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교육 철학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Proposal on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Programs of Algebra Related Courses in Teachers College (교사 양성 대학에서의 대수 영역의 학습과 지도)

  • 신현용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42 no.4
    • /
    • pp.481-501
    • /
    • 2003
  • The main purpose of this work is to propose programs of algebra courses for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of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Set Theory, Linear Algebra, Number Theory, Abstract Algebra I, Abstract Algebra II, and Philosophy of Mathematics for School Teachers are discussed in this article.

  • PDF

From a Young Mathematics Professor to a Great Mathematics Teacher: Considering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Education of Pure Mathematics in the Social, Institutional and Interdisciplinary Contexts of UCL (드 모르간이 위대한 수학 교육자가 되기까지 : UCL의 사회적, 제도적, 간학문적 맥락 속에서 순수 수학 교육 바라보기)

  • Cho, Su-Nam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4 no.3
    • /
    • pp.109-143
    • /
    • 2011
  • Augustus De Morgan became to be deeply interested in the education of pure mathematics since he came to teach in UCL because of the specific nature of natural philosophy lectures, the academical knowledge and reasoning powers of the students, and the negative attitudes of London society on mathematics. During his long tenure, he really tried his best to make his students understand the important concepts and the principles of pure mathematics, and logically explain the processes of inducing and proving the laws of pure mathematics. When he could not stay as a mere researcher, he had to concern himself with and pay attention to the problems of educating students. And then his teaching style was constructed in a specific way by the various attitudes about mathematics, the boundary relationship between the adjacent academical branches, and the social and systematic nature of UCL.

우리의 전통적 교구, 목제주령구의 현대적 활용방안

  • Go, Sang-Suk;Kim, Yeong-Nam;Gang, Heung-S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1
    • /
    • pp.27-46
    • /
    • 2001
  • 본 논문은 과거 신라시대에 사용하여 경주 안압지에서 출토되었던 6, 8면체 주사위를 오늘날 우리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6, 8 면체는 6개의 사각면과 8개의 삼각면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이를 6진법과 8진법에 이용하여 그 개념과 자리수를 익히고 덧셈, 뺄셈에 활용되는 방법을 연구하였고, 둘째, 14면체의 면의 모양과 면의 개수가 갖는 성질을 이용하여 문자와 식의 개념을 도입하고 이 개념을 확장시켜 다항식의 연산을 적용하여 보았으며, 셋째, 동 ${\cdot}$ 서양의 철학에서 살펴본 수의 의미로서 주사위가 지닌 의미를 재해석해보았다.

  • PDF

Some remarks on J. Piaget's philosophy for the mathematics education (J.plaget의 수학교육관의 철학적 배경)

  • 우정호
    • Bulletin of the Korean Mathematical Society
    • /
    • v.20 no.2
    • /
    • pp.111-122
    • /
    • 1983
  • 지금까지 H. Aebli, A. Fricke, R.W. Copeland, G. Steiner, E. Wittmann, R.R.Skemp, Z.P. Dienes등에 의해 Piaget이론의 수학교육적 연구가 상당한 정도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Centre International D'epistemologie Genetique를 중심으로 한 집단사고와 방대한 연구결과를 집약한 소위 'Piaget이론'은 타에 그 종례를 찾아볼 수 없는 포괄적인 것인 바, 지금까지 이루어진 Piaget이론의 수학교육적 접근은 Piaget이론의 한정된 부분의 단편적인 응용에 불과하며, Piaget의 발생적 수학인식론 및 심리학의 중심원리와 연구결과를 반영한 보다 철저한 연구가 요망되고 있다. 본 고는 그 이론적 기초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1969년에 출판된 Psychologie et pedagogie에 실린 'La didactique des mathematiques'와 1972년 ICMI의 제2차 수학교육국제회의에 기고한 논문 'Comments on mathematical education'에 나타난 수학교육에 대한 Piaget자신의 견해를 그의 수학인식론의 분석적 고찰을 통해 양세화하고, 그 실제적 구현방안을 제시해 본 것이다.

  • PDF

민족 수학의 뿌리

  • Park, Yong-Beo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377-386
    • /
    • 2001
  • 역사의 시작은 어디인지 아득하지만 일반적으로 문헌을 통한 과학적인 신뢰성을 갖게 되는 실질적인 방법이 원칙이다. 하지만 이런 연구가 거의 전무한 우리 수학의 뿌리에 대한 연구는 문헌 연구가 그 기반을 이룰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우리 역사의 뿌리를 수학적 관점에서 한 분야로서 여러 기존의 문헌을 중심으로 특히 사학 연구를 활용하여 수학의 뿌리를 찾으려고 하며, 민족 신화(단군신화) 이전의 경전인 천부경(天符經)의 사상을 기초로 한 동양 사상과 철학의 배경으로 그 위상을 세우고자 한다. 결코 우리 민족의 우수성과 고난의 시절에서 많은 상황적 변화로서 와전되어 있는 부분도 있지만 이를 해석한 여러 문헌을 논리적으로 체계화하려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주로 신라 시대의 석학인 최치원 선생에 의해 천부경 81자의 한자로 구성되어 해석한 사실에 주목해야한다. 특히 한민족의 언어가 아닌 한자로 우리의 언어와 사상이 기록되어 있고, 이 민족의 침입으로 인한 민족 문화의 말살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에 어려움을 인식하고 연구가 수행되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민족 수학의 뿌리를 찾아 민족의 수학사를 인식하는 계기를 주고, 자주적인 민족 정서의 수학 교육에 첫 걸음을 내딛는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 PDF

