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통계 내용분석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6초

전기전자공학분야에서 수학/통계 내용분석 (A Content Analysis of Math/Stat in Electrical & Electronic Engineering Fields)

  • 이승우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27-140
    • /
    • 2008
  • 본 연구는 전기전자공학의 학부과정에서 세부전공트랙을 작성하여 전공교과목에서 필요한 수학/통계의 내용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각 전공트랙별로 수학/통계의 역할과 중요성을 파악하였고 수학/통계와 연계할 수 있는 트랙도 선정해보았다.

  • PDF

중국의 중학교 통계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통계교육 방안 탐색: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Direction of Middle School Statistics Education through a Comparison of Statistical Content between China & Korea: Focused on the Revised 2022 Mathematics Curriculum)

  • 서보억;임해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329-348
    • /
    • 2023
  • 본 연구는 2022년 12월에 고시된 2022 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통계 내용의 안정적인 현장 정착이라는 현실적인 필요성에 의해 수행된 문헌 연구이다.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중의 하나인 통계교육의 변화 요구를 고려하였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는 중국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통계 내용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왜냐하면 10년마다 수학과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중국이 우리나라와 동일한 2022년에 새로운 수학과 교육과정을 고시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2022 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통계 내용 및 2022년판 중국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현재 사용 중인 수학교과서 통계 내용에 대한 상호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새로운 교육과정의 방향에 부합된 통계교육 실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중국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통계와 확률' 영역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통계교육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요소 5가지를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요소가 반영된 중국의 수학교과서 및 교육과정 부록에 제시된 예시 내용을 분석하였다. 셋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2022 개정 중학과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통계교육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교과서 개발, 교실의 교수·학습 방안 및 추후 새로운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2022 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표방하는 방향에 부합된 현장 통계교육의 안착을 기대한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통계 영역 내용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Contents on Statistic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ccording to 2009 Mathematic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 박영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3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통계 관련 내용을 알아보고, 수학 교과서에서 교육과정의 규준을 어떻게 구현하였는가를 알아보았다. 세부적으로 학년별 지도 내용과 세부 내용 제시 순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평균이 적절하게 도입되었는지, 학생들이 실생활 자료를 수집하는 활동이 교과서에 어느 정도 제시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을 현행 교과서를 분석하는 한 기준으로 삼아 알아보았다. 특히 Cursio가 제안한 통계그래프의 이해수준에 따라서 교과서의 질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통계 영역의 내용 개발에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통계 학습과 관련된 제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An Analysis of Contents on Statistics in the 7th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al Materials)

  • 방정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655-676
    • /
    • 2008
  • 본 논문은 제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통계 지도 목표 및 내용을 살펴보고, 개정 교육과정에서 변화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학 교과서와 익힘 책에서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취지를 어떻게 구현하고 관련 세부 내용을 어떻게 구체화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그래프별로 지도 방법을 분석하고,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수준에 따라 교과서와 익힘 책의 문제를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통계 내용과 관련하여 차기 교과용 도서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확률 및 통계와 교원임용시험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public secondary school teacher employment exam)

  • 오광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6호
    • /
    • pp.1539-1545
    • /
    • 2017
  • 본 연구는 확률과 통계의 내용을 올바르게 지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수학 교사를 선발하기 위한 중등학교 수학교과 임용고사문제 중에서 확률과 통계 영역의 출세 경향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출제 방향과 수준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동시에 학교 수학 교사들에게 확률과 통계 단원을 지도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내용에 대한 일반적인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2015년 개정 고시된 교육과정의 수학 교과 중에서 확률과 통계 단원의 편제와 내용체계, 주요 변화 내용을 조사한다. 둘째, 중등교원임용시험에 15년간 출제 된 확률과 통계 단원의 문제들을 분석한다. 셋째, 기존의 출세 문제들이 중등학교의 확률과 통계를 올바르게 교육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춘 교사를 선발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출제 내용, 범위, 수준, 그리고 방향에 대해서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빅 데이터의 중요성을 감안한다면 자료와 확률에 대한 통계적사고, 탐색적자료분석, 표본조사, 통계적 추론 그리고 공학적 도구의 활용 등의 출제가 더욱 필요하다고 본다.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수학 I 교과서의 통계 단원에 대한 분석 - ICT 소재의 활용성 및 접근용이성을 중심으로 -

  • 이강섭;김소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453-46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하여 발행된 수학I 교과서의 통계단원에 수록된 ICT 소재에 대하여 활용성 및 접근용이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즉 각 교과서에 소개된 모든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 시켜 보았으며 그 내용 및 활용의 용이성을 분석하고 소개된 사이트의 폐쇄 여부와 학생들의 활용 가능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교과서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통계 단원의 보완점을 모색하고, 교육현장에서 기본 자료로서 활용하도록 하였다.

