 강우량과 최소 강우량 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점빈도분석과 지역빈도분석의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두 가지 분석 방법에 따른 차이의 발생원인 및 특성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 PDF

Experimental Study for Toe Stability of Composite Structure under Oblique Incident Waves Conditions(Head of Breakwater) (경사입사파 조건에서 혼성제 근고부 안정성 실험(제두부))

  • Lim, Ho Seok;Kim, Yeon Il;Lee, Jong 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03-303
    • /
    • 2020
  • 국내의 주요 외곽시설은 대수심화 및 설계외력의 증대 등으로 경제성 및 안정성 등의 확보를 위해 혼성제 형식의 구조물을 적용하는 사례가 주를 이루고 있다. 혼성제 근고부 안정성과 관련해서는, 설계파에 대한 안정적인 피복재 중량을 구하는 것이 설계상 중요하다. 기존의 직각 입사파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어 왔으나, 경사 입사파 조건에 대한 검토 사례는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직각입사 뿐만 아니라 경사 입사파에 대한 근고부 중량산정식으로 확장된 Tanimoto식을 적용하고 있으나, 수리실험과 중량산정식에 대한 오차가 발생하고 있어 수리실험을 통해 기존의 산정식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사입사파 조건에 따른 혼성제 제두부 구간의 피복재 안정성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설치수심은 0.3m 수심으로 고정하고, 입사각도를 0°, 30°, 45°, 60° 및 75°로 변화시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체 연장 10m의 모형에서 종점부 1m 구간을 실험구간으로 설정하고, 피복재의 종류는 피복석(50g), 콘크리트 피복블록(Tetrapod, Tripod)를 사용하였으며, 파랑조건은 불규칙파를 적용하였다. 주기 및 파고를 변화시켜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는 제두부 구간에 피복된 피복재의 구간별 피해율을 분석하기 위해 구역분할도 적용하였으며, 확장된 Tanimoto식과 비교분석하여 중량산정식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PDF

레이더 영상 기반 딥러닝을 이용한 물체 인식

  • 이유경;이창민;양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8-3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비전 기반의 딥러닝 객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속초해수욕장에서 수집한 레이더 이미지에서 선박, 섬 및 부유체에 대해 탐지(Detection), 인식(Recognition)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2021년 8월에 수집한 레이더 영상을 이용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움직이는 물표와 섬 등을 구분하였다. 일부 환경적인 제약에 따라 에러 발생이 있었지만, 향후 현재까지 수집한 레이더 영상을 추가하여 정확도를 높일 예정이다.

  • PDF

Development of Paint Quality Inspection Application using Microsoft Power Platform (Microsoft Power Platform을 이용한 도장 품질 검사 애플리케이션 개발)

  • Seung-Woo Koh;Hwan-Seok Choi;Gyeong-Ryo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1104-1105
    • /
    • 2023
  • 조선업계에서 전문 인력 수급난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이는 선박의 검사에 차질을 빚었고 해양 오염과 선박사고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안전 검진 수행에 AI 이미지 인식 기반 진단 모델을 적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비전문가도 품질 진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공학교육인증을 위한 정보보호학 심화프로그램

  • Chung, Weon-Il;Ha, Jae-Cheol
    • Review of KIISC
    • /
    • v.19 no.1
    • /
    • pp.75-82
    • /
    • 2009
  • 공학 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여 국제 경쟁력을 갖춘 공학기술 인력을 배출하기 위해 한국공학교육인증원에서는 교육프로그램 기준과 지침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인증 및 자문을 수행하고 있다. 본 고는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공학교육인증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호서대학교 정보보호학과에서 운영하고 있는 정보보호학 심화프로그램에 관하여 기술한다.

Database Education through Project-Based Learning (프로젝트기반학습을 통한 데이터베이스 교육)

  • Kim, Eun-Gyu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3 no.2
    • /
    • pp.47-52
    • /
    • 2011
  • Recently,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ngineering education, it is a trend to get out of teacher-centered, traditional pedagogical strategy which emphasizes knowledge delivery and to utilize diverse pedagogical strategies such as project-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nd so on. Especially utiliz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PBL) that is very effective to improve practical ability by doing projects which students can apply their knowledge learned in class has been increasing. By the way, although students work on one or more projects in your course, only the fact shouldn't say that you properly utilizes PBL. That is, many teachers make students perform projects in their courses, but only a few teachers properly utilize PBL. This paper presents PBL procedures, evaluation criteria on project subjects, an evaluation method of team project, an evaluation table of PBL accomplishment, etc. based on many years experience in PBL as a guideline for PBL in engineering education. Also, this paper proposes some complements for better PBL by analysing strength and weakness of PBL.

