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교육평가

Search Result 807,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문제 해결의 관점에서 본 초등 수학 교과서

  • Lee, Ui-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8
    • /
    • pp.151-164
    • /
    • 1999
  • 우리의 경우 학교수학에서 문제해결이 강조된지도 20여년이 넘었으나 아직도 수학을 혐오하는 학생들이 적지 않은 것 같다. 이러한 우리의 수학교육의 문제점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의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먼저 수학학습평가와 사회에서의 평가를 문제해결의 관점에서 비교하고, 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구성내용과 체제를 문제해결의 관점에서 구체적인 예제를 통하여 조사한다. 나아가 최근의 구성주의의 관점에서 수학수업에서 계산기의 도입 가능성을 살펴본다.

  • PDF

수학교과 수준별 평가 방법 모색에 관한 연구 공통수학과목을 중심으로

  • Gwon, Tae-Ryong;Kim, Jong-Jin;Hong, Yeong-G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8
    • /
    • pp.3-15
    • /
    • 1999
  • 현재 진행되고 있는 수준별 수업에서 교사들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 중에 하나가 수준별 평가에 관한 문제이다. 교육내용을 3단계(상${\cdot}$${\cdot}$하)로 나눌 경우 평가의 단계도 3단계로 나누는 것이 이상적이다. 하지만 실제로 학교현장에서는 가르친 내용과 평가가 불일치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수업과 평가의 불일치가 심화반 및 보충반 학생들 모두에게 학습의욕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로 나누어 학습한 학생들을 수업에서 가르친 내용과 근접하게 평가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사회문화적 체제와 역동적 수학 평가

  • Lee, Jong-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135-150
    • /
    • 2001
  • 역동적 평가는 구성주의와 사회문화적 관점이 교육과정에 많은 영향을 주면서 이를 평가에 반영하기 위한 대안으로 등장한 새로운 평가의 방향이다. 전통적인 심리 측정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되었으며, 통계적인 자료정리에서 벗어나 아동에 대한 변화가능성을 평가하자는 것이 주목적이다. 결과 지향적인 평가는 미래의 수행에 대한 완전한 예언을 할 수 없지만, 역동적 평가에서 각 개인의 평가는 개인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체제 내에서 이루어진다. 역동적 평가의 입장 가운데서도 본 연구에서는 사회문화적 체제 관점에서 실제영역과 발달가능영역에 대한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개인에 작용하는 생태학적 회로망을 평가의 주요한 배경으로 선택하고 있으며,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평가관의 변화를 제시하면서 이에 따른 수학교육적 시사점을 찾아본다.

  • PDF

Evaluation of a Gifted Education Program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in Seoul Area (초등 수학 영재 프로그램 평가 - 서울시 A 교육청 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

  • Jeong, Soo Ji;Kim, Min Kyeong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8 no.1
    • /
    • pp.149-168
    • /
    • 2014
  • Growing in its size, the contents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from A program in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individual subjects provided through the courses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and it was evaluated based on the revised version of the existing module. As a result,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eaching-learning program were clear, differentiated and obtainable. Among the program, the advanced parts were more than the selective parts, which mainly consisted of numbers and calculation, shapes, regularity and problem solving parts and had latest contents of research in balance. Additionally, every part of the program needs mathematical and creative thinking and approach and has proper evaluation index for problem solving. The presented materials in the programs are specific and appropriate, though some of them did not suggest the evaluation index for cultivating personality and value clearly and the reference books. The teaching-learning programs were focusing on problem-based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and using performance assessment for evaluation.

  • PDF

평가문제 제시를 통한 메타인지 능력에 대한 연구

  • Go, Sang-Suk;Park, Hye-Se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15-24
    • /
    • 2005
  • 오늘날 제 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사고과정과 능력을 다양한 평가방식으로 실시하도록 권유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수학과 평가는 교수-학습에 유용한 평가, 과정 중심의 평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는 평가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학습자로 하여금 스스로 학습하도록 가정하는 인식론적 변화에 바탕을 둔 최근의 평가 동향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평가에서 학생의 수학활동 역시 특히 인지적 영역의 다양성을 지닌 개인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학 평가는 단편적인 정형화된 지식이 아닌 문제 해결의 전략이나 발견술과 같은 요소에서 강조되고 있는 비정형의 문제들을 통한 메타인지적인 발달과정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이 준개방형 평가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이 얼마나 알고 있는가를 인식하며 자신의 문제 해결 전략을 점검하고 평가하는 인지적 능력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 현재 연구가 진행 중이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 논문집에 발표할 예정이다.

  • PDF

A Study on Mathematics Exams for University Entrance in Taiwan (대만의 대학입학시험 수학 문항 분석)

  • Choi, Inseon;Lee, Minhee
    • School Mathematics
    • /
    • v.19 no.2
    • /
    • pp.369-384
    • /
    • 2017
  • Current Mathematics of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aced with preparing the test system and test items according to the new curriculum. The discuss about how to construct the items and what form of items should be set was not conducted enough. To accord with these requirements, in this study, mathematics exams for university entrance in Taiwan are investigated. We look into General Scholastic Ability Test(GSAT) and Advanced Subjects Test(AST) in Taiwan. Those exams are analyzed in terms of exam system, mathematical contents, types of items, and so on. And then on the basis of this, we discuss implications on mathematics assessment type and contents, further mathematics learning.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contents based on the TIMSS 2019 mathematics assessment framework (TIMSS 2019 수학 평가틀에 기반한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 비교 분석)

  • Choi, In Seon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3 no.4
    • /
    • pp.449-468
    • /
    • 2020
  • TIMSS is a representativ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that analyzes changes in mathematics and science achievement, and it collects information on the educational system,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of participating countries as well as research and check,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each country's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Although domestic TIMSS studies focused on the results of achievement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mathematics, not many have taken a closer look at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assessment framework.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SS 2019 mathematics assessment framework,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mathematics curriculum and mathematics learning by examining the students' study time in light of the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connection between content elements in the mathematics and education process. Secon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appropriateness and connectivity of the learning timing of the content elements in the mathematics and education courses. Finally, it is necessary to verify that the hierarchy of content areas and the structure of content systems in mathematics and education courses are consistent with the direc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at the international level.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mathematics and curriculum revisions, and can be used to se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arge-scale evaluation frame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