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용성섬유

Search Result 242, Processing Time 0.063 seconds

Production of Soluble Dietary Fiber of Buckwheat Hulls by Enzymatic Depolymerz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메밀껍질의 효소분해에 의한 수용성 식품섬유소의 생산 및 기능적 특성)

  • Im, Hee Jin;Park, Bo Yeon;Yoon, Kyung You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8 no.2
    • /
    • pp.97-103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roduction of water-soluble dietary fiber (SDF) from buckwheat hulls by using Celluclast or Viscozyme. The functionality of this SDF, including antioxidant activity, glucose- and bile acid-retardation effects in vitro, was measured. SDF yields from cellulose and hemicellulose fractions were 60.5 and 123.7 g/kg dry matter, respectively. Analysis of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SDF by using gel chromatography showed that SDF degradation increased with increase in reaction tim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DF obtained by enzymatic hydrolysis was higher than that of dietary fiber without enzyme treatment. SDF showed higher retardation effects on glucose and bile acid than the sample without dietary fiber di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SDF produced from buckwheat hull by enzymatic hydrolysis is a good source of functional food material because of its high antioxidant activity and glucose- and bile acid-retardation effects.

One-bath Dyeing of Acetate/nylon Blend Fabric with Temporarily Solubilized Reactive Disperse Dyes (일시적 수용성 반응성 분산염료를 이용한 아세테이트/나일론 혼방직물의 일욕염색)

  • 이정진;김정훈;윤양수;김재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202-205
    • /
    • 2003
  • $\beta$-Sulfatoethylsulfone기를 갖는 일시적 수용성 반응성 분산염료는 분산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염욕내에서 단분자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염색 공정 중 온도와 pH조건의 변화에 따라 Scheme 1과 같이 비수용성 vinylsulfone form으로 변환된다[1]. 이 때 vinylsulfone기는 섬유와 화학결합을 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반응기이므로 이 염료는 일시적 수용성 분사염료와 반응성 염료의 두 성질을 동시에 지닌다[2]. (중략)

  • PDF

Dietary Fiber Compositon and Viscosity of Extracts from Domestic Barley, Wheat, Oat, and Rye (국내산 맥류의 식이섬유 조성 및 이들 추출물의 점성 비교)

  • 이영택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4 no.3
    • /
    • pp.233-238
    • /
    • 2001
  • 국내산 품종별, 보리, 귀리, 밀, 호미의 식이섬유 함량과 추출물의 점성을 분석하여 생리적 기능성이 높은 식물 소재로서의 활용성을 모색하였다. 평균 총 식이섬유함량은 보리 19.9%, 호밀 18.0%, 밀 15.9%귀리 groat 15.5%,보리쌀 9.7%의 순이었다. 수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은 보리 6.6%, 호밀, 6.4%, 보리쌀 5.4%, 구리 .groat 4.9%밀 3.8%의순이었으며 ,밀과 호밀의 제분부산물인 bran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활용성이 높은 식이섬유 소재인거승로 확인되었다. $\beta$-glucan 함량은 보리와 귀리에서 4.4.~4.5%로 유사하게 높았으며 호밀과 밀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총 $\beta$-glucan 에대한 수용성 $\beta$-glucan 의 비율로 나타낸 용해성은 귀리와 보리순으로 높았으며 밀과 호밀에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섬유 추출물의 점도는 호밀, 보리쌀 귀리, groat. 밀의 순으로 높았으며, 맥류 품종의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높을수록 점도가 높을경향을 보여주었다. 국내산 맥류의 고점도 식이섬유는 생이기능성이 높은 건강식품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클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Preparation of Soluble Dietary Fiber from Oak Wood (Quercus Mongolica) and Its Physiological Function in Rat Fed High Cholesterol Diets (참나무 (Quercus Mongolica)로부터 수용성 식이섬유소의 제조 및 기능성 검증)

  • 채영미;임부국;이종윤;김영희;이순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36 no.1
    • /
    • pp.9-17
    • /
    • 2003
  • The preparation method of a soluble dietary fiber from oak wood (Quercus mongolica) and the effect of the soluble dietary fiber on physiological function in rat fed high cholesterol diets was investigated. The best condition for steam explosion method was 25 kgf/㎤ pressure for 6 min. The exploded samples were delignified by the filtration treatment with 1% NaOH for several times, which is the best condition. The enzymatic hydrolysis of Cellusoft cellulase was more effective than Onozuka R-10 cellulase. The manufactured soluble dietary fiber was assayed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and it was dissolved in water. Averag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manufactured soluble dietary fiber was about 348-1,200 and it was assumed the oligomer form fraction. In order to compare the manufactured soluble dietary fiber with commercial soluble dietary fiber (pectin)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ing 100$\pm$10 g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normal diet and five high cholesterol diet containing 1% cholesterol. The high cholesterol diet groups were classified to fiber free diet (FF group), 5% pectin (5P group), 10% pectin (l0P group), 5% manufactured soluble dietary fiber (5M group) and 10% manufactured soluble dietary fiber (10M group). Body weight gains in all soluble dietary fiber groups were lower than FF group. Food intakes were increased in all soluble dietary fiber groups than that of FF group. Food efficiency ratio (FE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soluble dietary fiber groups than that of the FF group, and it was especially was highest in 10% supplemented soluble dietary fiber group. The weight of liver of the soluble dietary fiber supplemented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FF group, but weights of cecum and small intestine of all supplemented soluble dietary fiber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FF group. The weights and water contents in fec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soluble dietary fiber. The activity of the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in soluble dietary fiber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ose of FF group. The hepatic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in all soluble dietary fiber supplemented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FF group.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the manufactured soluble dietary fiber are the same as the commercial soluble dietary fiber (pectin).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soluble dietary fiber from the oak chips suited to its purpose. (Korean J Nutrition 36(1) : 9~17, 2003)