수학교육학에서의 질적 연구

  • Gye, Y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onference
    • /
    • 2010.04a
    • /
    • pp.219-219
    • /
    • 2010
  • 교육학의 질적 연구는 문헌 연구, 면담 연구, 비참여 관찰 연구, 참여 관찰 연구로 분류한다. 문헌연구에는 내용분석, 철학적 연구, 역사학적 연구, 문학적 비평이 들어가고, 면담연구에는 구술사, 전기, 탐문(探問) 저널리즘 등이 포함되고, 비참여 관찰연구에는 전문적 감정(鑑定), 인간의 종적 특성 연구, 관찰자 연구, 비개입적 행동 연구 등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참여 관찰연구는 일반적 현장연구, 문화 기술적 연구가 포함된다. 질적 연구는 사람, 사물, 현상의 범주화나 수량화가 가해지기 이전의 상태, 즉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 최대한 접근하는 방법으로써, 고정관념을 깨고 기존의 이론을 최대한 유보한 채 연구에 임하는 것으로 최근에 발달한 인문사회과학적 연구방법이다. 질적 인식이 자연언어에 주로 의존하는 데 비해 양적 인식은 인공언어에 많이 의존한다. 수식과 도형, 부호등은 대표적인 인공언어이다. 모든 사물이 질과 양의 속성을 다 가지고 있듯이 모든 연구는 질적 과정과 양적 과정을 다 포함하고 있다. 질적이냐, 양적이냐 하는 구분은 연구방법론의 문제인데 연구방법론은 연구논리와 연구기법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인공언어인 수와 식에만 익숙한 수학교육에서, 질적 연구가 왜 필요한지, 어떤 특성이 있는지 논의함으로써 수학교육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MIC 대수 부분에 관한 분석: RME 이론의 관점에서

  • Park, Jeong-Suk;Park, Eun-Ju;Jo, Gyeong-Hui;Kim, Ji-Yeong;Gwon, O-Nam;Jeong, Yeong-O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163-164
    • /
    • 2003
  • 최근 수학교육에서는 네덜란드의 수학교육이론인 현실적 수학교육(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이하 RME) 이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RME 이론의 관점에서 학생들은 만들어져 있는 수학을 수용하는 사람이 아니라 스스로 모든 종류의 수학적 도구와 통찰을 개발하는 활동적 참여자로서 다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수학 학습은 수학화될 수 있는 풍부한 맥락으로부터 시작해야하며, 이러한 수학화를 실제(reality)에 둘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는 교재로 시작해야 한다. 최근 발간된 'Mathematics In Context(이하 MIC)'는 RME 이론을 반영한 중등학교용 교과서로 맥락 문제가 그 중심이 되고 있으므로 RME 이론의 구체화된 실제를 볼 수 있는 예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Freudenthal의 교육철학을 소개하는 문헌 연구를 비롯하여 RME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교수 학습의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가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중등학교 이상의 수준에서 수행된 RME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RME 이론이 중등학교 이상에서 수행되는 예를 찾기 위해 MIC 대수 교과서 중 'Comparing Quantities(Kindt, Abels, Meyer, & Pligge, 1998)'를 중심으로 Treffers(1991)의 다섯 가지 교수 학습 원리(구성하기와 구체화하기, 여러 가지 수준과 모델, 반성과 특별한 과제, 사회적 맥락과 상호작용, 구조화와 연결성)가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RME의 수학 학습 이론은 학생들이 맥락과 모델을 사용하면서 다양한 수준의 수학화를 통해서 자신의 수학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MIC 교과서는 맥락 문제와 여러 가지 해결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그러한 수학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교재가 될 수 있다.

  • PDF

수리철학의 변화와 수학교육관

  • 김종명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14 no.1
    • /
    • pp.83-100
    • /
    • 2001
  • The paper analyzes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and outlook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as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We have found that various views of the human society have led us to the various philosophy of mathematics. This change of philosoph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to the didactics of mathematics.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outlook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future.

  • PDF

미국 대학입학시험(ACT)의 평가내용과 개발과정

  • Lee, Jong-Seung
    • 대학교육
    • /
    • s.76
    • /
    • pp.64-74
    • /
    • 1995
  • 최근 새로운 교육개혁안이 확정 발표되면서부터 새삼 대입전형의 준거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비중이 증대되고 있다. 우리의 수능시험과 유사한 SAT나 ACT는 미국의 각 대학에서 신입생 선발을 할 때, 중요한 전형자료의 하나로 사용하는 검사이다. 이 두 검사는 대등한 정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그 교육철학적인 배경은 상이하며, 또 후자는 우리에게 별로 알려져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ACT의 평가내용, 검사개발과정, 결과활용 등을 소개하고 우리의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관련하여 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역사-발생적 원리에 따른 변증법적 방법의 수학학습지도 방안

  • Han, Gil-Jun;Jeong, Seung-J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67-82
    • /
    • 2001
  • 발생적 원리는 수학을 공리적으로 전개된 완성된 것으로 가르치는 형식주의의 결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기되어온 교수학적 원리로, 수학을 발생된 것으로 파악하고 그 발생을 학습과정에서 재성취하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수학을 지도함에 있어서 역사적으로 발생, 발달한 순서를 지켜 지도해야 한다는 것이 역사-발생적 원리로, 수학이 역사적으로 발생, 발달 되어온 역동적인 과정을 학생들이 재경험해 보게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이 필요하다. 변증법적인 방법론은 헤겔에 의해서 꽃을 피운 철학으로, 정일반일합(正一反一合)의 원리에 따라 사물의 발생과 진화 과정을 역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방법론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역사-발생적 원리에 따라 수학을 지도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변증법적인 방법을 고찰하여, 역사-발생적 원리의 수학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