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Heat Treatments on the Dietary Fiber Contents of Rice, Brown Rice, Yellow Soybean, and Black Soybean.

가열처리에 의한 백미, 현미, 노란콩 및 검정콩의 식이섬유 함량 변화

  • 서우경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영아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5.02.01

Abstract

The effects of cooking on the dietary fiber content in rice, brown rice, yellow soybean and black soybean were investigated. The dietary fiber contents were analyzed by Prosky's method(AOAC method) after boiling, microwave heating and autoclaving of the sample. It was showed that the different cooking methods resulted in different effects on the insoluble dietary fiber contents. Except yellow soybean, cooking time had little effect on insoluble dietary fiber contets in the other samples. The contents of soluble dietary fiber were generally increased by cooking. Increased cooking time reduced the content of soluble dietary fiber in brown rice but increased in ric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caused by cooking time were observed for soluble dietary fiber in black soybean. The effects of cooking method on the total dietary fiber contents were similar to those of insoluble dietary fiber. The reasons for this might be that the main fraction of total dietary fiber was insoluble forms and the content of total dietary fiber was calculated as the sum of insoluble and soluble dietary fiber content.

가열방법 및 시간에 따른 백미, 현미, 노란콩 및 검정콩의 식이섬유 측정치의 변화 양상은 다음과 같다. 불용성 식이섬유는 가열처리 방법에 따라 변화 양상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며 노란콩을 제외한 다른 시료에서는 가열시간에 크게 영향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가열처리에 의해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가열방법에 따라 변화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가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백미의 수용성 식이섬유는 증가하였으나 현미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노란콩은 가열시간에 따른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검정콩은 가열시간에 영향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열처리에 의한 총식이섬유의 변화는 대체로 불용성 식이섬유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모든 시료들이 수용성 식이섬유 보다는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이 현저히 많고 본 실험에서 총식이섬유를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의 합으로 계산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