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출성과

검색결과 397건 처리시간 0.029초

중국 수출기업의 국제기업가지향성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국제화정도와 시장역동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Entrepreneurial-orientation on the Export performance of Chinese Export company - The moderating Effects of degree of International and Market dynamism -)

  • 박증남;유승훈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5호
    • /
    • pp.99-120
    • /
    • 2017
  • 최근 연구를 살펴보면 다국적기업이 국제경영 활동에서 국제기업가지향성은 기업성과의 향상에 아주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이들 관계는 다양한 연구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개발도상국인 중국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을 때 이들 관계가 선형관계를 미치는지 아니면 비선형관계를 미치는지에 대한 검증은 매우 흥미로운 연구주제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중국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국제기업가지향성과 수출성과에 비선형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국제화 정도와 시장역동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가설검증을 위해 사용된 설문지는 총 478부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국제기업가지향성과 수출성과의 관계는 J형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제화 정도는 국제기업가지향성과 수출성과의 J형 관계를 더욱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제화정도가 높을수록 국제기업가지향성과 수출성과의 J형 관계는 강화되고 이러한 조절작용은 시장이 역동적일수록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기여와 경영적 기여를 한다. 이론적 기여로는 국제기업가지향성과 수출성과는 비선형 관계(J형)를 형성한다는 것이 확인되면서 국제기업가지향성과 수출성과의 관계를 새롭게 접근할 수 있는 실증적인 기여를 이루었다. 경영적 기여로는 역동적인 해외시장에서 국제화정도가 높은 중국기업은 수출성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국제기업가지향성 행위를 지속적으로 실행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중소 제조기업의 공급사슬지향성과 수출성과의 경로에서 구조적 공급사슬지향성과 고객중심 공급사슬 성과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tructure supply chain orientation and the customer-oriented supply chain performance on the path between the supply chain orientation and the export performance in manufacturing SMEs)

  • 조연성
    • 국제지역연구
    • /
    • 제18권3호
    • /
    • pp.89-110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 수출 중소 제조기업의 공급사슬지향성과 공급사슬 성과 그리고 수출성과의 관계를 통합적 모형으로 구축하였다. 공급사슬지향성에서 수출성과에 이르는 경로에서 구조적 공급사슬지향성의 매개효과와 고객중심 공급사슬 성과의 매개효과를 포함한 12개의 가설을 212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전략적 공급사슬지향성은 구조적 공급사슬지향성과 운영중심 공급사슬 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구조적 공급사슬지향성은 고객중심과 운영중심 공급사슬 성과에 모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운영중심 공급사슬 성과는 또한 수출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구조적 공급사슬지향성이 전략적 공급사슬지향성과 고객중심 공급사슬 성과에 완전매개를 보였다. 더불어 운영중심 공급사슬 성과에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운영중심 공급사슬 성과는 구조적 공급사슬지향성과 고객중심 공급사슬성과에 완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구조적 공급사슬지향성의 역할을 탐구한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실무적 측면에서는 수출기업의 운영중심 공급사슬 성과 관리의 중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더불어 연구한계와 앞으로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중국 제조업 수출기업의 국제 기업가 지향성이 수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 흡수 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internation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Chinese manufacturing export Company on export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absorption capacity)

  • 진우이;유승훈
    • 중소기업연구
    • /
    • 제43권3호
    • /
    • pp.91-117
    • /
    • 2021
  •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중국 제조업 중소기업의 국제기업가 지향성이 수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 하고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국 제조업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 총 183개의 기업 데이터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국제기업가 지향성은 수출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국제기업가 지향성은 흡수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흡수역량은 수출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환경 역동성과 네트워크 역량이 강할수록 국제기업가지향성과 수출성과의 관계는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나며, 마지막으로 국제화기간이 길수록 흡수역량과 수출성과의 관계는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 중소기업은 혁신적이고 진취적이고 위험을 감수할수록 수출성과가 더욱 향상되고, 유사한 경쟁기업의 경영방식을 흡수하는 능력이 향상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중소기업 경영자는 국제기업가지향성을 통한 수출성과를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 시켜야 하고, 역동적인 환경에서 이러한 관계는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서 기업 경영자의 흡수 역량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기간이 지날수록 영향력이 약화됨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 수출기업의 혁신활동에 따른 영향요인과 수출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novations of Korea's Exporting Companies and Export Performance)

