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업모형개발

검색결과 589건 처리시간 0.031초

학교도서관 융합독서교육을 위한 교육방법 및 모형개발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Method and Model for Convergence Reading Education in School Library)

  • 조수연;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5-33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2022개정 교육과정과 미래 교육의 패러다임에 부합하는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공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모색하며 독서교육의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복잡하고 다원적이며 급격한 정보통신 발전의 속도 속에서 정보를 읽고 선별하며 재구성하는 정보활용능력 뿐만 아니라 불확실한 미래와 다변적인 상황에 대응하는 변혁적 역량이 중요함에 따라 창의적이고 협력적인 문제해결의 방법 및 과정을 탐색하고 도출하기 위해 독서를 매개로 탐구하고 소통하는 경험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교육과정의 총론 및 각론, 국제 교육 프로젝트의 및 평가의 영약과 지표를 분석하고 학문적 이론과 연구를 정리하여 고등학교 독서교육의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고 창의·융합 수업전략과 독서활동 내용을 구성하여 학교도서관 독서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독서수업모형은 독서교육 및 교육과정 관련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수정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수정한 모형은 교육 현장에서 수업을 실연하고 적용평가를 통해 보완하여 최종 학교도서관 융합독서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수학사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허도하;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0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3-88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에 적용 가능한 수학사를 추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수학사를 활용하는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수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실험집단에는 수학사를 활용한 수업을, 비교집단에는 교과서를 활용한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중에 수집된 자료는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 방법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학사를 활용한 수학수업은 학생들의 의사소통 참여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을 주었으며, 둘째, 학생들이 수학적 논리를 가지고 자신의 의견을 상대방에게 정당화하게 하였다. 또한 셋째, 수학사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등학교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한복과 창의적인 의생활'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Maker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 김샛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3-7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육 현장 실정에 맞춘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자가 구축한 의생활 메이커스페이스에서 실행해 가정과 메이커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가정과 메이커 교육 모형을 설계하고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은 메이커 교육 모형인 TMSI 모형과 Laster(1982, 2008)의 실천적 행동 수업 모형을 통합·수정하여 개발한 TPMS모형{팅커링(T: 4차시), 실천적 추론하기(P: 3차시), 함께 만들기(M: 4차시), 공유·확산하기(S: 1차시)}으로 총 12차시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가정과 메이커 프로그램의 주제는 '창의적인 전통 의생활 문화(한복)의 실천과 확산'이다. 둘째,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가정과 메이커 수업이 5점 만점에서 체험적(4.26), 인지적(4.22), 감성적(4.18), 사회적(4.18), 실천적(4.10) 순으로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가 1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만들기 활동을 통해 다양한 교육적 목적을 꾀해온 가정 교과의 실습 교육에 기여가 되기를 기대한다.

국어 교과 지원을 위한 ICT활용 교수.학습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ICT Teaching-Learning Model for Supporting Subject of Korean)

  • 김영기;한선관;김수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331-339
    • /
    • 2003
  • 본 연구는 국어 교과를 지원하는 ICT활용 교수 학습 모형의 개발에 관한 내용이다. 우선 국어 교과에서 ICT 활용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모형 개발의 유형을 3가지 제안하고, 국어 교과에서 적용되는 교수 학습모형 및 ICT 활용유형 등의 문헌연구 및 교과분석을 통하여 ICT활용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교수 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ICT 활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국어과 ICT 활용 교수 학습 모형은 다른 교과에서 ICT를 활용한 교수 학습 모형을 설계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국어과 교수 학습에서 단순히 매체를 이용한 흥미유발의 수준에서만 ICT를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단계에서 적절한 ICT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국어과 수업에 대한 전문성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전문교과의 효과적인 통합교육 수업설계를 위한 사례 분석 연구 (A Case Study for Effective Course Plan of Integrated Education with Specialized Subject)

  • 전종호;정순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1-20
    • /
    • 2012
  • 교육분야에서 창의와 융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통합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통합교육 모형, 교육내용 개발과 관련된 연구가 대부분이고 수업설계와 관련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통합교육 수업설계를 안내하기 위한 통합교육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성공적으로 통합교육을 실시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통합교육의 세 가지 교과의 수업 유형과 네 가지 교사의 수업 참여 유형의 관계와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업에 중심을 둔 네 단계의 통합교육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각 단계별 주요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

