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지상

검색결과 710건 처리시간 0.027초

수지상세포를 통한 조력 T세포의 분화 - 알레르기 질환을 중심으로 - (Helper T Cell Polarizing Through Dendritic Cells)

  • 한만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호
    • /
    • pp.6-12
    • /
    • 2005
  • 지난 5년간 Th1/Th2 기전을 보다 자세히 이해할 수 있는 면역연구분야로서 조절 T세포와 수지상세포에 관련된 연구가 많아졌다. 이중 내재면역과 적응면역의 고리 역할을 하는 수지상세포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Th1/Th2 면역반응을 유도한다. 이에는 수지상 세포 자체의 성질(DC1;Th1/DC2;Th2)과 TLR 수용체 종류(TLR9;Th1/TLR2;Th2) 등에 따라 결정된다. 앞으로 항원제시방법, 세포내 신호전달방법과 더불어 태내부터 감작되는 알레르겐이 내재면역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노들섬 구간에 대한 1차원 하도망 흐름 해석 모형 적용 (Application of 1-D channel network flow model to Nodeul Island)

  • 김극수;김지성;김원;최규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556-556
    • /
    • 2012
  • 본 연구는 수지상, 망상, 분기상 등을 모의 할 수 있는 1차원 고정확도 하천흐름 해석 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복잡한 형태의 하천흐름 해석 모형 개발을 위해 기존 Fread(1973)가 수지상 하천흐름 해석을 위해 개발한 바 있는 Relaxation 알고리듬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망상 및 delta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해 한강 팔당댐 하류 한강대교 노들섬 지점에서 발생되는 유량 분기 현상을 모의하였다. 모의구간은 팔당댐~행주대교 구간이며, 대상호우는 2011년 8월 발생한 사상이다. 대상구간 내 팔당대교, 잠수교, 한강대교 수위관측소의 수위자료를 활용하여 조도계수 보정을 수행하였다. 한강대교 노들섬 구간에 대하여 망상하도를 구성하였으며 한강대교 남단과 북단에서 운영 중인 ADVM 유량관측 자료와 본 연구모형의 모의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추가로 HEC-RAS 모형의 입력자료를 구성하여 모의하였으며 이를 본 연구모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 모형의 하도망 해석 알고리듬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모형을 통해 복잡한 하도로 구성되는 하천 하구 지역의 흐름현상 규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자발성 기흉을 동반한 미만성 수지상 폐 골화증 (Diffuse Dendriform Pulmonary Ossification with Spontaneous Pneumothorax)

  • 조현진;김용희;박승일;김동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2호
    • /
    • pp.292-294
    • /
    • 2008
  • 미만성 폐 골화증은 "폐실질 내에 발생하는 이소성 골 형성"으로 정의되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국내에서는 1예가 보고된 바 있으며, 발병 원인은 아직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미만성 폐 골화증은 무증상이어서 부검에 의해 진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조직 병리 소견에서 결절성과 수지상 두 가지로 분류된다. 저자들은 기존 질환의 병력이 없는 환자에서 발생한 자발성 기흉의 수술적 치료 후 조직 병리 검사에 의해 진단된 미만성 수지상 폐 골화증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온열 요법 후 종양 내 주입한 수지상 세포의 국소 및 원격 항종양 효과 (Intratumoral Administration of Dendritic Cells Combined with Hyperthermia Induces Both Local and Systemic Antitumor Effect in Murine Tumor Models)

