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어번역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According to Historical Changes (역사적 변천에 따른 한국수어 번역의 형태와 특성 연구)

  • Lee, Jun-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5
    • /
    • pp.508-524
    • /
    • 2021
  • Innovative translation circumstances encouraged by scientific technique have become an element that increases realization and possibility of expanding sign language translation and 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is facing a new challenge and opportunity. This study raises following questions and search for answers. First, when and how did 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appear in the course of the historical changes in Korean sign language? Second, what is the form and characteristic of translation produced as a result of 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Third, what is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spect of 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how 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was formed historically and th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using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into latent phase, formation phase, and expansion phase were revealed. Second,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according to the Korean sign language corpus project and machine translation were derived. In addition, it apprehends its present condition and proposes its future prospect.

A Script Format of Korean Sing Language for Animated Signing Avatar Service (아바타수어 서비스를 위한 한국수어 스크립트 기술)

  • Lee, Han-kyu;Choi, Ji Hoon;AHN, Ch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456-458
    • /
    • 2020
  • 한국수화언어(한국수어)는 농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며, 농인이라 함은 청각장애를 가진 사람으로서 한국수어를 일상어로 사용하는 사람을 말한다. 수어를 하나의 언어로써 다른 언어로의 번역 또는 상호번역을 위하여 기계학습 기반의 기술이 연구개발 되고 있으나, 수어는 영상 기반의 언어이고 한국수어의 문법 및 사전체계의 구축이 진행 중인 이유로 한국수어의 번역기술은 상대적으로 다른 이종언어 간의 번역기술에 비하여 발전속도가 느리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를 한국수어로 번역하여 표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어 스크립트 포맷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규격을 제안한다.

  • PDF

Sign Language Dataset Built from S. Korean Government Briefing on COVID-19 (대한민국 정부의 코로나 19 브리핑을 기반으로 구축된 수어 데이터셋 연구)

  • Sim, Hohyun;Sung, Horyeol;Lee, Seungjae;Cho, Hyeonjoong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1 no.8
    • /
    • pp.325-330
    • /
    • 2022
  • This paper conducts the collection and experiment of datasets for deep learning research on sign language such as sign language recognition, sign language translation, and sign language segmentation for Korean sign language. There exist difficulties for deep learning research of sign language. Firs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sign languages since they contain multiple modalities including hand movements, hand directions, and facial expressions. Second, it is the absence of training data to conduct deep learning research. Currently, KETI dataset is the only known dataset for Korean sign language for deep learning. Sign language datasets for deep learning research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Isolated sign language and Continuous sign language. Although several foreign sign language datasets have been collected over time. they are also insufficient for deep learning research of sign language. Therefore, we attempted to collect a large-scale Korean sign language dataset and evaluate it using a baseline model named TSPNet which has the performance of SOTA in the field of sign language translation. The collected dataset consists of a total of 11,402 image and text. Our experimental result with the baseline model using the dataset shows BLEU-4 score 3.63, which would be used as a basic performance of a baseline model for Korean sign language dataset. We hope that our experience of collecting Korean sign language dataset helps facilitate further research directions on Korean sign language.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Sign Language Interpreting Content in the Medical Setting (의료 환경의 수어통역 콘텐츠 개발 과정에 관한 연구)

  • Lee, Jun-Woo;Oh, Byung-Mo;Cho, Jung-Hwan;Kang, Yi-Su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2
    • /
    • pp.505-51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ign language interpreting content in the medical setting that facilitates Deaf people's access to medical services in situations where professional and accurate medical sign language interpreting is insuffici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individual interviews for Deaf people, on-site requirement surveys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and sign language experts, and medical and sign language expert consultations. Based on this, we developed sign language interpreting content such as main care contextual scenarios, basic medical terms, and medical term descriptions. Through this study, we developed medical sign language content considering the situation and medical importance of Deaf people to promote expertise in the medial sign language area and developed a responsive website of sign language medical dictionary that effectively and efficiently delivers information to Deaf people and sign language interpreters; we realized the need and importance of sign language translation for Deaf people to be the main bodies.

Three-Dimensional Convolutional Vision Transformer for Sign Language Translation (수어 번역을 위한 3차원 컨볼루션 비전 트랜스포머)

  • Horyeor Seong;Hyeonjoong Cho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13 no.3
    • /
    • pp.140-147
    • /
    • 2024
  • In the Republic of Korea,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are the second-largest demographic within the registered disability community, following those with physical disabilities. Despite this demographic significance, research on sign language translation technology is limited due to several reasons including the limited market size and the lack of adequately annotated datasets. Despite the difficulties, a few researchers continue to improve the performacne of sign language translation technologies by employing the recent advance of deep learning, for example, the transformer architecture, as the transformer-based models have demonstrated noteworthy performance in tasks such as action recognition and video classification. This study focuses on enhancing the recognition performance of sign language translation by combining transformers with 3D-CNN. Through experimental evaluations using the PHOENIX-Wether-2014T dataset [1], we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exhibits comparable performance to existing models in terms of Floating Point Operations Per Second (FLOPs).