A Study ion the Contents of Dietary Fibers and Crude Fiber in Kimchi Ingredients and Kimchi (김치재료 및 김치의 식이섬유와 조섬유 함량연구)

  • 박건영;하정옥;이숙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5 no.1
    • /
    • pp.69-75
    • /
    • 1996
  • 배추김치 재료 및 김치의 총 식이 섬유(수용성 및 불용성) 함량 측정과 조섬유 함량을 측정하여 김치의 실제 이용 식이섬유 함량을 섬유소로 알려진 조섬유 함량과 비교확인하였다. 김치재료 중 $마늘(22.3\pm1.3%)이$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가장 높았고 $고춧가루(31.7\pm0.1)는$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가장 많았다. 김치 재료의 총 식이섬유 함량은 건조물단 19.1~39.1%로 $고춧가로(39.1\pm0.6%)가$ 가장 높았다. 김치는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수용성 식이섬유 보다 2배 정도 많았고 생김치와 $5^{\circ}C에서$ 3주 발효한 김치의 총 식이섬유 함량은 각각 $20.7\pm0.1%와$ $24.0\pm0.1%로$ 적당히 익은 김치의 식이섬유 함량이 높았다. 김치재료의 조섬유 함량은 총 식이섬유 함량과 크게 차이가 있었는데 마늘은 $1.3\pm0.1%로$ 가장 낮았고 고춧가루는 $20.5\pm0.7%를$ 나타내었다. 김치의 조섬유 함량은 식품성분표에서의 함량과 비숫하여 신선물당 생김치는 $0.7\pm01%,$ 3주 김치는 $0.9\pm0.1%였으나$ 건조물당은 생김치 $8.2\pm0.5%,$ 3주 김치는 $9.3\pm0.2%로$ 총 식이섬유 함량의 1/2~1/3 정도이었다.

  • PDF

기능성 식이섬유 소재의 생산기술

  • 김종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2000.05a
    • /
    • pp.5-7
    • /
    • 2000
  • 국내에서의 식이섬유의 이용은 대부분 저분자량의 수용성 식이섬유를 이용한 음료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밀기울, 귀리, 옥수수 껍질 등으로 부터 얻는 불용성 식이섬유는 제과 및 제빵등에 이용되어 오고 있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며, 불용성 식이섬유는 변비예방과 장기능 증진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대장암과 변비같은 장질환 환자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산 미이용 자원으로부터 불용성 식이섬유의 기능성 향상과 활용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식품산업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는 폴리덱스트로스와 올리고당과 같은 기능성 당류의 대부분이 외국에서 수입하여 국내에 보급되고 있기 때문에 큰 외화지출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산 미곡 부산물인 밀기울 식이섬유 세포벽의 불용성 구조를 수용성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변형기술과 얻어진 수용성 식이섬유 소재의 특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즉, 밀기울 세포벽의 수용화를 위한 가공처리는 압출성형 공정에 의하여 실시하였으며, 수용화가 수반되는 압출성형 조건에 따른 식이섬유 소재의 이화학적 특성과 수용화가 일어난 세포벽 성분의 분해기작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현행 올리고당과 식이섬유의 산업적 생산공정에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효소처리, 산성하에서의 감압가열, 고점도 원료물질의 이송, 생물공학적 공정제어, 반응시간, 잔여 효소의 불활성화 및 재활용, 제조원가 상승 등과 같은 것을 해결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효율적인 압출반응공정의 조건과 생산된 소재 glucooligosaccharide, fructooligosaccharide, galactooligosaccharide 등의 특성에 대하여 논하여 보기로 한다.경우가 많지 않다. 또한 그 발생 경위나 원인요소에 대해서는 일반에게 공개되지 않고 있어, 우리가 실천하여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정보가 함께 제시되지 못하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최근 수년간 외국에서 학교급식을 비롯한 집단급식 등에서 발생한 식중독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식중독 발생에 기여한 주요 원인을 찾아내고 여기서 얻어지는 교훈을 토대로 식중독 발생을 예방 및 최소화할 수 있는 실천적 대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중의 E. coli O157:H7이 연관되어있다는 보고도 있다. 목장 방문시 원유를 마신 어린이에서 HUS가 유발하였고, 균분리 결과, 농장의 소와 어린이에서 유사한 E. coli O157:H7이 분리된 바 있다. 본 연자들은 베로톡신 유형, plasmid profiles, RFLP 분석, phage type을 기초로하여 소에서 분리된 E. coli O157:H7이 사람유래주와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였다.mm 및 2-6mm 난포에서의 101개(67.8%) 및 47개(50.0%) 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다. 전체 회수 난포란수도 4등급이 59.1%(149/252)로써 1, 2, 3등급의 0.4% (1/252), 7.6%(19/252) 및 32.9%(83/252)보다 높게 나타났다. 1회 평균 회수 난포란은 $\leq$2mm 난포에서 4.8$\pm$3.7개로써 2-6mm(3.0$\pm$3.4개) 및 $\geq$6mm (0.3$\pm$0.6개)보다 높았으며, 1회당 평균 8.1$\pm$5.1개의 난포란을 회수하였다. investigation can be separated into sa