  • 권병현;김원택;김용간;김동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51-57
    • /
    • 2006
  • 목적: 마우스 대퇴부에 심은 종양에 43 도의 열을 가한 뒤 수지상 세포를 종양내에 주입하여 국소 및 원격 항종양 효과를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마우스 우측 대퇴부에 MCA-102 fibrosarcoma를 피하로 주입하여 종양을 만들었고, 7일째는 반대편 대퇴부에도 주입하여 종양을 만들었다. 종양 세포를 접종한 지 7 일째 약 6 mm 가 된 종양에 43도의 열을 30 분간 가하고 골수 유래 미성숙 동종 수지상 세포를 종양내에 직접 주입하고, 이를 1 주 간격으로 2회 더 시행했다. $3{\sim}4$일 간격으로 양측 대퇴부의 종양의 크기를 측정하여 국소 및 원격 항종양 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종양 특이적 면역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마우스의 비장 세포를 분리하여 cytotoxicity를 측정하였다. 결과 : 온열치료는 apoptosis를 유도하고 heat shock protein 발현을 증가시켰고, 6시간 경에 최고치를 보였다. 치료한 국소 종양에 있어서 온열 요법 단독만으로 종양의 성장을 억제했지만, 온열 요법 후 수지상세포를 주입했을 때는 그 성장 억제 효과는 온열요법 단독의 효과보다 높게 나왔다. (p<0.05). 한편 치료하지 않은 원 격종양에 있어서도 온열 요법 단독으로 원격 종앙의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온열 요법 후 수지상 세포 를 주입했을 때도 원격 종양의 성장 억제 효과가 온열 요법 단독보다 높았으나, 그 억제 정도가 온열 요법 단독과 비교하여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 Cytotoxicity 검사에서 온열요법과 수지상 세포 복합 치료 군에서 가장 높은 세포살해능을 보였고 (p<0.05), 이러한 면역 반응은 종양 특이적이었다. 결론 : 온열요법으로 apoptosis 와 heat shock protein 을 유도하고 종양내에 동종의 미성숙 수지상 세포를 주입하여 국소 및 원격 종양에 높은 항종양 효과를 유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새로운 치료법은 암 치료에 응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수지상세포 활성화를 위한 세포투과 펩타이드가 결합된 재조합 전립성 산성 인산분해효소의 정제 (Purification of Recombinant CTP-Conjugated Human prostatic acid phosphatase for activation of Dendritic Cell)

  • 이기완;류강
    • KSBB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80-88
    • /
    • 2009
  • glandular kallikrein에 광범위한 상동성을 가지는 인간 전립성 산성 인산 가수분해 효소는, 전립선암의 대표적인 혈청 biomarkers이다. 수지상세포는 유력한 항원 제시 세포이며, 바이러스, 미생물 병원체 및 종양에 대하여 면역 계통에서 강력한 T 세포 응답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종양 특이적인 항원으로 감작된 수지상세포를 이용한 면역요법은 anti-tumor 면역 유도를 위한 강력한 방법중의 하나이다. 크레아젠(주)에서 개발된 CTP (세포막 투과성 펩티드) 기술은 세포 내로의 높은 침투 효율성을 가지며 핵산이나 단백질과 같은 생체 고분자 물질을 접합하여 세포내로 수송할 수 있는 기술이다(36). 하지만 활성형의 인간 전립성 산성 인산 가수분해 효소는 세포사멸을 매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진은 항암 치료용 백신으로의 수지상세포 감작을 위해 비활성형 형태의 다중체 (multimer) 항원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지상 세포의 감작과 활성화에 안전하고 효율적인 다중체 형태 (multimeric form)의 세포막 투과성 펩티드가 융합된 인간 전립성 산성 인산 가수분해 효소를 얻기 위한 정제공정을 기법을 개발하였고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western blot과 Dynamic Light Scattering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아울러, 정제된 다중체 형태 (multimeric form)의 세포막 투과성 펩티드가 융합된 인간 전립성 산성 인산 가수분해 효소는 수지상 세포의 감작시 세포질 내로 효과적으로 침투되었다. 결과적으로 세포의 사멸의 부작용이 없이 MHC class I 분자를 통해 수지상세포의 표면으로 효과적으로 제시되었다.