Development of Korean Sign Language Translator for Speech and Hearing Impaired (언어·청각장애인을 위한 한국 수어 번역기 개발)

  • Su-Beom Jo;Dong-Kyu Lee;Young-Chan Jo;Dongmahn Se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575-576
    • /
    • 2023
  • 한국 수어는 소리로 말을 배울 수 없어서 사용하는 '보이는 언어'이고 한국수화언어를 줄인 말이다. 한국어나 영어와 같이 독립된 언어로 한국어와는 문법 체계가 다른 대한민국 농인의 고유한 언어이다. 하지만, 한국 사회에서는 수어를 일상어로 사용하는 농인이 수어만으로 다른 사람과 대화하거나 서비스 등을 이용하기에는 쉽지 않은 구조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택시라는 상황을 가정해 택시 안에서 학습된 모델이 농인의 수어를 인식하고 택시 기사에게 해당 의미를 전달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을 통해 택시 기사는 농인(수어사용자)에게 응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수어 번역기 웹서비스를 설계 및 구현하여 실제 환경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한다.

Sig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Development Using MediaPipe (MediaPipe를 활용한 수어 번역 시스템 개발)

  • Kim, Kyung-Min;Song, Mi-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684-686
    • /
    • 2022
  • 다양한 언어로 소통하고 있는 우리는 다른 언어와 교류하기 위해 번역, 통역의 존재가 필수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음성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즉, 손으로 언어를 표현하는 수어를 번역하는 통역의 존재는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MediaPipe와 OpenCV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손의 형태를 인식하고 CNN 알고리즘을 통한 텍스트 데이터화 하여 수어 동작을 학습시켜 이를 번역시켜주는 시스템을 연구한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을 이용함에 불편함을 줄이고, 농인의 의사를 보다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번역 시스템 제작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ata Acquisition and Storage Systems for Multi-view Points Sign Language (다시점 수어 데이터 획득 및 저장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im, Geunmo;Kim, Bongjae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2 no.3
    • /
    • pp.63-68
    • /
    • 2022
  • There are 395,789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in Korea, according to the 2021 Disability Statistics Annual Report by the Korea Institute for the Development of Disabled Persons. These people are experiencing a lot of inconvenience through hearing impairment, and many studies related to recognition and translation of Korean sign language are being conducted to solve this problem. In sign language recognition and translation research, collecting sign language data has many difficulties because few people use sign language professionally. In addition, most of the existed data is sign language data taken from the front of the speak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developed a storage system that can collect sign language data based on multi-view points in real-time, rather than a single point, and store and manage it with high usability.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serving sign-language to text translation for the deaf (청각 장애인을 위한 수어 영상-자연어 번역 서비스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구현)

  • Cho, Su-Min;Cho, Seong-Yeon;Shin, So-Yeon;Lee, Jee 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1012-1015
    • /
    • 2021
  • Covid-19 로 인한 마스크 착용이 청각장애인들의 소통을 더 어렵게 하는 바, 제 3 자의 도움 없이 쌍방향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소통의 어려움을 겪는 청각장애인과 비청각장애인을 위한 쌍방향 소통 서비스에 대한 연구와 개발 과정, 기대 효과를 담는다. 서비스는 GRU-CNN 하이브리드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데이터셋을 영상 공간 정보와 시간 정보를 포함한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영상 분류 기법과 같은 딥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수어 영상을 분류한다. 해당 연구는 "눈속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제작 중이며 음성을 인식하여 수어영상과 텍스트로 번역결과를 제공하는 청각장애인 버전과 카메라를 통해 들어온 수어 영상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음성과 함께 제공하는 비청각장애인 버전 두 가지로 나누어 구현한다. 청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쌍방향 소통을 위한 서비스는 청각장애인이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관문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며 사회 참여를 돕고 소통이라는 장벽을 넘어서는 발돋움이 될 것이라 예측된다.

Study on Korean-Korean Sign language Translation Technology for Avatar Sign language Service (아바타 수어 서비스를 위한 한국어-한국수어 변환 기술 연구)

  • Choi, Ji Hoon;Lee, Han-kyu;AHN, Ch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459-460
    • /
    • 2020
  • 한국수화언어가 2016년 2월 제정된 한국수화언어법(약칭, 한국수어법)을 통해 한국어와 동일한 대한민국 공식 언어로 인정받았지만, 사회적 인식 부족과 서비스 비용 문제로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많은 한국어 정보들 조차도 농인들은 쉽게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보 접근에 대한 차별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아바타를 이용한 수어 서비스가 대두되고 있지만, 한국어-한국수어 번역을 위한 자연어처리 기술의 한계로 인해 일기예보와 같이 탬플릿 기반의 서비스에 국한되거나 비수지신호 표현에 대한 기술 부족으로 인해서 서비스 상용화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반으로 한국어에서 한국수어로 변환하기 위한 병렬 말뭉치 데이터 전사 및 변환 시스템 설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