Jigsaw III 협동학습이 여학생의 과학학업성취도와 과학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Jigsaw III Cooperative Learning on Science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of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 황영란;박윤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1호
    • /
    • pp.91-10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수업에 Jigsaw II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전통적 학습 모형과 비교해 봄으로써 Jigsaw III 협동학습이 수업 처치, 성 차이, 성적 차이에 따라 과학학업성취도와 과학학습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남녀 분리반 여학생의 과학수업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 모형을 모색하려고 하였다. 남녀 분리반 중학교 2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통적 수업 학급 여자 36명, 남자 35명, Jigsaw III 협동학습 학급 여자 38명, 남자 34명으로 총 143명이었다. 수업은 중학교 2학년 전기단원에 대해 총 18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반 수업은 수업 내용과 관련하여 개발한 학습 자료를 사용하였고 통제반에서는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강의 중심 수업을 하였다. 수업 처치, 성, 성적 차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성취도 검사와 학습태도 검사를 사전 사후에 각각 실시하였고,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Jigsaw III 협동학습은 실험반의 중학교 여학생들의 주관식 과학학업성취도 향상에 도움이 되었고, 중하위 성적 학생들의 과학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데도 효과적이었고, 과학학습태도 면에서는 Jigsaw III 협동학습이 스스로 공부하는 자율학습태도를 향상시켰다. 의견 조사에서 남학생보다는 여학생들이 Jigsaw III 협동학습에 대해 더 긍정적이었다. 그러므로 Jigsaw III 협동학습은 남녀 분리반 여학생과 중하위 성적 학생들의 과학학업성취도와 자율학습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큰 수업모형이라고 할 수 있겠다.

  • PDF

과학 글쓰기 활동을 통한 문제해결력 신장 방안에 대한 연구 (Study on Enhancement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Science Writing Activities)

  • 박혜진;강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6호
    • /
    • pp.649-657
    • /
    • 2014
  • 과학 글쓰기가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에 영향을 주는지 알기 위해서 과학글쓰기 수업 모형(REWS 모형)을 개발하였다. REWS 모형은 네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R단계는 읽기를 통해 과학적 문제를 인식하는 단계이며 E단계는 문제를 탐색하는 단계, W단계는 글쓰기를 통해 과학적 이해를 증명하는 단계이고 S단계는 통합적 문제해결 단계이다. 135명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나누고 실험반은 REWS 모형으로 수업을 하였고 비교반은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은 34차시동안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실험반과 비교반의 문제해결에 필요한 비판적 사고력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5). 즉 과학 글쓰기를 강조한 수업 전략은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브루타 교수법을 적용한 학교도서관 수업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pplying Havruta method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for School Library)

  • 최은비;김예진;박지영;권선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년도 제24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77
    • /
    • 2017
  •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함에 따라 창의적 인재 육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수업방식에 변화를 주어 창의력 향상을 도모하는 하브루타가 각광받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정규 교육과정에 주어진 시수와 인력부족으로 인해 하브루타 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에서 진행할 수 있는 하브루타 모델을 적용한 수업모형을 제안한다.

  • PDF

중학교 '진화' 단원 디지털 교재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Instructional Effect of Digital Textbook for the Biological Evolution Unit in Middle School Science)

  • 정유나;차희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9-99
    • /
    • 2019
  • 이 연구는 중학교 '진화' 단원을 디지털 교재로 개발하여 학생들의 진화 개념 형성과 학습에 대한 흥미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오랜 시간에 의한 생물의 변화를 설명하는 생물 진화에 대한 설명은, 많은 내용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고, 영상을 제작하고 편집할 수 있으며, 어려운 개념을 재미있게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교과서가 서책형 교과서를 통해 이루어질 때 효과적일 수 있다. 연구를 위해 먼저 5E 순환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전자책 저작 도구인 iBooks Author를 활용하여, 4차시로 구성된 진화수업을 만들었다. 개발한 디지털 교재의 효과 검증을 위해 서책형 수업과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을 비교했다. 서책형 교재를 통한 수업과 디지털 교재를 활용한 수업 모두 진화 개념 형성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으나 생명 과학 흥미도와 진화 흥미도는 디지털 교재 수업 집단에서만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학생을 유형별로 나누어 디지털 교과서 효과를 확인한 결과 디지털 리터러시에 따라 스마트 기기에 친숙한 그룹이 수업에 더 적극적이었고 흥미가 높았다. 개발된 디지털 교재의 만족도 역시 디지털 리터러시가 높은 그룹에서 긍정적인 점수를 나타냈다. 이 연구 결과는 진화 영역 디지털 교재 개발은 어려운 진화 개념을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는 수업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모형 개발 (Development of Models for Teaching and Learning to Facilitate FASTEL Utilization)

  • 이재호;손찬희;안성훈;안경진;정광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506-516
    • /
    • 2013
  •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이하 FASTEL)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고 교사들도 학습에 효과적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수업에서는 FASTEL이 제대로 활용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교사들이 FASTEL을 수업에 잘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주기 위하여 FASTEL을 위한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교수학습모형은 FASTEL 활용의 활성화를 위하여 전원학교 인프라가 갖추어진 전원학교와 FASTEL만을 사용하는 전원학교로 구분하여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적합한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개발한 교수학습모형은 전원학교는 물론 일반학교에서도 FASTEL 활용의 여건을 마련해 줌으로써 FASTEL의 활용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