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 학습부진아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5초

수와 연산 영역 부진 학생의 산술적 사고 수준에 관한 사례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한 학생을 대상으로 - (A Case Study on Levels of Arithmetical Thinking of an Underachiever in Number and Operation - Focusing on a 6th Grader -)

  • 임미인;장혜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3호
    • /
    • pp.489-508
    • /
    • 2016
  • 수와 연산은 초등수학에서 가장 기본이고 핵심이면서도 학생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는 영역으로 알려져 왔다. 이와 같은 학습의 어려움은 계산 방법이나 계산 기능의 측면을 강조하는 것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고, 관련 사고의 측면에서 검토할 필요가 대두된다. 본 연구는 Guberman(2014)에 기초하여 수와 연산 영역 부진 학생의 산술적 사고 수준 및 산술에 대한 이해 정도를 분석하여 산술에 관한 어려움의 원인을 진단하고 그에 대한 처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학 학습 중 유독 수와 연산 영역에서만 어려움을 보이는 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산술적 사고 수준 및 산술 개념 이해 검사를 실시하고 학생의 반응을 분석하는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대상 학생의 산술적 사고는 Guberman의 1수준에 해당하며 몇 가지 산술 개념과 관련하여 이해에 어려움을 지니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분석 결과 및 그에 대한 논의로부터 구체적인 처방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소외 학생들을 위한 수업모형과 통계이해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Instructional Model and Statistical Thinking Levels to Help Minority Students with Low-SES and Learning Difficulty)

  • 백정환;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0권3호
    • /
    • pp.263-284
    • /
    • 2011
  • We took note of the fact that there were not many studies on improvement of mathematics learning in the field of statistics for the minority students from the families who belonged to the Low-SES. This study was to help them understand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mathematics, motivate them for mathematics learning, and have them feel familiar with it. The subjects were 12 students from the low-SES families among the sophomores of 00 High School in Gyeonggi-do. Although it could not be achieved effectively in the short-term of learning for the slow learners, their understanding of basic concepts and confidence, interests and concerns in statistical learning were remarkably changed, compared to their work in the beginning period. Our discourse classes using various topics and examples were well perceived by the students whose performance was improved up to the 3rd thinking level of Mooney's framework. Also, a meaningful instructional model for slow learners(IMSL) was found through the discourse.

교육소외 학생들을 대상으로 확률 이해수준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Probabilistic Thinking of the Minority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 Low SES)

  • 백정환;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3호
    • /
    • pp.301-321
    • /
    • 2012
  • Since research has barely been done on the minority with low-achievement & low-SES in probability, this research attempted to search the change of their thinking level in the classes of probability and motivate them on the mathematical learning to feel confident in mathematics. We can say that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al discriminations are due to the overlook on the individual conditions, situations, and environments. Therefore, in order to resolve some discrimination, 4 students who belonged to the minority group, engaged in the research, based on 10 units of the instructional materials designed for the research. As a result, for the student's thinking level, it was observed that they were improved from the 1st to the 3rd level in probability. Also,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 adequate use of the encouragement, the praise, the direct explanation, and the scaffolding enabled them to prompt their learning motives and the increased responsibility on the learning. As time passed, the participants could share their mathematical knowledge and its concept with others, in the increased confidence.

4단계 team학습을 통한 수학과 학습 부진학생의 학력신장에 대한 연구 (Research about the achievement progress for the low level students through 4 step group work in Mathematics)

  • 김종훈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21-3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nt the method which improve the problem - solution power in mathematics, making learning materials for it and apply it to the inactive 1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reaserch are as follows. 1. Through this 4 phased team teaching, the atmosphere of learning is positive and learning activities are voluntary and the attitude to the mathematics is improved. 2. The harmony of team studying for a problem solution, problem understanding, flowchart drawing and mind map studying enabled students to have confidence of learning, leading to improve the ability of mathematics.

  • PDF

대학 기초수학 교과목 수준별 학습지도 개선 방안 (Improvement strategies of teaching methods for university basic mathematics education courses by ability grouping)

  • 박준식;표용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19-37
    • /
    • 2013
  • P대학에서는 수학 기초학력 부진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과 학업성취도 고양을 위하여, 기초수학및연습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이 교과목은 미적분학의 선수과목으로 운영되며, 수준별 학급을 편성하여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한 발표 중심의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공학인증 지원을 위해 기초수학및연습 교과목의 강의 포트폴리오를 제출한 30개 학급에서 수강한 1,106명의 취득 성적과 및 강의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각 담당교수가 제출한 강의 포트폴리오의 강의개선 보고서를 기반으로 기초수학및연습 교과목의 수준별 학급 운영에 대한 유의점과 그 개선방안을 찾아본다.

초등학교 수준별 수학 수업에서 열린 문제의 활용과 열린 문제 구성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Improving Differentiated Mathematics Instruction Using Open Problems and Inventing Open Problems in the Elementary School)

  • 이종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3호
    • /
    • pp.315-330
    • /
    • 2012
  • 다양한 수준에 있는 학생 모두에게 일정 정도의 수학을 가르치기 위해서 제7차 교육과정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수준별 수업을 교육과정에서 권장하고 있다. 주로 사용되는 수준별 수업 방식은 학생들을 그 수준에 따라 두 세 그룹으로 분리한 후 각 수준에 맞는 별도의 활동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분리된 수준별 수업을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수준의 학생들을 통합하여 지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영재아를 지도하거나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수학 수업과 관련해서만 열린 문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보통의 수학 교실에서 열린 문제는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도 반응을 보일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반응을 교사가 통합할 수 있다면 낮은 수준의 학생이 잠재적 발달수준으로 수준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도울 수 있다는 논의를 바탕으로 열린 문제와 병행 과제를 활용하는 방안을 생각하여 보았다.