  • PDF

Discrete Event Simulation based Equipment Combination Optimization Method - based on construction equipment performance estimation of the Construction Standard Production Rate - (이산형 이벤트 시뮬레이션 기반 최적의 건설장비 조합 도출 방법 제시 - 표준품셈 건설기계 시공능력 산식을 기반으로 -)

  • Ko, Yongho;Ngov, Kheang;Noh, Jaeyun;Kim, Yujin;Han, Seungwo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3 no.6
    • /
    • pp.21-29
    • /
    • 2022
  • Productivity estimation of construction operations is crucial to successful project delivery. Especially in the preconstruction phase, the adequacy and effectiveness of plans directly affect the actual performance of operations. Currently, productivity estimation is conducted by referring to existing references such as the Construction Standard Production Rate.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omptly apply changing conditions of operations when using such references. Moreover, it is difficult to deduce the optimal combination of construction machinery for the given condition. This paper presents a simple simulation model that can be used to generate productivity data that considers site conditions and construction equipment combination. The suggested method is expected to be used as a decision making assisting tool for practitioners who rely on estimations using the Construction Standard Production Rate when establishing construction plans using heavy machinery such as backhoes, loaders and dumptrucks.

A Case Study on the Enterprise application of Software Engineering's Best Practices for a new understanding of Practical Software Engineering (실용적 S/W공학 효과의 재인식을 위한 Best Practices 활용 사례연구)

  • Chang, Joo-Kwan;Park, Sang-Yeob;Choi, Jeong-Il;Kim, Ki-Jung;Park, Jai-Hyoung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248-253
    • /
    • 2008
  • 현재 IT서비스업체에서 주요사업으로 수행중인 S/W의 개발분야에서 S/W공학은 마치 현실과 동떨어진 이론, 지식으로만 인식되고 실제 S/W공학의 효과를 인식하고 활용하는 사례가 극히 드문 것이 현실이다. LG CNS에서는 이러한 현실에서 실용적인 S/W공학을 재정의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사업수행을 통해 얻은 S/W공학 측면의 사례를 발굴하여 이를 전사적으로 확산시키는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T서비스의 전사적 측면에서 실용적인 S/W공학의 효과성을 재인식시키기 위한 방법론 측면의 접근사례를 소개한다.

  • PDF

Position Tracking Control of a Moving Table Using ER Brake/Clutch (ER 브레이크 및 클러치를 이용한 이송 테이블의 위치추적제어)

  • Choi, S.B.;Lee, H.G.;Kim, S.L.;Cheong, C.C.;Han, M.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5 no.11
    • /
    • pp.208-217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ER 브레이크와 ER클러치를 피드백작동기로 사용하여 이송테이블의 위치 추적제어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아라빅 검(arabic gum)계통의 ER유체를 자체조성한 후 전기장에 대한 빙햄(Bingham)모델을 실험적으로 도출하였다. 빙햄모델에 근거하여 평판형의 ER브레이크와 실린더형의 ER클러치를 설계 제작하였으며, 계단입력(step input)전기장에 따른 출력토오크특성을 통하여 이들 작동기의 동적모델을 얻었다. 이들 작동기와 연계된 이송테이블시스템의 운동지배방정식을 유도한 후 위치추적제어를 위한 슬라이딩모드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제어기 설계시 이송해이블의 부하질량 변화에 대한 시스템 불확실성과 마찰력을 고려하여 제어성능의 강건성을 보장하도록 하였다. 제안된 제어시스템의 제어영역(control bandwidth)을 주파수 영역에서 고찰한 후 여러 레적에 대한 위치추적제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Accuracy Analysis and Comparison in Indoor Localization Utilizing Bluetooth Beacon and UWB (블루투스 비콘과 UWB의 실내측위 정확도 비교 및 분석)

  • Byun, Seok-Ju;Yoo, Ji-Hyeon;Kim, Ye-Bin;Park, Yang-Bae;Lee, Ye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183-186
    • /
    • 2021
  • 현재 IoT의 발달로 인해서 많은 위치기반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고 이러한 서비스들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 획득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실내 환경에서 사용자의 위치 획득을 위한 여러 장치들 중 블루투스 비콘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비콘은 저전력으로 수명이 길고 설치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비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자체의 불안정성과 수신신호에 여러 잡음들이 섞이는 문제점 때문에 측위 결과에 큰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단점도 있다. 한편, 최근에는 보다 원할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UWB 기능이 스마트폰에 내재되어 나오면서 사용자에게 점차 보급되는 추세이다. UWB는 블루투스 비콘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전력소모가 많지만 측위에서의 높은 정확도를 얻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콘과 UWB의 두 방식을 이용하여 실내측위를 수행할 때 실제 측정을 통해서 실내 전파수신 환경을 분석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내 전파수신 환경을 모델링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측정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결과의 정확도를 상호 분석하였으며, 블루투스 비콘과 UWB 방식의 실내측위 수행결과를 측정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