  • PDF

제7차 수학교육과정에서의 고등학교 통계 영역의 지도와 개선방안에 관한 교사의 의견조사 및 분석

  • 홍석강;마종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6권
    • /
    • pp.219-243
    • /
    • 2003
  •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제7차 수학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의 통계부분은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 시점에서 고등학교 의 통계영역에 대해 고찰 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여기에서는 제7차 수학교육과정에서의 고등학교 통계영역의 지도와 개선방안에 관한 교사의 의견조사 및 분석을 주제로 하여 먼저 제7차 교육과정의 주요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고등학교 통계부분의 제6차 교육과정과 제7차 교육과정을 비교 해 보면서 아울러 주요 외국의 고등학교 통계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진행중인 제7차 수학교육과정에서의 고등학교 통계부분에 대한 현직 수학과 교사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설문결과를 살펴보고 설문결과에 대한 분석 및 지도방향을 고찰해보고, 결론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통계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서술하고자 한다.

  • PDF

평가 문항을 활용한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및 인지행동의 위계성 조사 (Investigating the Hierarchical Nature of Content and Cognitive Domains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via Assessment Items)

  • 송미영;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2호
    • /
    • pp.223-240
    • /
    • 2007
  •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수학 성취를 국가수준에서 평가한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학에서의 인지행동이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전반적으로 교육과정의 내용 제시 순서는 난이도 순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인지행동의 위계는 난이도 순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검사 문항의 난이도 순위가 학교에서 배운 수학 교과 내용의 순서보다는 문항에서 요구하는 인지행동의 수준과 더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내용 위계와 인지행동의 위계 간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나, 교육과정에서 늦게 등장하는 내용일수록 요구되는 인지 행동도 높은 수준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내용 및 인지행동의 위계와 난이도 순위 간 상관분석에서 특이한 양상을 나타낸 문항에 대해서는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중 확률.통계에 나타난 의미의 연결망 구조와 분석 (Network Structure and Analysis on the Meaning of Probability.Statistics in the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 최경호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5권2호
    • /
    • pp.245-254
    • /
    • 2008
  • 제7차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고등학교 수학교과 구성에 있어, 확률 통계관련 내용이 과거에 비하여 양적으로 많이 증대되었다. 따라서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확률 통계관련 각 영역이 단원 목표를 제대로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정보화 사회에 요구되는 보다 효율적인 통계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고등학교 수학교과 중 확률 통계관련 내용이 단원의 학습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지를, 제7차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 해설서에 제시된 중심용어와 기호를 중심으로 '연결망분석(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확률변수를 매개로 확률분포에 대한 개념과 통계적 추정에 대한 개념을 연결하는 서술구조는 통계적인 측면에서 매우 잘 표현되어 있으나, '전수조사'와 '표본조사'는 여타의 항목과 연결되지 않는 등, 일부에 있어서는 기술상에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 교과 통계 그래프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의 그래프 지도 개선 방안 탐색 (An Analysis on Statistical Graphs in Elementary Textbooks of Other Subjects to Improve Teaching Graphs in Mathematics Education)

  • 이형근;김동원;탁병주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9-141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타 교과 수업에서 다루고 있는 통계 그래프를 살펴봄으로써 통계적 소양 함양을 강조하는 실용통계 교육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의 통계 그래프 지도의 개선점과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초등학교 타 교과 교과서 99권을 선정하고, 교과서에 등장하는 통계 그래프 133개를 확인하여 이를 교과별, 종류별로 확인하고 내용 측면과 형태 측면으로 나누어 수학 교과서에 등장하는 통계 그래프와는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타 교과 중에서는 사회과에서 통계 그래프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고, 막대그래프와 꺾은선그래프, 표, 원그래프 순으로 등장 빈도가 높았다. 내용 측면에서는 수학과와 타 교과 간 계열성 문제, 비율그래프의 등장 시기, 물결선의 활용이, 형태 측면에서는 시각적 표현의 다양성, 복합적 형태의 표현, 특정 교과에만 등장하는 형태의 그래프가 논의할 만한 이슈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통계 그래프를 지도할 때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제언의 형태로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