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영

Search Result 1,11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Kinematic Comparison of Start Motion Between the Swimming and Fin-Swimming (수영과 핀수영 스타트 동작의 운동학적 비교)

  • Kim, Seung-Kwon
    • Korean Journal of Applied Biomechanics
    • /
    • v.18 no.1
    • /
    • pp.97-105
    • /
    • 2008
  • The kinematic variables for swimming and fin-swimming start motions were analyzed and compared using 3-dimensional cinematography. For the swimming start, the arm segment moved towards the upper rear and trunk towards the upper front followed by a descent towards the lower front, while the fin-swimming start motion showed movement towards the lower front for all segments. The total body center of gravity for the swimming start showed horizontal movement far to the front followed by a rapid descent while the fin-swimming start showed close movement towards the lower front in a short period of time. Upon entering the water, the center of gravity for swimming showed high vertical velocities while fin swimming had high horizontal velocities. For both swimming and fin swimming, the upper extremity velocity had more influence on the total center of gravity velocity than the lower extremities. Flexion of the hip joint was observed before the jump for the fin swimming start while the swimming start showed two flexions in mid-air succeeding the jump. The flexion and extension movements at the knee joint during the fin-swimming start motion were shown to be larger and more rapid than those of fin-swimming.

규칙적인 수영훈련과 비타민 C 섭취가 운동스트레스시 마우스의 항산화체계에 미치는 영향

  • 황혜진;윤군애;곽이섭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434.2-435
    • /
    • 2004
  • 본 연구는 마우스에 있어 규칙적인 수영훈련과 비타민 C 섭취가 운동스트레스를 부여하였을 때 항산화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수영훈련은 6주령의 Balb/c 마우스를 분양받아 1주간의 환경적응과 1주간의 수영적응 훈련을 (30 min/day) (5d/week) 실시하여 적응 여부를 가려 8주간의 본 수영훈련을 실시하였다(1 h/day) (5d/week). 실험군은 통제군(control: C), 수영훈련시킨 군(training: T), 수영훈련과 비타민 C를 투여한 군(training + vitamin C (1.3 g/100 g diet) : TC}으로 나누었다.(중략)

  • PDF

소비자 감성에 기초한 경기용 여자 수영복 디자인 기획의 제시

  • Lee, Ju-Hyeon;Jang, Jin-Hui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2
    • /
    • pp.183-20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1) 경기용 여자 수영복의 디자인을 분석하여 대표적인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2) 경기용 여자 수영복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한 디자인 기획의 지침을 제시하며 3) 디자인기획의 지침을 토대로 하여 합리적인 경기용 여자 수영복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오미겐타로의 디자인평가인자 이론을 개념적 모형으로 하여 경기용 여자 수영복의 이미지를 20개의 디자인 세부요소로 분해하여 디자인 특징을 기술하는 디자인 요소 분석 체계를 구성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디자인 요소 분석 체계를 보완하고 개발하였다. 경기용 여자 수영복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의 주요 하위 차원으로는 참신함, 발랄함, 심플함, 강함 차원 등이 도출되었다. 또한 경기용 여자 수영복의 디자인 세부 요소들 중 로고와 색체에 관련된 디자인 세부 요소들은 선에 관련된 디자인 세부 요소들보다 감성에 더욱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기존의 스포츠 마케팅에서 로고를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해온 것은 타당함을 의미하였으며, 경기용 여자 수영복 디자인 기획에서는 로고 뿐 아니라 색채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의미 있는 감성 효과를 나타낸 디자인 세부 요소들은, 스포츠마케팅 및 디자인 마케팅 분야에서 경기용 수영복 디자인 제품에 대한 체계적인 소비자 평가 기준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erformances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Fabrics for Swimsui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한 수영복 소재의 성능)

  • 정승은;박정희;최정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247-250
    • /
    • 2003
  • 수영이 현대인들에게 보편화되면서, 수영복은 디자인 뿐만 아니라 소재 면에서도 여러 가지 성능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수영복 소재가 갖추어야할 주요 성능으로는 신축성, 내구성, 염색견뢰도, 속건성 등이 있다.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수영복 소재는 나일론이나 PET이고, 주로 20-25%정도의 스판덱스가 혼용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염소수, 해수, 일광에 의해 취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지혜 깊어지는 건강_내 몸에 꼭 맞는 운동: 더운 여름 시원하게 수영하자

  • Lee, Yun-Mi
    • 건강소식
    • /
    • v.35 no.7
    • /
    • pp.26-27
    • /
    • 2011
  • 물을 매개로 운동하는 수영은 체력수준에 상관없이 남녀노소 모두 도전할 수 있는 운동이다. 수영은 심폐기능을 증진시키고 전신을 골고루 발달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비만 예방 및 허리 통증에도 효과적이다. 물에 대한 공포심만 없애면 누구나 도전할 수 있다. 더운 여름, 물살을 가르는 수영에 도전해보자.

  • PDF

레저코치 - 건강은 챙기고 더위는 잊는 수영

  • Choe, Ga-Yeong
    • 건강소식
    • /
    • v.37 no.7
    • /
    • pp.24-25
    • /
    • 2013
  • 한 마리 물고기처럼, 깊은 물속을 자유롭게 헤엄치는 일은 매력적이다. 많은 사람이 운동과 건강을 목적으로 수영은 찾고 있다. 체형관리는 물론, 관절염이나 요통 치료를 위해서 수영을 시작하는 경우도 많다.