  • 김귀옥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2호
    • /
    • pp.201-225
    • /
    • 2012
  • 새로운 기술개발과 신제품 출시에는 막대한 연구개발비가 필요하고, 시장의 불확실성도 존재한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의 수출기업들은 선진기업에 비해 연구개발 투자비의 절대규모가 작고 누적 기술자산도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개방형 혁신을 통해 외부의 기술을 활용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연구개발 투자비의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수출기업의 혁신활동에 따른 각각의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이러한 혁신활동이 수출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혁신활동을 폐쇄형 혁신활동과 개방형 혁신활동으로 구분하고, 혁신활동의 영향요인인 기업특성요인, 연구특성요인, 상품특성요인을 독립변수로, 수출성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결과 기업규모, 신상품 출시기간은 혁신활동 각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구역량과 연구성과는 폐쇄형 혁신활동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방형 혁신활동은 수출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폐쇄형 혁신활동은 수출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무역지원기관 서비스품질이 수도권 및 지역 수출기업의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the Service Quality of the Trade Promotion Agency on the Performance of Seoul Metropolitan and Local Exporting Firms)

  • 문희철;배명렬;황경연
    • 통상정보연구
    • /
    • 제17권1호
    • /
    • pp.89-114
    • /
    • 2015
  • 본 연구는 수도권 수출기업과 지역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수출지원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무역지원기관의 서비스 활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PLS분석을 활용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에서 수도권 수출기업의 경우 무역지원기관 서비스품질, 환경 불확실성 및 수출기업의 수출지향성은 무역지원기관 서비스 활용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환경 불확실성은 수출기업의 수출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무역지원기관 서비스 활용도와 수출기업의 수출지향성은 수출기업의 수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역 수출기업은 무역지원기관 서비스품질과 수출기업의 수출지향성이 무역지원기관 서비스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환경 불확실성은 무역지원기관 서비스 활용도와 유의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 불확실성은 수출기업의 수출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무역지원기관 서비스 활용도는 수출기업의 수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수출기업의 수출지향성은 수출기업의 수출성과와 유의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D집중기업의 역량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요인 분석: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the Capabilities of R&D Intensive Firms on Export Performance: Focusing on SMEs and Mid-sized Firms)

  • 우기훈;박배진;박선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4호
    • /
    • pp.167-178
    • /
    • 2016
  • 본 연구는 매출액 대비 R&D 투자 지출이 5%이상인 R&D집중 중소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역량과 수출성과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더불어 기업의 성장이라는 관점에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의 역량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기업역량으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신제품 개발역량, 해외시장정보역량, SNS 및 커뮤니케이션 역량, 브랜드 역량, 마케팅 역량 등 5개 역량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중소기업과 중견기업간에는 5개 역량 중 해외시장정보역량과 브랜드 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2개 역량 공히 중견기업이 중소기업보다 높았다. 또한 역량과 수출성과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5개의 역량중 해외시장정보역량, SNS 및 커뮤니케이션 역량, 브랜드 역량이 수출성과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즉, 이 세가지 역량이 클수록 수출성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R&D집중 중소. 중견기업이 수출성과를 확대하기 위해선 해외시장정보역량, SNS 및 커뮤니케이션 역량, 브랜드 역량을 우선적 강화하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특히, 일반적인 마케팅 역량은 수출성과에 유의한 영향이 확인되지 않은 반면 SNS 및 커뮤니케이션 역량은 정(+)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R&D 집중기업이 수출성과를 늘리기 위해서는 기존의 마케팅 방법과 함께 혁신적인 마케팅 방법도 활용하여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기업의 성장관점에서 R&D 집중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의 역량을 갖추기 위해서는 해외시장 정보역량과 자가 브랜드 역량을 보완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획 - 인쇄물 수출 - 인쇄물 내수물량 한계 탈출구는 수출 -

