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업만족

검색결과 625건 처리시간 0.029초

유학생 대상의 비대면 교양 영어 수업 방안: 영화 대본 소리 내어 읽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Non-Face-to-Face General English Cour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Reading Movie Scripts Aloud)

  • 이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267-272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 사태로 인한 비대면 교양 영어 수업에서 영화 대본 소리 내어 읽기가 유학생들의 영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 소재 대학에 다니는 유학생 47명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한 번, 15주간, 애니메이션 라푼젤(Tangled)을 이용하여 교양 영어 수업을 진행하였다. 교사의 동영상 수업과 영화 대본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을 격주로 진행하였다. 교사는 쉬운 한국어로 영화 대사의 어휘 설명 및 해석으로 동영상을 제작하여 학습 관리 시스템(LMS)에 게시하였다. 학생들은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은 줌을 통해 교사의 도움을 받으며 개인별 및 조별 소리 내어 읽기를 하였다. 사후 평가에서 사전 평가 대비 읽기와 쓰기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주었다. 설문에서는 이해도, 만족도, 흥미도, 추천도의 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PBL을 활용한 CAE 수업의 학습효과 (Learning Effect of CAE Class Using PBL)

  • 박현하;장성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922-929
    • /
    • 2022
  • 이 연구는 PBL을 활용한 CAE 수업이 전문지식 습득과 역량 제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동의대학교 자동차공학과 3학년 학생들에게 1년 과정의 교과목에 PBL 수업을 적용하였으며, 1학기와 2학기에 각각 만족도 및 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학기별 설문조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로 2학기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대면 정보교류와 팀 활동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아울러 교과목에 대한 지식과 기주도학습,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등의 개인 역량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됐다. 본 연구는 수업 개선을 위한 정량적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교과목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함의가 있다.

PISA 설문에서 나타난 한국 과학교사들의 인식: 미국, 중국과 비교를 중심으로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in PISA Survey: Focusing on Comparison with the United States and China)

  • 김현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31-41
    • /
    • 2022
  • 이 연구는 PISA 2015에서 실시한 과학교사 설문을 분석하여 향후 한국 과학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미국, 중국의 과학교사 설문 원자료를 분석하여, 설문 항목별로 기술통계와 차이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과학교사는 전문성 계발 활동에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인식이 비교국들에 비해 낮았고, 학생 맞춤형 지도 방법과 다양한 평가 방법의 실제 등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과학교사는 대체로 교직에는 만족하고 있었으나, 현재 근무하는 학교에서 여러 가지 자원의 제한으로 과학교육 활동에 지장을 받는다는 응답이 비교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셋째, 한국은 과학 교육과정과 과학 수업에서 과학 탐구가 덜 강조되고 있었으며, 탐구의 교수과정에서 과학교사의 자기 효능감도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넷째, 한국은 과학 수업에서 토의와 토론 수업, ICT 활용 수업 등이 적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19 (COVID-19)로 인해 온라인 전공 수업을 경험한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Learning Flow of Health Science Students Taking Online Classes due to COVID-19)

  • 구상미;강문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9호
    • /
    • pp.81-89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전공 수업이 학업스트레스, 학습 만족도,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보건계열 전공자 129명으로 2020년 11월 15일부터 2020년 12월 22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학습만족도(r=.-78, p<.001), 학습몰입(r=.-70, p<.001) 간에 음의 상관관계를, 학습만족도는 학습몰입(r=.71,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온라인 수업 시 과제 분량, 지난 학기에 이수한 온라인 실습 교과목의 수. 학업스트레스와 학습만족도는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전체 설명력은 61.0%로 나타났다. 따라서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업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전략과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e-PBL을 적용한 수업혁신 (Instructional Innovation Using e-PBL)

  • 권혁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241-249
    • /
    • 2022
  •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PBL의 적용가능성을 확대한 e-PBL의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교육대학교의 전공 선택 교과목의 한 학기 수업활동 중 4주 분량의 활동을 체계적 설계 절차에 따라 e-PBL 활동으로 재구성하여 운영하였다. e-PBL 운영 기간 동안 참여 수강생의 반응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 수강생들은 초기의 어려움과 혼란스러움을 극복하고 점진적으로 e-PBL 활동에 동화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전반적으로 e-PBL 활동 경험에 대하여 만족스러워했다. 참여 수강생들은 e-PBL을 통해 이루어진 실제적인 문제해결을 통해 주인의식을 갖고 활동에 참여하였고, 팀 구성원들과의 빈번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문제해결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e-PBL을 활용한 교원양성대학의 교육혁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e-PBL 적용 수업을 확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e-PBL의 교육적 효과를 추가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가상현실(VR)을 적용한 기초의학 수업의 만족도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Basic Medical Class Applying Virtual Reality(VR))

