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심측량

Search Result 145,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Shoreline survey and sounding using SHOALS (SHOALS를 이용한 해안선측량 및 수심측량)

  • Jung, Hyun;Choi, Yun-Soo;Yoon, Ha-Su;Lee, Yo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331-332
    • /
    • 2008
  • 단빔, 멀티빔, 사이드스캔소나 등을 이용하여 해저면의 위치나 형상파악을 하는 방법은 측량시간과 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고 해안절벽과 도서지역은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관계로 이러한 측량환경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항공기에 레이저 측량장비를 탑재하여 해저면의 수심을 측량할 수 있는 기술이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지역에 대하여 항공레이저 수심측량을 실시하고 취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안선을 추출하였다. 해저면 지역에 대하여 단빔 수심측량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실험지역 A에서는 표준편차가 ${\pm}1.795m$, 실험지역 B에서는 표준편차가 ${\pm}2.251m$로 제시되었다. 또한 SHOALS 데이터와 7개의 암초에 대하여 9개 지점의 암초 수심측량 값과 비교하였으며, 암초 수심측량 값의 측량밀도가 적어 암초의 형상을 3차원으로 재현함에 있어서 한계가 존재하지만 SHOALS 데이터를 이용하여 암초에 대한 형상을 정확하게 3차원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육지지역에 대한 SHOALS 데이터 검증을 위하여 라이다 데이터와 비교 한 결과, $0.16m{\pm}0.16m$로 나타났으며, 1/1,000 수치지형도와 비교한 결과, $0.51m{\pm}0.26m$로 SHOALS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서도 SHOALS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안선측량 및 수심측량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현행 수심측량으로 어려움이 많은 수심이 낮은 천소지역과 접근이 어려운 절벽지역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시하였다.

  • PDF

A Base Study in Development of Manned.Unmanned System for Automation of sounding (수심측량의 자동화를 위한 유.무인 시스템 로봇선 개발의 기초적 연구)

  • Choi, Hyun;Kim, Young-Jong;Kim, Y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10.04a
    • /
    • pp.143-144
    • /
    • 2010
  • Nowadays, sounding is done by either manually on a boat or through the use of survey. These existing measures are considered to be very inefficient. they are not only greatly limited by environmental circumstances but also requires much of time, expenses, and manpower. Therefore, there emerges a greater need for a new sounding system which will allow us to measure the depth of water, less affected by financial and environmental restriction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his is a base study for developing an automatic sounding system, which will enhance the advantages of manned sounding and unmanned sounding, raise the effectiveness and economic efficiency, and acquire more precise data.

  • PDF

들로네 삼각분할 기법을 이용한 수심편수 결과 평가방안 연구

  • Gang, Dong-U;O, Se-Ung;Sim, U-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89-91
    • /
    • 2014
  • 전자해도는 IHO의 S-57 ENC Product Specification에 따라 해양의 모든 지형정보를 포함하는데, 해양의 지형정보에는 해안선, 등심선, 수심 그리고 항로표지 등이 포함된다. 전자해도가 포함하는 정보는 수로측량을 통해 제작된 측량원도를 이용하여 제작하는데, 대용량의 측량원도 자료는 매우 조밀하고 양이 방대하여 전자해도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수심 정보를 발췌하여야 한다.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측량원도의 정보를 발췌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심편수규칙을 정하고 있으며, 편수 단계와 편수 후 검증 단계를 거쳐 전자해도의 수심 정보를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편수와 편수 후 검증은 모두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방법으로 수심 편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수심 편수 결과를 규칙에 맞도록 편수되었는지를 평가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각 편수된 수심을 들로네 삼각분할 기법에 따라 영역을 삼각분할하고, 측량원도의 수심 정보와 삼각분할 된 삼각형과 비교 분석하여 수심이 수심편수규칙을 준수하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 PDF

Measuring Water Depth by Using a Combination of GPS/Echosounder (음향측심기와 위성항법을 이용한 하천의 수심 측량)

  • 정영동;강상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0 no.4
    • /
    • pp.375-381
    • /
    • 2002
  • Depth of water information is obtained mainly from echo-sounding instrument which observes the round-trip time of signal from water surface to the bottom. Photogrammetry, underwater survey and laser survey etc. are also used as another method of bathymetric surveying. These methods are used specially for making track chart in a shallow water area. On the other hand, aircraft or satellite imagery ara also used in the sea area where the effect of suspended material is low and water quality is good. Presently, general bathymetric surveying has been performed in our country, but the spatial density of surveyed point are relatively low. Therefore, in this study we built a grid water depth chart which measured combing echosounder with GPS-RTK method and the depth accuracy was analyzed by using the data of direct survey water depth. As a results, the bathymatric mapping which use echosounder is more economical method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Green LiDAR Using Automatic River Water Quality Data (하천 수질자동측정 자료를 활용한 Green LiDAR 적용성 검토)