반응성 고분자 계면상을 도입한 PP/탄소섬유 복합재료의 제조와 물성 (Fabrication of PP/Carbon Fiber Composites by Introducing Reactive Interphase and its Properties)

  • 김민영;김지홍;김원호;최영선;황병선
    • 폴리머
    • /
    • 제24권4호
    • /
    • pp.556-563
    • /
    • 2000
  •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복합재료는 섬유와 기지재료간의 결합력이 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개발의 한계를 가져왔으나 점차적으로 수지의 개발, 공정의 개선, 계면상의 도입으로 지속적인 물성 향상을 이루고 있다. 특히 계면상의 도입은 외부에서 받은 충격을 잘 흡수할 뿐만 아니라 기지재료와 섬유와의 결합력을 높여 준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의 전기전도성을 이용하여 전착(electrodeposition)에 의해 탄소섬유와 수지 사이에 계면상을 도입하였으며 계면상 물질과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약한 결합력을 개선하기 위해 modified polypropylene을 수지에 첨가하였다. 대표적인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을 기지재료로 사용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하여 층간전단강도,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평가한 결과, 전착을 통한 계면상을 도입하였을 경우가 물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착 공정에서는 anhydride 또는 free acid group을 가진 반응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수용액상에서 전하 운반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고 고분자의 종류를 달리하여 계면상 물질의 변화에 따른 복합재료의 물성 차이를 평가하였다. 또한 함침 용액의 농도, 전류밀도 및 전착시간을 변화시키면서 탄소섬유에의 전착수율을 평가하였다.

  • PDF

한국산 쇠오징어 (Sepiella muindroni)의 흡반(Sucker)내 점액세포 및 상피성 감각수용세포 (Mucous cell and Epithelial sensory receptor cells in the Sucker of Korean Squid (Sepniella maindroni))

  • 장남섭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93-303
    • /
    • 1993
  • 쇠오징어(Sepiella maindroni)흠반의 외측 상피조직에서 3종류의 감각세포(A, B 및 D형 감각세포)와, 1종류의 감각상피세포(C형 감각 상피세포) 그리고 2종류의 점액세포(a 및 b형 점액세포)가 각각 관찰되었다. A 및 B형 감각세포는 분포상태가 다를 뿐 형태는 거의 유사한 세포이고 많은 분비액포를 지닌 해면질 형태의 세포로서 전자 밀도가 낮은 물질을 분비하는 분비성 감각세포로 확인되었다. 0형 세포는 매우 작은 감각세포로서 세포의 자유면에 긴 융모가 밀생되어있었고, 측면원형질막은 불규칙한 수지상 연접을 이루고 있었다. 이 세포는 전자밀도가 매우 높아서 검게 보였다. C형 감각 상피세포도 세포의 자유면에 긴 미세융모가 밀생되어있는 단층 원주상 세포로서. 이 세포 역시 측면원형질막이 불규칙한 수지상 연접을 이루고 있고. 엽접내에는 많은 소포와 약간의 사립제가 관찰되었다. 3형 점액세포는 세포질속에 내강이 팽창된 활면소포체를 소지하고 있으며 전자밀도가 높은 구형의 점액과립을 형성하였고, b형 점액세포도 전자밀도가 중등도인 점액질 과립을 소지하고 있었다.

  • PDF

Serine pretease 억제제인 4-(2-aminoethyl) benzensulfonylfluoride (AEBSF)에 의한 호중구의 자연 세포사멸의 지연과 수지상 세포로의 전이분화 연구 (Effects of AEBSF on the Delay of Spontaneous Apoptosis and the Trans-Differentiation of Human Neutrophils into Dendritic Cells)

