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교육과정

Search Result 2,45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Choe, Hyo-Il;Choe, Ho-Seong
    •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 /
    • v.1 no.2
    • /
    • pp.139-162
    • /
    • 1997
  •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 가운데 특히 수학과 교육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초래한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두 나라의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체제와 내용을 비교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비교는 교육과정의 공통성과 차이성을 찾아서 한국 교육과정의 사회적 및 개인적 적합성을 평가하고, 이후 한국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미 미국의 경우 1980 년대 들어 서면서 정보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 작업에 노력해 왔으며, 한국도 1980 년대 후반부터 제 6 차 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 결과, 미국은 NCTM (미국 수학교사협회)을 중심으로 새로운 수학교육의 표준을 설정하고, 향후 수학교육이 지향할 방향과 전략을 설정한 바 있다. 또한 한국은 제 6 차 교육과정 개정 작업을 통하여 1992 년에 새로운 교육과정을 고시하였다. 물론 양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는 그 범위와 대상을 폭 넓게 정할 수도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분석의 대상을 최근 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NCTM 의 일련의 교육 표준화 관련 연구들과 한국의 제 6 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수학과 교육과정으로 제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양국의 수학교육을 이해하기 위하여 1) 양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수학교육의 일반적 성격, 기본 방향 교육 목표를 비교 분석하였고, 2) 양국의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육 내용을 비교해 보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NCTM 의 교육과정 안에 명시된 중학교 과정의 수학과 교육 목표 및 내용을 준거로 하여 한국 교육과정의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비교학적으로 해석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물론 한 국가의 교육과정 체제를 목표 및 내용 요소의 비교만으로 파악할 수 없다고 본다. 향후 미국과 한국의 교육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들은 내용의 조직, 방법, 평가, 그리고 운영계획 등에 관한 분석으로 확대되어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미국 조지아대학교 수학교육학과 교육과정 및 현황

  • Park, Man-Gu;Jeon, Gyeong-Sun;Jeong, In-Cheo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387-396
    • /
    • 2001
  • 최근에 국내에서 각과교육에 대한 교육과정 조정 작업이 학부 및 대학원 과정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학교육의 교육과정에서 그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의 수학교육의 교육과정과 특히 그 중 가장 잘 정비가 되어 있다고 하는 조지아대학의 수학교육과 교육과정을 자세히 제시하여 우리 나라 수학교육학과의 교육과정 개정에 시가점을 주고 개정 방향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교육과정 및 교수학적 현황 및 과제

  • Jeong, Chi-B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125-139
    • /
    • 2001
  • 올해부터 7차 수학 교과과정에서 중학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7단계 수학이 시작되었다. 7차 수학교육은 단계형, 수준별 학습을 명시적으로 도입하였다. 교육과정은 수학교사의 교수학적 전문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각 학교와 수학교사들은 7차 수학 교과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적절한 교수 방법 및 운용 계획 등을 찾고 있다. 수학 교과과정이 성공적인 모든 교실 수업으로 실현되기 위하여 교육과정, 교육 상황, 과제들을 살펴보았다. 중등수학 교육과정의 유연성 및 교수학적 측면을 이해하기 위한 배경과 과제를 소개한다.

  • PDF

수학교육의 회고와 제 7차 교육과정 및 교직수학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교과서 검정심의와 관련하여-

  • Park, Han-Si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1
    • /
    • pp.451-468
    • /
    • 2001
  • 해방 후 처음으로 1946년에 수학과 교수 요목이 발표되어 우리 나라 수학교육이 정식으로 시작되었다. 그런데 이 교수 요목은 해방전의 교수 요목의 내용과 대동소이한 것이었고, 교육여건의 변화와 더불어 수학교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를 못했다. 6 ${\cdot}$25사변을 거치면서 작성된 제 1차 교육과정은 교수 요목의 난해한 내용에 지나치게 집착한 나머지, 제대로 된 교육과정이 되지 못했다. 따라서 이에 따른 수학교육은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그리고 미국의 새 수학의 영향을 받은 제 3차 교육과정은 교사의 재교육 등 여러 가지 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성공한 교육과정으로 인정되지 못하고 있다. 새 수학에 의한 상처가 20여 년의 세월을 거쳐 겨우 치유되려고 하는 이 마당에 또 제 7차 교육과정이라는 새로운 폭풍우가 우리 나라 수학교육에 불어 닥쳐왔다. 이것으로 인한 앞으로의 전망을 알아본다.