  • 이문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531-537
    • /
    • 2019
  • 가상현실(VR)을 이용한 교육은 고가의 장비나 넓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효과적으로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한편 기초의학과목(기능해부학)은 보건관련 전공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학생들은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을 기초의 학수업에 적용하고 학생들의 만족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학생들은 해부학 가상현실 프로그램(3D Organon®)을 직접 경험하고 이해도, 집중도 및 흥미도의 부분에 있어서 만족도를 다른 학습 자료와 함께 설문하였다. 전반적으로 가상현실을 사용한 학습이 교과서, 모델 및 3D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다른 학습 자료보다 더 높은 만도도의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해부학 수업 등 의학계열 과목에 가상현실의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전문대학교 물리치료과 학생의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수업태도, 수업 만족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비교 (Comparison of Learning Attitudes, Class Satisfac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of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 정은정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3-70
    • /
    • 2023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ison of learning attitude, class satisfac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in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to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 and quality of non-face-to-face classes when face-to-face classes such as COVID-19 become inevitable in the future. Design: Cross-section stud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91 college students, 3rd year students of physical therapy department at a community college in 'A' region, Gyeongsangbuk-do, who took face-to-face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and non-face-to-face classes in 2021 of the previous semester. Results: Class attitude was higher in face-to-face classes than in non-face-to-face clas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satisfaction betwee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I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face-to-face classes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an non-face-to-face classes. Conclusion: This study serves as empirical basic data on the actual condition of non-face-to-face classes compared to face-to-face classes for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suggest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nd improves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field of physical therapy, which requires a lot of practice. and hope it will be used for development.

ICT 교육 지침 해설

  • 전우천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63-75
    • /
    • 2006
  •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며 살아갈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을 육성하기 위하여 제7차 교육과정이 고시되었으며, 이에 따라 7차 교육과정에서는 정보통신기술 (ICT) 교육을 강화하는 정책들을 수립하여 활성화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학교 현장과 다양한 문헌 연구를 통한 결과로서 ICT 교육은 만족스런 결과를 도출해내지 못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5일제 수업의 실시의 부각과 함께 ICT 교육에 대한 재정립의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본인이 집필진 및 검토진으로 참여한 교육인적자원부에서 KERIS에 위탁하여 수행한 연구과제의 결과물을 중심으로 ICT 교육 지침을 논의하고 그 의의와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초급 프로그래머를 위한 게임 프로젝트 환경 (Game Project Environment for Entry-Level Programmers)

  • 이주호;이인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83-58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초급 프로그래머를 위한 게임 프로젝트 환경을 개발한다. 이 환경은 초급 프로그래머의 구현 능력 향상을 목표로 이들의 현재 실력에 적합한 2D 좌표 연산을 핵심 구현 과제로 제시한다. 이 환경을 실제 수업에서 운용해 본 결과, 학생들이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스스로 다양한 시도를 통해 게임을 개량하려 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결과물의 우수성 및 학생들의 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생활중심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와 적용 - '인구이동과 인구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on Highschool Student's Daily Life : A Case Study of Migration and Population Change Unit in Highschool)

  • 옥한석;장현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23-535
    • /
    • 2005
  • 이 연구는 학습자들의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얻는 지리적 경험에 기초한 생활중심 교수학습의 모형 설계와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려고 한다. 생활중심 교수학습 모형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비교하여 수행하였다. 교수학습의 실제사례로 고등학교 2학년의 '인구이동과 인구변화'의 단원을 선정하였다. 실험 수업대상으로는 강원도 춘천시 C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하며 생활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 2개 반과 적용하지 않은 비교집단 2개 반 모두 4개반의 122명이 선정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교수할 개념들을 체계화된 지식 구조로 교수하지 않을 경우 이에 대한 학습자의 인지구조 재구성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기 때문에, 고등학교 한국지리의 '인구이동과 인구변화' 단원의 지리개념은 상위개념인 이동에서, 기본개념인 이주, 하위개념인 이주 요인으로 위계화하고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는 일상적 지리경험을 알아보았다. 둘째, 지리과 생활 중심 교수학습 내용의 실제 사례로 학생 자신의 가족 이주사 및 가족수의 변화를 조사하는 과제학습지를 기초적 자료로 활용하였다. 셋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모형은 암기식 수업보다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수업반응도 검사를 분석한 결과, 정의적인 측면에서는 수업의 흥미도, 만족도 수업내용의 활용성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수업모형에 의한 학습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리적 탐구력 신장에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