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업내용

검색결과 2,096건 처리시간 0.034초

수학 교과에서의 교사 지식에 기초한 반성적 수업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flective teaching evaluation based on teacher knowledge in school mathematics)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23-14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수업 과정 내지 단계에서 교사의 반성 역할의 의미가 무엇인지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반성을 통한 교사 지식의 확장 과정을 탐색하여 이를 도식화하여 나타내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도식화된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교사가 자신의 수업 반성을 통해 수업 개선은 물론 교사 지식의 확장을 이끄는 수업 평가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평가틀은 반성에 초점을 둔 수업 평가틀로서, 교사 자신의 수업 평가를 통하여 교수 개선 및 교사 지식의 확장을 통한 전문성 신장을 이루고자 함이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평가틀에 기초하여 교사 자신이 활용 가능한 자기 평가지의 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만, 교사 지식의 범위가 방대하므로 여기서는 교과 내용 지식(Subject matter knowledge)을 중심으로 해당 연구 내용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는데, 이는 교과 내용 지식이야말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요 요소로서 교수 활동 결정시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 PDF

교육실습에서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의 수업계획과 실제수업의 불일치 분석 (Analysis on the Mismatch between Instructional Design and Teaching Practic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Teaching Practicum)

  • 정주원;이봉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35-44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과학교사들의 수업설계와 실제수업의 불일치내용을 분석하고 그 발생 원인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15년 4월부터 5월까지 실시된 교육실습에 예비과학교사 20명이 참여하였고, 예비과학교사들이 작성한 수업지도안과 수업을 분석하여 불일치한 내용을 추출하고, 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입 단계에서는 '주의집중 및 동기유발' 영역에서 가장 많은 불일치 사례가 발견되었으며, 예비과학교사들은 동기유발 요소를 다른 형태로 수정한 경우가 많았다. 둘째, 전개 단계에서는 가장 많은 불일치 사례가 발견되었는데, 특히 '학습내용제시' 활동에서 학습내용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여 수업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마무리단계에서는 시간의 부족으로 '학습내용요약' 활동이 누락된 사례가 많았다. 넷째, 예비과학교사들의 수업계획과 실제수업의 불일치 발생원인은 내부요인과 외부요인이 비슷하였으며, 외부요인으로는 지도교사의 피드백과 학생반응에 의한 변화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추가적으로 예비과학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과 관련하여 반성적 멘토링 프로그램, 지도교사의 중요성, 시간 관리의 중요성 등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 대한 만족도 분석 (Satisfaction Analysis of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COVID-19)

  • 장현철;노미라;전병덕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19-524
    • /
    • 2021
  • 코로나19 상황이 국내 유입으로 인한 확산과 함께 지역사회로까지 감염이 계속되어 대학들 마다 전면 온라인 수업 및 부분적으로 온라인 수업을 진행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수업환경 변화에 따른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 주목하여 콘텐츠 및 수업내용에 대한 학습자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21년 6월 1일부터 6월 11일까지 대구시 소재 S대학교 방사선과 재학생 2, 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온라인 비대면 수업 전공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콘텐츠 및 수업 내용 만족도는 평균 3.78 ± 0.75점으로 나타났으며, 학습 만족도는 평균 3.00 ± 1.14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 수강 시 학생의 수업 태도와 콘텐츠 및 수업 내용 만족도 간 상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r=0.555, p<0.01), 콘텐츠 및 수업 내용 만족도와 학습 만족도 간에도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r=0.331, p<0.01). 비대면 온라인 전공 수업 시 콘텐츠의 질적 향상과 함께 학생들과 교수자의 상호작용이 좀 더 활발하게 이루어진다면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교수법적 내용 지식: 미국 중학교 수학 교사 사례 연구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Case Study of a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