  • PDF

러시아 7-9학년 수학 교육과정의 개별적 접근

  • Sin, Hyeon-Yong;Han, In-G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203-217
    • /
    • 1999
  • 제 7차 교육과정을 비롯하여, 많은 연구들에서 ‘수요자를 중심의 교육’, 즉 학습자의 개별적인 인지적 특성, 수학적 흥미, 재능을 고려하는 수학 교육을 위해 다양한 접근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1980년대 말 이후부터 러시아에서도 이러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의 중학교(7-9학년) 수학 교육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유형(일반 학생들을 위한 제1유형, 제 2유형, 수학 심화 교육과정)의 교육과정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러시아에서는 교육과정 수준에서 어떤 개별적 접근 방법을 시도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수학교육의 개별적 접근을 위한 기초 연구를 제공할 것이다.

  • PDF

제7차 수학교육과정에서의 고등학교 통계 영역의 지도와 개선방안에 관한 교사의 의견조사 및 분석

  • Hong, Seok-Gang;Ma, Jong-Cheo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219-243
    • /
    • 2003
  •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제7차 수학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의 통계부분은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 시점에서 고등학교 의 통계영역에 대해 고찰 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여기에서는 제7차 수학교육과정에서의 고등학교 통계영역의 지도와 개선방안에 관한 교사의 의견조사 및 분석을 주제로 하여 먼저 제7차 교육과정의 주요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고등학교 통계부분의 제6차 교육과정과 제7차 교육과정을 비교 해 보면서 아울러 주요 외국의 고등학교 통계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진행중인 제7차 수학교육과정에서의 고등학교 통계부분에 대한 현직 수학과 교사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설문결과를 살펴보고 설문결과에 대한 분석 및 지도방향을 고찰해보고, 결론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통계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서술하고자 한다.

  • PDF

Mathematics Curriculum Revising Processes & Directions from the Standpoints of the Comtemporary Two Reports in the 1920's as the Origin of Math Wars (수학전쟁의 기원과 우리나라 수학교육과정 개정 - '중등수학교육의 문제점'과 '1923 Report' -)

  • Chang, Kyung Yoo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4 no.4
    • /
    • pp.645-668
    • /
    • 201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gain insights into contemporary secondary mathematics curriculum revision in Korea. The two secondary mathematics curriculum reports submitted in the 1920s, the Kilpatrick Reports and 1923 Reports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as the origin of recent math wars, and their backgrounds, committee members, viewpoints of math and math education and content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s of the two extreeme parts. Kilpatrick Reports was selected at that time, but nevertheless 1923 Report had taken a role of guiding secondary mathematics in US until the New Math era. The direction and process of mathematics curriculum revision were suggested based on the analysis of reports' short- and long-term influences. A close examination of the curriculum revision process in US and in Korea and the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are also included in the suggestion.

  • PDF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과 확률통계 교육

  • 이상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23-2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확률통계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제시를 위하여, 한국의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과 일본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의 수학과 구성과 성격을 비교, 연구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상의 확률통계교육의 구성과 성격 및 편제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양국의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고찰한 결과, 한일 양국의 새 교육과정에 따른 교육위주의 교육과정의 구성과 내용 및 편제가 상당한 부분 비슷하거나 같았다 그러나, 지도목표 서술과 학제가 다르며, 실제 수학과 교과운영에는 차이가 많이 있다.

  • PDF

공학전공자를 위한 대학수학교육과정과 교수

  • Kim, Seong-O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2 s.22
    • /
    • pp.409-416
    • /
    • 2005
  • 여러 대학의 공학전공자를 위한 수학교육의 현황을 살펴보며 '공학 전공자를 위한 대학 수학교육과정'의 구체화의 필요성과 교육과정의 내용 및 교수에 관해 살펴본다.

  • PDF

Exploring the Direction of Middle School Statistics Education through a Comparison of Statistical Content between China & Korea: Focused on the Revised 2022 Mathematics Curriculum (중국의 중학교 통계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통계교육 방안 탐색: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Suh, Boeuk;Rim, Haeme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7 no.3
    • /
    • pp.329-348
    • /
    • 2023
  • This study is necessary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data and possibility'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centering on literature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lize statistics education in line with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is purpose was achieved by examining the statistics learning content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alyzing Chinese mathematics curriculum, and analyzing Chinese mathematics textbook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studies were conducted. First, five elements were extrac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atistics and probability' area of the Chinese mathematics curriculum. The extracted elements are the 4th grade goals, synthesis and practice content areas, achievement standards for statistics and probability (6), (9), and (11). Second, examples presented in Chinese mathematics textbooks and Chinese curriculum appendices related to the extracted elements were analyzed. Regarding the 4th grade goal, the statistical problem-solving process of the 7th grade 2nd semester mathematics textbook was analyzed. Regarding the synthesis and practice content area, the data analysis unit of the 8th grade 2nd semester mathematics textbook was analyzed. In relation to the achievement standard (6), Example 85 of the curriculum appendix was analyzed, in relation to the achievement standard (9), Example 86 was analyzed, and in relation to the achievement standard (11), Example 87 was analyzed. Thir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ew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were deriv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ect the successful realization of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mathematics and curriculum statistics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