  • PDF

Effects of Heat Treatments on the Dietary Fiber Contents of Rice, Brown Rice, Yellow Soybean, and Black Soybean. (가열처리에 의한 백미, 현미, 노란콩 및 검정콩의 식이섬유 함량 변화)

  • 서우경;김영아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1 no.1
    • /
    • pp.20-25
    • /
    • 1995
  • The effects of cooking on the dietary fiber content in rice, brown rice, yellow soybean and black soybean were investigated. The dietary fiber contents were analyzed by Prosky's method(AOAC method) after boiling, microwave heating and autoclaving of the sample. It was showed that the different cooking methods resulted in different effects on the insoluble dietary fiber contents. Except yellow soybean, cooking time had little effect on insoluble dietary fiber contets in the other samples. The contents of soluble dietary fiber were generally increased by cooking. Increased cooking time reduced the content of soluble dietary fiber in brown rice but increased in ric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caused by cooking time were observed for soluble dietary fiber in black soybean. The effects of cooking method on the total dietary fiber contents were similar to those of insoluble dietary fiber. The reasons for this might be that the main fraction of total dietary fiber was insoluble forms and the content of total dietary fiber was calculated as the sum of insoluble and soluble dietary fiber content.

  • PDF

One-bath Dyeing of Blend fabric with Reactive Disperse Dyes (반응성 분산염료를 이용한 혼방섬유의 일욕염색)

  • 김지수;이정진;윤양수;김재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225-226
    • /
    • 2003
  • 일시적 수용성 반응성 분산염료는 염료합성시에 분산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원가절감 및 밀링공정 생략에 의한 생산성 증대효과가 있다[1-2l. 또한 혼방섬유를 단일염료로 일욕에서 염색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단축의 효과, 염색공정시에도 분산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제절감 및 염색폐수의 환경문제 개선 둥의 장점이 있다. 3원색(yellow, red, blue)의 일시적 수용성 반응성 분산염료를 이용하여, Acetate/Nylon(A/N), Acetate/polyester(A/P), Polyester/Nylon(P/N) 혼방섬유를 일욕에서 염색하였으며, 염색성, 견뢰도 및 염색폐수의 환경성을 평가하였다. (중략)

  • PDF

Dispersant-free dyeing of polyester with temporarily solubilised azo disperse dyes from pyridone derivatives (피리돈계 일시적 수용성 아조 분산염료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염색)

  • 이정진;한남근;이원재;최재홍;김재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143-146
    • /
    • 2002
  • 폴리에스테르를 염색할 수 있는 분산염료는 비수용성이기 때문에 염색시 염욕 내에서 응집, 결정화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분산제를 첨가하여야 한다. 그러나 분산제를 사용하더라도 분산염료를 염욕 내에서 완전한 분산상태로 만들 수 없으며, 염색시 여러 원인에 의해 염료의 재응집 현상이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거론되고 있는 환경문제로 인하여 분산제의 사용이 제한될 가능성도 있다. (중략)

  • PDF

Synthesis and Properties of Superabsorbents from Sodium Alginate-g-PAN (PAN 그라프트 공중합 알긴산 나트륨계 고흡수성 수지의 합성과 성질)

  • 김정수;이영희;김한도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3-36
    • /
    • 2001
  • 고흡수성 고분자는 이온성기를 가진 수용성 고분자에 부분적인 가교결합을 도입하여 일반적으로 카르복실기 이온 (-COO-)등과 같은 친수성기를 다량으로 지닌 3차원 망상구조를 지니는 수용성 고분자이다[1]. 여지껏 물을 흡수하는 목적으로 사용된 흡수소재는 면, pulp, sponge 등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물을 흡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흡수 재료의 흡수능력은 자기 무게의 수백 배로부터 천 배까지의 물도 흡수하며 외압하에서도 잘 탈수되지 않는 고기능성 고분자이며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