  • 박해영;곽종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948-955
    • /
    • 2007
  • 생체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중구의 세포사멸은 자연적으로 일어나거나 여러 외부자극에 의한 신호의 전달에 의해 증가하거나 지연된다. 또한 사이토카인과 같은 분화제에 의해 세포사멸이 지연되고 항원 제시 기능을 가진 수지상 세포로 분화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사멸 억제제와 사이토카인을 이용한 시스템에서 호중구가 수지상 세포로 분화되는가를 조사하였다. Pancaspase와 serine protease의 억제제인 zVAD-fmk와 AEBSF를 처리하였을 때 호중구의 세포사멸은 현저히 감소되며 AEBSF는 caspase-3와 serine protease활성을 모두 억제하였다. 호중구의 세포사멸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AEBSF와 함께 분화제로 널리 쓰이는 CM-CSF를 같이 처리하여 3일 동안 배양하면 수지상 세포에서 높이 발현되는 CD8O, CD83 및 MHC class ll의 세포표면 마커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AEBSF와 CM-CSF를 처리한 호중구를 T-세포와 함께 배양하였을 때 SEB가 존재할 경우 T-세포가 증식되었으며 SEB가 없이도 $IFN{\gamma}$는 생성되었다. 이들 결과들로 부터 serine protease 억제제인 AEBSF를 호중구에 처리하여 세포사멸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과 수지상 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는 사이토카인인 CM-CSF의작용을 나타내게 하는 조건과는 서로 상호적으로 연관되어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음이온 평형 및 칼럼교환 선택도 특성 (Selectivity Characteristics for Equilibrium and Column Anion Exchanges)

  • 이인형;이석중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37-139
    • /
    • 2002
  • 이온교환은 액체상 이온과 고체상 이온간의 화학반응이며 연수 및 탈염공정, 특정물질의 제거 및 회수, 토양을 통한 이온성 물질의 이동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온교환수지는 이온교환시 원자가가 높을수록, 수화반경이 작을수록, 이온농도가 낮을수록 증가한다. 본 연구는 이온교환수지에 대한 평형실험을 선택도가 칼럼실험에 적용되는지 조사하였다. 이 실험치 결과에서 음이온 교환수지의 선택도 순서는 OH/sup -/ < F/sup -/ < HCO₃/sup -/ < Cl/sup -/ < Br/sup -/ ≤ No₃/sup -/ < So₄/sup 2-/ 이였으며, 음이온 칼럼 교환도 동일하였다. 또한 바탕 양이온의 가수가 높을수록 이온교환이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다.

결핵성 경부 림프절염에서 수지상돌기세포의 침윤과 임상양상의 연관성 (Clinical implication of Dendritic Cell Infiltration in Cervical Tuberculous Lymphadenitis)

  • 정재우;이영우;최재철;유승민;이화연;임성용;신종욱;김재열;박인원;김미경;최병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5호
    • /
    • pp.523-531
    • /
    • 2006
  • 연구배경: 결핵성 경부 림프절염은 우리나라에서 폐결핵만큼 빈도가 높은 질환이다. 이 질병에서 수지상돌기세포는 초기의 항원 제시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림프절염의 임상 양상과 관련된 항원제시세포의 역할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경부 림프절의 수지상 돌기세포의 침윤과 임상양상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환자들의 입원기록 및 방사선사진을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72례의 조직표본을 대상으로 항산균도말염색을 다시 시행하였고, 수지상돌기세포의 단클론항체로 S-100b를 이용하여 면역조직 화학염색을 시행한 후, 각각 결핵성 육아종안의 수지상돌기세포의 수를 세어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결핵성 경부 림프절염이 있는 환자들의 30%가 폐결핵의 과거력이 있거나 현재 폐결핵을 앓고 있는 상태이었고 21%의 환자에서 항산균도말염색양성을 보였다. 이들 한 육아종안에 침윤된 수지상돌기세포의 수는 평균 $113.0{\pm}7.0$개이었다. 육아종내 수지상돌기세포의 침윤수가 증가됨에 따라 발열과 기침의 빈도는 감소하였고 항산균도말염색상에서 결핵균의 수가 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다중로짓회귀분석을 보면, 수지상돌기세포의 침윤은 특징적으로 발열에 기여하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수지상돌기세포가 결핵성 경부 림프절염에서 발열과 기침 등의 전신증상을 줄이고, 결핵균의 침윤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는 수지상돌기세포가 Mycobacterium tuberculosis의 감염을 조절하고 이와 함께 면역반응도 조절하여, 결핵성 경부 림프절염에서의 임상양상을 결정하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