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용어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31초

창의성의 본질적 관점에서 본 수학적 창의성 교육의 국내 연구 동향 (An Analytical Study on the Studies of Mathematical Creativity in Korea: Focusing on the Essence of Mathematical Creativity)

  • 하수현;이광호;성창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3호
    • /
    • pp.551-56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수학적 창의성 관련 연구들이 수학적 창의성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학적 창의성 관련 논문 101편을 대상으로, 수학 교과와 관련된 창의성을 일컫기 위하여 어떤 용어를 사용하는지, 수학적 창의성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있는지, 정의하고 있다면 영역 특수적 정의를 하는지, 수학적 창의성을 보는 관점, 범주, 수준은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관련 연구들은 수학 교과에서의 창의성을 가리키기 위해 '수학적 창의성'이란 용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수학적 창의성에 대해 명시적으로 정의한 연구가 59.4%였고, 명시적 또는 암시적 정의를 한 연구 중 영역 특수적 정의를 한 연구가 54.4%였다. 수학적 창의성 관련 연구들은 창의성을 보는 4가지 관점에 대해 골고루 접근하고 있었으며, 창의성의 범주 중 환경적 요소를 고려한 연구가 드물었다. 창의성의 수준에 대해, 관련 연구들은 학교 수준에서의 작은 창의성에 집중되어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명확한 관점 및 개념화의 필요성, 창의성의 다양한 관점 및 범주를 아우르는 총체적 접근의 중요성, 학생들 개개인의 해석과 지식의 구성 과정을 강조하는 미니 창의성 수준에서의 수학적 창의성 연구의 필요성 등의 결론을 제기할 수 있었다.

  • PDF

제 7 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 용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athematical Terms in 7th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 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3권2호
    • /
    • pp.233-248
    • /
    • 2001
  • In pthis aper, mathematical terms in 7th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from now, in short, 7th curriculum)are reexamined critically. In 7th curriculum there are 123 terms, which seems to be selected cautiously But it is not sure. There are lots of evidences for selecting terms incautiously, Through these evidences, following conclusions are induced: (1) Terms were not selected strictly. There are many terms omitted in 7th curriculum, which are necessary for understanding mathematical concepts. (2) There were no rational principles for selecting terms in 7th curriculum. Any rational principles can not be found out among terms in 7th curriculum. (3) Mathematical terms and real life terms in 7th curriculum were not distinguished explicitly. There were some real life terms in 7th curriculum, which were significant for understanding mathematical concepts. But other real life terms which is significant also for understanding mathematical concepts were not contained in 7th curriculum.

  • PDF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군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Connection of Curriculum and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Focused on 1~2 Grades)

  • 장혜원;김동원;이환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4호
    • /
    • pp.759-783
    • /
    • 2013
  • 학문적 수학으로부터 학교수학으로의 교수학적 변환 과정에서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큰 비중을 차지한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이 적용되기 시작한 현 시점에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성에 대한 분석은 중요한 과제이며, 특히 수학과에 새로 도입된 학년군제를 고려할 때 더욱 그러하다. 학년군제는 교육과정 운영상의 유연성뿐만 아니라 수학과 교과 내용의 구성에도 영향을 미쳐 학년군에 따른 성취기준은 학년제일 때에 비해 다소 통합적인 선정이 불가피하였고, 따라서 통합적으로 진술된 교육과정 성취기준이 빠지지 않고 교과서에 담겨져 교육과정의 의도대로 구현되었는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성 파악을 위해 1~2학년군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따른 교과서 분석, 교과서 소단원별 학습목표에 따른 성취기준과의 연계 분석, 용어와 기호와 관련한 교과서 분석, 수학적 과정과 관련한 교과서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기초한 교수학적 논의로부터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 PDF

초등수학 서술형 평가에서 나타나는 오류 유형 분석 (Analysis on Error Types of Descriptive Evaluations in the Learning of Elementary Mathematics)

  • 정현도;강신포;김성준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885-905
    • /
    • 2010
  • 수학과 평가에서 주로 제기되는 문제점은 평가 내용이 단편적인 지식을 암기하는 쪽으로 치우쳐 있다는 점과 평가 문항이 객관식 문제 중심의 지필 검사에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교육현장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올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서술형 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을 검토하고, 이 과정에서 비롯되는 오류 유형을 분석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곧, 서술형 평가를 통해 학생들이 알고 있는 수학적 지식을 수학적 용어로 자유롭게 표현하는 과정에서 그 과정이 옳은지, 개념 이해가 정확한지를 검토하고, 만약 잘못 이해하고 있다면 무엇 때문에 이러한 오류를 범하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수학문제해결과정에서 비롯되는 오류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며, 수와 연산 영역에서 서술형 평가 문항을 개발하여 진행된 것이다. 연구 과정은 먼저 서술형 평가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문항 이해의 오류, 개념 원리의 오류, 자료 사용의 오류, 풀이 과정의 오류, 기록 단계의 오류, 풀이 과정의 생략 등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문항별 답안에서 나타나는 유형별 오류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학업성취도에 따라 오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상 중 하 성취도에 따른 오류 유형을 분석하였다. 서술형 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을 검토하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함으로써, 평가를 통한 피드백이 효과적인 수학학습지도로 연결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수학적 추론의 본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ature of the Mathematical Reasoning)

