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교육사

Search Result 30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3-나 단계 초등수학 교사용 지도서 재구성의 실 예

  • Kim, Hae-Gyu;Sim, Min-A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111-136
    • /
    • 2005
  • 초등 수학 교과의 내용을 아동들에게 정확하게 가르치기 위한 목적으로 교사에게 제공되는 교수-학습 자료 지침서로서 교사용 지도서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수학을 전문적으로 전공하지 않은 초등교사의 입장에서는 각 차시별로 전개되는 내용들 사이의 연관성이나 위계성에 대한 보다 더 상세한 지도내용에 대한 안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수학 3-나 단계를 중심으로 각 차시별로 전개되는 내용들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보다 더 상세한 지도내용 뿐만 아니라, 수학사 및 실생활 관련자료, 동기유발 자료 등을 이용하여 수학사 및 교사용 지도서를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한 후, 일선 학급에 투입한 후, 교사들과 아동들의 반응들을 분석하여, 향후 보다 더 개선된 교사용 지도서를 만들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History of Mathematics in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Chinese Highschool Mathematics (중국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수학사 내용 분석)

  • Cho, Hyoungmi;Chang, Hyewon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31 no.5
    • /
    • pp.235-250
    • /
    • 2018
  • The history of mathematics is an important part of Chinese high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he current 2003 revised curriculum in China refers directly to the history of mathematics and presents it as one of the optional series. Moreover, they publish separate history textbooks for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2003 revised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the history of mathematics in Chinese highschool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17, has increas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highschool curriculum and mathematics history textbooks, which were revised in 2003.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we make suggestions on the use of mathematics history for teaching mathematics in Korea.

A Study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of F. Klein (F. Klein의 수학교육에 대한 고찰)

  • Kang, Hyun-Young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4 no.2
    • /
    • pp.71-89
    • /
    • 2011
  • This article discusses and reviews the mathematics education of F. Klein who had a leading role in the reform move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from the late 19th century. We are mainly investigated the 'Erlanger Antrittsrede' in 1872 that showed Klein's view on early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Meraner Lehrplan f$\"{u}$r Mathematik' in 1905 that Widely known, the basis of the curriculum of modern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this, We discuss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the purpose and methods of mathematics education, teacher education and so on.

The Effect of us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from Mathematical History, with Illustrations of the Impact Students -Centered around Sequence Chapter of Mathematics I- (수학사 및 예화자료를 활용한 교수.학습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 -수학 I 수열 단원을 중심으로-)

  • Yoon Dae-Won;Park Sun-Ju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0 no.3 s.27
    • /
    • pp.343-35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effect of using teaching materials related to the chapter on the mathematical history of sequence and to propose practical ways for teachers to use the materials in class. This study will show how to employ mathematical history to illustrate the practical use of mathematics, arouse students' interest, and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of students who are not interested in mathematics.

  • PDF

초등수학과 교육과정 변천의 교육학적 배경

  • 박성택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11 no.1
    • /
    • pp.10-18
    • /
    • 1998
  • Mathematics Education have been developed through experience-centered curriculum,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into humanistic curriculum, and it's pedagogical background is based on the theory of J. Dewey, J. Bruner and J. Piaget respectively.

  • PDF

종이접기의 대수학적 의미와 교수학적 활용

  • Sin, Hyeon-Yong;Han, In-Gi;Seo, Bong-Geon;Choe, Seon-Hu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457-475
    • /
    • 2002
  • 수학사를 통해 볼 때 눈금 없는 자와 컴퍼스를 이용한 작도 가능성의 문제는 여러 면에서 의미가 있었다. 종이 접기는 수학과는 무관하게 나름대로 많은 흥미를 끌어 왔다. 그러나 종이 접기가 기하학적 작도와 흥미 있는 관련이 있음이 알려지면서 수학적으로도 연구되었고 더 나아가 수학 학습에의 유의미한 활용 가능성이 제안되었다. 본 글에서는 종이 접기에서 괄목할 만한 수학적 성질을 고전적인 작도 가능성의 문제와 다항식의 거듭 제곱근에 의한 가해성 등과 관련하여 고찰한다. 또, 초 ${\cdot}$ 중등 학교에서 활용 가능한 가상의 수업 프로토콜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Oriental History of Mathematics in School mathematics (수학 교수-학습에서의 동양 수학사 활용에 관한 연구)

  • Yang, Sung-Ho;Lee, Kyung-Eon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49 no.1
    • /
    • pp.15-37
    • /
    • 201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pplication of oriental history of mathematics in school mathematics teaching. We set up three study problems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we analyze the middle and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auxiliary books. Second, we survey the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nd degree of application on history of mathematics. Third, we develop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on oriental history of mathematics. We performed three study-methods to settle above study problem. First, we analyzed 24 textbooks and auxiliary books for study problem 1. There were 6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6 auxiliary books and also 6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6 auxiliary books. We categorized the contents into "anecdote", "systematization", "application of problem", "expansibility of thought", and "comparative of the contents". Second, we surveyed the 78 mathematics teachers's knowledge and degree of application using questionnaire about knowledge and application on history of mathematics. The questionnaire was made up of four types of question; the effect of material about history of mathematics, the understanding of western history of mathematics, the understanding of oriental history of mathematic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 Third, we exemplifi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bout three categories: "anecdote", "comparative of the contents".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교수전략 - 기하학을 중심으로 -

  • Kim, Chang-Il;Jeon, Yeong-J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2 s.22
    • /
    • pp.453-469
    • /
    • 2005
  • 기하는 수학의 기초를 이루는 중요한 영역이다. 그러나 기하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설계와 교수전략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현장의 수학교사들에 의한 프로그램개발과 동시에 프로그램과 지도방법을 통합하는 수학교사들의 지속적인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영재의 특성들을 고려하고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보다는 토론, 발표, 세미나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구안해 보았다. 프로그램 설계의 내용적 면에서는 기하학의 한 방법인 해석기하학과 현재 고등학교에서 다루는 Euclid 초등기하의 한계를 넘어 공선(共線), 공점(共點)의 비계량적 개념의 사영기하학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법적인 면에서는 문제제시단계, 문제해결단계, 수학적 개념추출단계, 수학화 단계, 확장단계의 단계별 절차를 두었다. 이와 같은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교수전략의 목적은 수학영재들을 새로운 문제와 지식을 제안하고 생산하는 수학 창조자를 만들고자 하는데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