  • 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295-308
    • /
    • 2007
  • 이 연구는 중학교 수학 교사의 수업 활동에 나타나는 교수법적 내용 지식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미국의 8학년 수학 교사의 수업 활동과 면담을 수집하고 분석한 사례 연구이다. 참여자인 수학 교사의 교수법적 내용 지식은 첫째, 각 개념과 주제들 간의 연계성, 다양한 형태의 문제 해결력, 그리고 교과서에 대한 이해 등을 포함한 수학 교과 내용 지식, 둘째, 수학의 특정 개념과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잘못된 생각과 일반적인 오류, 학생들이 느끼는 어려움과 혼동을 이해하는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 대한 지식,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동기 유발과 실제 상황에의 적용을 중시하는 교수학적 지식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실과 수업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Practical arts Subject's Lesson Plan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 박종선;최지연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65-182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해 실과 수업 과정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을 기초로 하여 창의 인성교육 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를 반영하여 준비, 개발, 개선의 3단계를 거쳐 수업 과정안을 개발,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평가 후에 수정 보완하여 최종 수업 과정안을 완성하였다. 준비 단계에서는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요구분석을 하고 실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창의 인성과 관련된 활동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개발 단계에서는 선정된 활동 주제를 중심으로 실과 교육내용과 연계한 소주제 및 학습 내용을 선정하여 수업목표를 진술하고, 수업 과정안을 설계하였다. 개선 단계에서는 개발된 수업 과정안에 대하여 전문가에 의한 타당도 검증 후 수정 보완하여 개발을 완료하였다. 개발된 수업 과정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수업 과정안은 실과 교육내용을 기반으로 하며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창의 인성이 함양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개발된 수업 과정안은 프로젝트법을 적용하여 수업 설계를 하였으며 활동중심 수업이 되도록 하였다. 셋째, 수업 활동 내용은 '요리하는 사람 알아보기', '건강도시락 만들기', '퓨전음식 만들기', '채소 심고 가꾸기', '직접 키운 채소로 음식 만들기', '요리활동 전시회 열기'의 6가지 활동이며 12차시로 구성되어 있다. 넷째, 개발된 수업 과정안은 초등학교 정규 실과 교과 시간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과 연계하여 운영할 수 있다.

'비즈니스 전공영어' 수업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시사점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 Activities in Business Major English Class and Its Implication for Good Business English Reading)

  • 김부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35-46
    • /
    • 2017
  • 국내외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좋은 수업의 공통적 특징 중의 하나는 다양한 수업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수업방법을 도입하여 '비즈니스 전공영어' 수업을 좋은 수업으로 만들기 위해 교수설명, 그룹활동 및 발표, 단어퀴즈, reading comprehension, 숙제 및 시험에 대한 피드백이 수업활동으로 활용되었다. 2015년과 2016년에 '비즈니스 전공영어' 수업을 수강한 3학년 39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다음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수업활동은 교수설명이었다. 둘째, 텍스트 내용 이해와 영어구문 이해에 가장 도움이 된다고 학생들이 인식하는 수업활동은 교수설명이었다. 셋째, 그룹 활동 및 발표에 대한 선호도는 높지 않았으며, 텍스트 내용 이해와 영어구문 이해에 가장 도움이 안 되는 수업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설문조사 결과는 영어문장 구조의 정확한 파악에 미숙한 조사대상자 학생들은 텍스트 내용의 확실한 이해를 위해 영어문장 구조에 대한 교수의 명확한 설명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즉 영어수업의 경우 학생들이 선호하며 도움이 많이 된다고 인식하는 수업활동은 교과목의 특성과 학생들의 영어능숙도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시사해 주었다.

플립 러닝을 활용한 수준별 영어 다독 수업모형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Extensive Reading Class Model with Graded Readers' Series Based on Flipped-Learning)

  • 전영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7-168
    • /
    • 2016
  • 수업시간에 강의 듣고, 집에서 숙제를 하는 방식은 더 이상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이끌지 못하고, 효과적인 수업이 이루어 질 수 없다. 수업시간에는 학생들의 적극적 상호작용이, 집에서는 인터넷 환경을 통한 핵심 강의식 내용을 미리 듣고 수업 활동에 임하는 플립러닝에 대한 영어과 수업의 도입이 필요하나 이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영어수업(독해중심)에서의 플립러닝 활용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 후 수정 보완하여 대학 영어수업에서의 플립러닝 정착 및 발전을 도모한다.

  • PDF

기술ㆍ가정교과 운영실태와 평가 -경남지역 소재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Kyungnam Area)