  • 김상호
    • 프린팅코리아
    • /
    • 제8권5호
    • /
    • pp.58-65
    • /
    • 2009
  • 지난해 인쇄업계의 인쇄물수출은 전년에 비해 20% 가까운 증가세를 보인 가운데 2억5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인쇄물수입은 2.6% 증가에 그쳤지만 금액으로 3억6352만 달러를 기록해 인쇄물의 무역수지는 1억 달러가 넘는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수년간 인쇄물의 수출액이 2억 달러 수준에서 제자리걸음에 가까운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인쇄물의 무역 수지는 여전히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현상이 고착화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일고 있다. 더욱이 지난해처럼 달러화, 유로화, 엔화 등 기축통화에 대한 원화의 가치가 떨어지면서 수출에서의 가격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평가됨에도 불구하고 기대만큼의 높은 증가세를 보이지 못한 것은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또한 대안 마련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해외 마케팅 전문인력의 부족, 미흡한 정부 차원의 수출지원, 중국 등 후발국가에 대한 가격 경쟁 열세 등 우리 인쇄산업의 수출 확대에 가로 놓인 어려움이 적지 않지만 이런 어려움 가운데서도 인쇄물 수출에 아낌없는 노력을 기울여 나름대로의 성과를 거두고 있는 업체들도 있다. 긴 호흡으로 보아야 한다는 인쇄물 수출 분야에 단기간의 성과를 기대하며 도전하는 것은 금물이라는 말이 있다. 내수시장의 고질적인 어려움을 감안, 중장기적으로 수출시장의 개척에 대해 진지하게 모색하는 것은 이제 인쇄업계에 몸담고 있는 이라면 누구라도 공감할 과제의 하나로 다가오고 있다. 인쇄물 수출분야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는 업체들을 만나 본다.

  • PDF

중소기업 마케팅능력이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수출마케팅의 매개효과 및 경쟁 강도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SME Marketing Capability on Market Performance : Mediating Effect of Online Export Marketing and Moderating Effect of Competitive Intensity)

  • 박동진;서영욱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3호
    • /
    • pp.131-148
    • /
    • 2023
  • 본 연구는 온라인 수출마케팅을 활용한 중소기업의 마케팅능력이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중소기업은 시장 확대를 위해 내수시장에서 해외시장으로 시장 확대와 매출증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이 치열한 해외시장에서 성과를 낼 수 있는 요인들을 연구하였다. 총 400개의 수출 중소기업 설문을 수령하였고, 온라인 수출마케팅에 직접 참여한 설문대상자 159개사를 최종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 조사는 SMART PLS 4.0과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의 마케팅능력이 온라인 수출마케팅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수출마케팅의 매개역할을 통해 시장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출시장에서의 경쟁강도는 온라인 수출마케팅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수출 중소기업의 마케팅능력(제품개발능력, 유통능력, 가격책정능력, 홍보능력)이 온라인 수출마케팅을 매개로 하여 해외 시장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으며, 경쟁이 심한 해외시장에서 중소기업의 온라인 수출마케팅 활용은 해외 시장개척과 성과에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중소기업 해외시장 진출과 성과를 위해 온라인 수출 마케팅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

ICT 기업의 해외수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분석 (An Analysis of an Influencing Factor in the Export Performance of ICT Company)

  • 이선규
    • 서비스연구
    • /
    • 제5권2호
    • /
    • pp.1-1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ICT 기업의 해외 수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여 도출된 영향요인들에 대해서 각 요인별로 중요도를 분석하면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ICT 해외 수출기업에 실무적인 차원에서 해외 수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ICT 기업의 해외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1차 계층 요인 중 기업특성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고, 2차 계층 요인을 12개 요인으로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수출경험, 최고경영자 시장지향성, 마케팅 전략, 수출시장 매력도 등 4개 요인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어 ICT 기업의 해외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이 우선은 기업 내부요인 즉, 기업 특성이나 마케팅 특성이 더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