  • 서동엽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5-80
    • /
    • 2010
  • 본 연구는 고대 그리스 시대의 수학적 추론의 발달 과정을 통하여 그 본질과 지도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로서 고대 그리스 시대의 수학적 추론의 발달 과정에 대한 Netz의 분석을 살펴보았고, Freudenthal의 국소적 조직화 이론과의 관련성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수학적 추론에서 용어와 기호가 자연 언어 중심으로 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학생들의 직관에 근거하여 수학적 필연성을 형성하게 하는 지도 방안이 적절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다각형의 내각의 합을 소재로 귀납에 의한 발견과 정당화, 나아가 다각형으로의 일반화라는 패턴에 따른 지도 계열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부호이론의 개념 선형부호편

  • 이만영
    • 전자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18
    • /
    • 1984
  • 부호이론(coding theory)은 그 내용이 매우 광범위할 뿐 아니라 군론, 환론, 본론 등 축예대수학과 확율론 및 수리통계학을 배경으로 발전된 학문이기 때문에 일반 속자를 상대로 논술하기에는 적지 않은 난점이 있다. 그렇다고 단순히 용어나열에만 그칠 수도 없고, 이론에 치중한 논문식으로 쓸수도 없으므로 대학 4년생을 위한 강의수준으로 소개하겠으며 3회에 걸쳐 선형부호(linear code), 순회부호(cyclic code), 길쌈부호(convolutional code)의 순으로 연재하기로 하겠다.

  • PDF

미적분학 강사와 학생의 미분에 관한 담화 (Calculus Instructors and Students' Discourseson the Derivative)

  • 박정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1호
    • /
    • pp.33-55
    • /
    • 2011
  • 미적분학 강사와 학생의 미분에 관한 담화의 특징을 인식에 관한 의사소통적 접근을 통해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는 설문, 수업 관찰, 그리고 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강사들이 도함수와 미분계수의 관계, 함수로써 의 도함수 등 미분의 성질들을 명백히 서술함 없이 사용한다는 것과 학생들의 문제 풀이에 있어 이런 성질들을 부정확하게 서술하고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분에 관한 교사들의 암묵적인 담화와 학생들의 부정확한 설명은 그들이 용어, "미분"을 "미분계수" 혹은 "도함수"로 구분하지 않고 사용한다는 사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강사와 학생의 담화 비교는 분명한 용어 사용을 포함한 미분의 수학적인 성질에 대한 명백히 설명이 학생들이 도함수의 한 값으로의 미분계수를 이해하는 것과 접선과 같은 도함수의 부정확한 개념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암시한다.

  • PDF

우리나라 초등학교 1-2학년 수학에서의 수 감각 지도 내용 분석 (An Contents Aanalysis of Number Sense for Elementary School Grade 1-2)

  • 최지선;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513-530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2학년 교육과정, 해설서, 및 그에 따른 교과서에 나타난 수 감각 지도 내용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수 감각에 관한 선행연구를 메타분석하여 수 감각의 의미와 요소를 규명한 다음, 그것을 이용해서 교육과정, 해설서, 1-2학년 교과서에서의 수 감각 지도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수 감각은 기존의 전통적인 수에 관한 학습에서 강조되었던 수와 계산과 더불어 어림을 포함하여, 수와 계산이 필요한 맥락에 적용하는 능력을 강조하는 용어로, 내용 요소와 과정 요소로 구성된다. 이 두 요소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해설서, 1-2학년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수 감각의 범위가 불분명하고, 용어를 일관되게 사용하지 않고, 다루고 있는 요소가 제한적이며, 일관되지 않거나 빈약한 상태로 교과서에 구체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남.북한 수학교과서의 내용체계 및 용어에 대한 비교분석 -북한의 고등중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ents and Terminologie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South.North Korea)

  • 현진오;강태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105-128
    • /
    • 199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 way to make mathematics textbooks after Korea is reunited. For this, the analysis of curriculum in SouthㆍNorth Korea must be made before unification.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ontents, organization and mathematics terms used in the latest middle school textbooks(1995-1996). And it also compared and contrasted the two textbooks while determining the best points of each. In this way, this study will be a very useful guide for making new educational curriculum and new mathematics textbooks after South and North Korea be unified.

  • PDF

힐베르트의 저서 '기하학의 기초'에 관하여 (On Hilbert's 'Grundlagen der Geometrie')

  • 양성덕;조경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1-86
    • /
    • 2011
  • 이 논문에서 우리는 힐베르트의 저서 '기하학의 기초'에 관한 여러 문헌들을 소개하고 '기하학의 기초'의 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그리고 1902년에 발행된 (독일어) 초판 영문번역과 1971년에 발행된 (독일어) 10판 영문번역의 내용과 용어 및 표현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고 이런 변화가 외국어 수학고전을 우리말로 옮기거나 우리말 수학도서를 저술하는 일에 대하여 시사하는 바를 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