  • 김상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9-44
    • /
    • 2003
  • 본 연구는 경남지역의 중 고등학교에서 기술ㆍ가정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기술ㆍ가정교과의 운영과 교과내용 및 목표의 적합성 평가, 교과내용의 전문성 및 활용도 평가에 대하여 2002년 10월 16일부터 30일까지 235부를 우편조사 하였다. 기술ㆍ가정교과 담당교사의 주전공은 가정교과가 기술ㆍ산업교과보다 2배 가량 많았으며, 수업의 운영은 분담수업이 전담수업보다는 다소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었으나, 중학교에서는 고등학교에 비하여 전담수업 비율이 높았다. 실습수업에서 내용에 있어서는 중$.$고등학교에 큰 차이가 없으나 빈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중학교에 비하여 고등학교의 실습빈도가 적었으며, 특히 기술교과 영역은 1회도 없는 경우가 30%가까이 되었다. 수업시의 애로사항 등에서 교과자체의 수업시수의 부족이나 실습시간의 부족 등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는데, 교사의 주전공이나 수업방식에 따라 애로사항의 순위에 차이가 있었다. 즉 기술교과 교사들이 가정교과 교사들보다 실습실이나 실습도구 등의 부족을 거론하고 있었고, 전담수업이 분담수업에 비하여 교과의 전문지식 부족을 거론하고 있었다. 교과내용과 목표의 적합성 평가는 대체로 보통수준을 유지하는 정도였으나, 교과내용의 진로교육 측면 기술ㆍ가정교과의 상호연계성 측면에서는 상당히 낮은 평가를 보여 통합교과로서의 위상이 심각하게 낮게 평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진로교육적 측면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요구되는 바이다. 교과내용의 전문성 및 활용도 평가에서 자신의 전공영역에 대하여는 높은 전문성과 활용도를 가지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으나 타 전공영역에 대하여는 낮은 인식을 보이고 있어서 전담수업을 할 경우 수업의 질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었다. 컴퓨터영역은 각각의 교사가 나름대로의 전문성과 가장 높은 활용도를 평가하고 있어서 기술교과와 가정교과 영역을 매개하는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보여진다. 앞으로 8차 교육과정의 개정에서 기술ㆍ가정교과는 수업시수가 축소되더라도 분리할 것인지, 축소된다면 현행의 통합을 유지할 것인지에 대하여 조사대상교사들의 태도는 반반이었다. 분리 시 요구되는 수업시수는 주당 각각 2시간이 가장 많았는데, 각각 주당 2시간의 수업시수는 하나의 교과목으로서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시수로 보여진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술ㆍ가정교과가 제대로 정체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분리되어 독립교과가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결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윽적 여건이 그러하지 못하다면 통합교과로서의 체계성이나 담당교사들의 확실한 보충교육, 충실한 실습수업이 될 수 있는 여건의 조성, 교사들의 수업 질 제고를 위한 다양한 각도에서의 노력 등이 함께 어우러져야만 기술ㆍ가정교과가 바로 설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초등 교사의 수학에 대한 신념과 수학수업의 관계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nd Attitudes on Mathematics and Their Teaching Practices)

  • 안금조;이경화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21-14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에 대한 신념과 태도가 어떤 특성을 보이고 있고 이것이 실제 수학 수업에서는 어떤 식으로 반영되고 있는지 수업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먼저 교사의 수학에 대한 신념과 태도를 묻는 설문지를 작성하고 그것을 분석해서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에 대한 신념과 태도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나서 교사의 수학에 대한 신념과 태도가 실제 수학 수업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두 교사의 실제 수학 수업을 분석해 보았다. 수학 수업을 분석해 본 결과, 수업 내용을 조직하고 전개해 나가는데 교사의 수학에 대한 신념과 태도가 반영되어 있었다. 수학을 가르치는 중요한 목표를 학생들이 문제를 풀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고 수학적으로 생각하도록 도움을 주는 데 두는 L교사의 수학 교수에 대한 신념은 학생들의 활동을 위주로 수업을 하고 그는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업에 반영되어 있었다. 그리고 한 가지 수학 내용을 가르치는데 보다 많은 표현들을 이용해야 한다는 K 교사의 수학 교수에 대한 신념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 수학 교수에 대한 태도는 학생들에게 설명할 때 그림이나 구체적인 자료, 예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수업에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엔트리 텍스트 모델 학습을 활용한 초등 인공지능 교육 내용 개발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AI Education Contents using Entry Text Model Learning)

  • 김병조;김현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65-7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엔트리 텍스트 모델 학습을 활용해서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다. 초·중등 인공지능 내용 체계표를 바탕으로 실과 소프트웨어 교육과 인공지능 교육의 성취 기준을 재구성한다. 기계학습이 가능한 텍스트, 이미지, 소리 중에서 다양한 플랫폼에서 지원하고 초등학생의 데이터 준비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 손쉽게 이해가 가능한 '텍스트 모델 학습을 활용한 감정 인식 프로그램 제작'을 교육 내용으로 선정한다. 엔트리 인공지능을 교육 플랫폼으로 선정해서 텍스트 모델 학습을 활용한 감정인식 프로그램을 만드는 인공지능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실제 초등학교 수업에 적용한다. 수업 적용 결과 엔트리 인공지능 수업에 긍정적인 반응과 흥미를 보였다. 본 연구 내용을 기반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의 효과성에 대한 양적 연구가 후속 연구로 필요함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