  • PDF

웹상에서 VRML과 JAVA를 이용한 입체도형의 상호작용적 코스웨어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active Courseware for learning Solid Objects Using VRML and Java on the Web)

  • 조승일;유봉길;이종찬;송승헌;윤보열;김응곤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223-226
    • /
    • 2000
  • 최근 컴퓨터의 대중화와 인터넷환경의 구축으로 인하여 웹기반 코스웨어들의 필요가 급속히 늘고 있다. 그러나 수학 교과의 입체도형 편에 있어서는 웹기반 3D 코스웨어들의 개발은 부진한 편이다. 기존의 코스웨어들은 저작도구를 활용한 2D 위주였고, 최근 연구되어진 3D 코스웨어들은 상호작용이 부족하여 다양한 학습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D 입체도형의 학습과 학습자의 자극에 반응하는 상호작용적 체험학습이 되도록 VRML 과 JAVA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

수학 기초학력 미달자의 수준별 수업에서 효율적인 지도 방법 (Efficient Teaching Method for the Underachieving Students through Level Differentiated Classes)

  • 신준국;윤상인;김양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81-96
    • /
    • 2014
  • 수준별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우선 성취도에 따라 다른 교재(교과서의 재구성)와 수업의 방법이 변화되어야 하나 현실은 같은 교재로 속도의 차이만을 가지고 수준별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성취도가 낮은 중하위권 학생들을 위한 교재와 효율적인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는 더욱 시급한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의 수준별 이동수업 내에서 효율적인 교재와 지도법이 개발된다면 그와 같은 수고를 덜고 교육과정 정상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수학과 학습 부진학생의 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수행평가 및 진단평가지, 교과서의 재구성을 통한 교재 개발, 수업일지 등의 자료를 개발하여, 이를 기초학력 부진 학생들의 수업에 직접 적용한다. 그것을 실험반과 비교반을 대상으로 동일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 실험반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비교반에 비해 월등히 향상되는 의미있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수학과 CAI프로그램 모형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AI program Model And Its Application)

  • 강희태;권연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권1호
    • /
    • pp.53-64
    • /
    • 1998
  • 수준별 학습자에 따른 CAI 프로그램 요소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두 종류의 CAI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CAI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단원 3. 시간과 각도 중에서 '각도 4차시' 분에 대하여 하나는 열린 문제를 포함하는 'CAI 프로그램 1'을 개발하였고, 두 번째는 기존의 방법으로 'CAI 프로그램 2'를 작성하였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 대상은 안동송현초등학교 4학년 243명 (실험 집단 122명, 비교 집단 121명)을 선택하였으며, 통제 변인은 CAI 프로그램의 종류만 다르게 하였다. CAI 프로그램 적용 결과의 자료 분석은 t 검증과 학습자 면담을 병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우수아 집단에서는 p<.0023 수준에서 t<3.2268로, 보통아 집단에서는 p<.0706 수준에서 t<1.8211로 'CAI 프로그램 1'을 투입한 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나, 부진아 집단에서는 p<.8073 수준에서 t<.2458로 의미 있는 차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면담 결과 우수아, 보통아 집단의 경우에는 열린 문제에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참석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부진아 집단의 경우에는 별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 열린 간제(열린 마당, 열린 평가)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개인차에 따른 모든 집단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수학과 CAI 학습 프로그램 모형으로 열린 문제를 포함하는 'CAI 프로그램 1'의 모형을 앞으로의 CAI 프로그램 개발 시 활용할 모형으로 제시한다.

  • PDF

수학 학습부진아 예방을 위한 가정학습 효율화 방안 연구 (A Study on a Home Teaching Method to Prevent Slow Learner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이영하;박희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0권2호
    • /
    • pp.195-21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specific set of home teaching methods in hopes to prevent slow learner of the elementary mathematics. This paper deals with the number and operations, one of five topic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A survey of two hundr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made to see the teacher's opinions of the role of home studying and to concretize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topics. There were asked which is the most essential contents for the concrete loaming and which is the most difficult monad that might cause slow leaner. And those were found to be; counting, and arithmetic operations(addition and subtraction) of one or two-digit numbers and multiplication and their concepts representations and operations(addition and subtraction) of fractions. The home teaching methods are based on the situated learning about problem solving in real life situations and on the active teaming which induces children's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Those activities in teaching each contents are designed to deal with real objects and situations. Most teaching methods are presented in the order of school curriculum. To teach the concepts of numbers and the place value, useful activities using manipulative materials (Base ten blocks, Unifix, etc.) or real objects are also proposed. Natural number's operations such as addition, subtraction and multiplication are subdivided into small steps depending upon current curriculum, then for understanding of operational meaning and generalization, games and activities related to the calculation of changes are suggested. For fractions, this paper suggest 10 learning steps, say equivalent partition, fractional pattern, fractional size, relationship between the mixed fractions and the improper fraction, identifying fractions on the number line, 1 as a unit, discrete view point of fractions, comparison of fractional sizes, addition and subtraction, quantitative concepts. This research basically centers on the informal activities of kids under the real-life situation because such experiences are believed to be useful to prevent slow learner. All activities and learnings in this paper assume children's active participation and we believe that such active and informal learning would be more effective for learning transfer and generaliz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