  • PDF

Chloroform Body Burden From Swimming In Indoor Swimming Pools (실내 수영장에서 수영시 야기되는 클로로포름 인체부담)

  • ;C.P. WEISEL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4 no.4
    • /
    • pp.357-365
    • /
    • 1995
  • The use of chlorinated water in swimming pools produces elevated chloroform levels in the water and air of the pools which can cause chloroform body burden of swimming individuals. Present study confirmed the chloroform body burdens from a 40-min swimming and evaluated the decay of chloroform breath concentration after the cessation of a 60-min swimming. Air and water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in the pools. The water and air chloroform concentrations ranged from 18.1 to 25.3 ${mu}g/l$ and from 30.9 to 60.7 ${\mu}g/m3$ for the confirmation study, respectively. The breath level after 40-min swimming was about 64 to 266 folds higher than the corresponding background breath. The breath concentration after the 40-min swimming ranged from 10.5 to 21.3 ${\mu}g/m3$, while that prior to the corresponding swimming ranged from 0.07 to 0.19 ${\mu}g/m3$. In addition, the post-exposure breath level varied with the subjects who swam in the pool on the same visiting day. Breath concentration increased gradually during 60-min swimming, then decreased rapidly within 5 minutes after the cessation of exposure, after that, decreased slowly, and finally approached to a background breath level at 1-2 hr after exposure.

  • PDF

National Awareness of the 2019 World Swimming Championships using Big Data from Social Network Analysis (소셜네트워크 분석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2019세계수영선수권 대회의 국내 인식조사)

  • Kim, Gi-Tak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4
    • /
    • pp.173-184
    • /
    • 2019
  • The data processing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word data search in social media through textom and the big data analysis is carried out and three areas (2019 Gwangju World Swimming Championships, 2019 Gwangju World Swimming Masters Competition, 2019 World Swimming Championships Problem) was consistently handled through data collection and refinement in the web environment. We applied the collected words to the program of Ucinet6, visualized them, and conducted a CONCOR analysis to grasp the similar relationship of words and to identify the cluster of common fac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lusters related to the 2019 Gwangju World Swimming Championships mainly consisted of four major areas of recognition and perception, mainly searching for operational aspects related to the swimming championship, and the community related to the 2019 Gwangju World Swimming Masters Competition Is mainly searched for the promotion of the Masters Competition and the aspect of the competition divided into two areas of major recognition and peripheral recognition. The cluster related to the problems of the 2019 Gwangju World Swimming Championships is divided into five areas, And they are mainly searching for the place, operation, institution, event, etc. of the problem of the swimming championship.

The effect of swimming plus hypolipidemic agent on obesity (비만에 대한 고지혈증 치료제와 수영운동의 병합처방의 효과)

  • Jeong, Sun-Hyo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6 no.1
    • /
    • pp.34-46
    • /
    • 2019
  • Obesity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metabolic disease. This study showed whether fenofibrate, a hypolipidemic agent, swimming and swimming combined with fenofibrate (: combination) regulate obesity, and whether combination is more effective than fenofibrate on regulation of obesity in high-fat diet-fed mice for 8 weeks. Both fenofibrate and swimming decreased obesity-associated factors such as body weight, adipose tissue mass, serum lipid levels and adipoctye size, compared with control mice. When mice were concomitantly treated with fenofibrate and swimming, combination reduced further the inhibitory effects on obesity-associated factors, compared with fenofibrate. Both fenofibrate, swimming and combination decreased serum glucose levels, compared with control mice. The evidence is presented herein that combination were effective to control obesity and serum glucose levels, suggesting that swimming combined with fenofibrate might contribute to inhibition of high-fat diet fed-induced metabolic syndrome.

자연 하천구간과 하천 복원구간에서의 식물상 고찰

  • 최철만;성정숙;문성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252-254
    • /
    • 2004
  • 수영천의 식물상은 모두 38과 68속 82분류군으로 조사되었는데 수영천 본류에서는 75분류군, 온천천에서는 42분류군으로 조사되어 온천천보다는 수영천 본류에서 많은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다. 수영천에서 조사된 식물 82종류중 국화과(Compositae) 식물이 10속 14종(17.1%)으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고 다음으로 화본과(Gramineae) 식물이 5속 6종(7.3%), 마디풀과 (Pologonaceae) 식물이 2속 5종, 십자화과(Cruciferae) 식물이 5속 5종, 콩과(Leguminosae) 식물이 5속 5종으로 각 6.1%를 차지하으며 기타 41속 47종(57.3%)으로 조사되었는데 다른 하천변 식물의 출현양상과도 유사함을 보였다. 또한 조사된 식물 중 대부분은 수영천 본류의 하천변에서 성장하고 있었으며 온천천에서는 꽃창포(Iris ensatra)를 비롯한 7분류군이 식재되어 외관상 보기에 좋도록 조성되어져 있었고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을 비롯한 12분류군의 귀화식물이 대부분 온천천에서 자라고 있었다. 도시화의 척도로서 이용되는 도시화 지수(UI)는 수영천 본류에서 25.3%, 온천천에서 28.6%로 다른 하천변의 도시화 지수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