  • Kim, Chang Sung;Kim, Tae-Jeong;Kim, Ji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32-232
    • /
    • 2020
  • 하천기본계획 수립이나 생태하천 조성사업 등 다양한 하천사업에서 하천측량은 대상 하천의 지형 현황과 과거 사업이후의 변화량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국내 측량 기준인 공공측량작업규정(국토지리정보원)에서 하천 측량은 육지부에서는 횡단측량을 수부에서는 수심측량을 실시하고 수심측량은 음향측심기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국내 대부분의 수심측량은 단빔 음향측심기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일부 수심 확보 구간 또는 연구목적으로 멀티빔 음향측심기를 적용한 사례가 일부 보고된 바가 있다. 최근 수심측정이 가능한 항공수심측량(Airbone LiDAR Bathymetry) 장비 중 핵심계측기기인 Green LiDAR 센서 국산화 및 경량화에 관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하천 여건에서 개발 센서가 어느 정도의 활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우선 환경부가 운영중인 수질자동측정망 71개 지점의 정기측정성과 중 탁도에 관한 일자료를 확보가 가능한 45개 지점을 대상으로 G-LiDAR 센서의 SD(Secchi Depth)를 기준으로 가용계측일을 산정해 보았다. 분석기간은 '12. 7.부터 '19.12.까지이며 분석기간중 SD 1.5m(1.94 NTU 추정) 기준을 만족하는 기간은 한강 2.07년, 낙동강 0.64년, 금강 2.21년, 영산강 2.71년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점별 가용기간 분석결과 분석기간인 7.33년 동안 탁도 기준이하인 운영 가능 기간은 연중 평균 80여일(2.74개월)로 나타나 제한적이나마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현장조사를 통해 공공측량 성과와 대상수계의 탁도 실측자료와의 연계분석을 통해 정확한 활용성 검토를 수행할 예정이다. 향후 적용 센서의 개발 성능목표를 달성한다면 하천내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Measuring Limit of Echo Sounding by Turbidity (탁도에 따른 Echo Sounder 관측 한계 분석)

  • Kim Yong-b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3 no.2
    • /
    • pp.197-203
    • /
    • 2005
  • Dredging and reclaiming on coast, harbor construction etc. of when construct, the interest about efficiency and accuracy of sounding by measurement condition very rise.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on the accuracy improvement concerning water depth sounding condition. In this study, among the precision decline main causes of sounding, 1 suggested the characteristics of sounding data acquired by echo sounder with increasing of turbidity and the critical turbidity range under a given transducer frequency. For this, I acquired sounding data by inputting turbidity inducer artificially in artificial water tank. And then achieved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are as following Sounding Capabilit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ranges according to the turbidity . normal range, critical range and the range where data can not be obtained by an echo sounder. When the turbidity exceeds $217\~259$ NTU which was considered as critical range, depth sounding was impossible.

Measuring Water Depth Combined by GPS and Echo Sounder (GPS와 Echo Sounder 조합에 의한 수심측량에 관한 연구)

  • Park, Woon-Yong;Lee, Jae-One;Youn, Kyung-Chul;Song, Youn-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10a
    • /
    • pp.231-235
    • /
    • 2003
  • 실시간 동적 GPS 측위를 이용한 해저수심측량은 GPS 수신기가 이동중인 상태에서 신호단절 없이 연속적인 수심측정이 가능하며 등수심도와 등고선 제작에 정확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음향측심기는 발사파와 수신파의 도달시간을 측정하여 수심을 관측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정확한 3차원 측량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해안지역에 대한 지형 분석을 하기 위하여 기준점에 대한 정지관측을 실시하여 좌표변환계수를 산출하고, 이로부터 실시간 동적 GPS 측량과 음향측심기를 이용하여 해운대 해수욕장과 해안을 관측하였다. 1:1,200 축척의 수치지도에서 추출한 수치표고모델에서의 체적은 97953.9 ㎥이며, 실시간 동적 GPS와 음향측심기를 이용하여 추출한 수치표고모델에서의 체적은 95994.9 ㎥로 나타났다. 이는 수치지도에서의 체적과 측량결과의 체적이 단지 2.0%정도로 나타나 실시간 동적 GPS와 음향측심기의 결합에 의한 해저수심측량이 매우 성공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Estimation of Bed Elevation of a Shallow River Using the Digital Aerial Photos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한 수심이 얕은 하천의 하상고 산정)

  • Lee, Chan 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83-383
    • /
    • 2015
  • 하천의 하상고 측량은 하상변동 분석, 서식처 구조 등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대부분의 하상고 측량은 일정한 간격의 하천 단면 측량에 의해서 행해져 왔다. 최근 GPS와 다중 빔 측심기를 이용하여 하상의 3차원적 형상을 조밀하게 측량하고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긴 하천 구간을 전부 측량하지는 못하고 특정한 부분에 대해서만 집중하고 있다. 항공 LiDAR의 경우 넓은 지역에 대해 신속하고 고해상도로 지형을 측량할 수 있으나 수중 투과 장비가 고가이며, 일반 적색 레이져 기반 LiDAR는 수중을 측정하지 못하여 하상 측량에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광학 기반의 원격 탐사에 의한 수심 측량 방법이다. 이 방법은 얕은 수심의 하천에 대한 활용되었는데, 광학 센서 이미지나 항공사진 등을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저고도에서 촬영한 고해상도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모래하천의 수심을 추정하였다. 이 방법은 항공사진의 적색 및 녹색 색상값과 현장에서 정밀한 측위 하에 측량한 수심값 사이의 관계를 이용한다. 이를 통해 보정식을 수립하고 검사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한 후 항공사진의 해당 지역에 대해 수심 부분을 마스킹 처리하여 하상고를 구축하였다. 검사 자료에 대한 RMSE는 약 12 cm로 나타났다. 이를 활용하여 대상 구간의 3차원적 지형 형상을 구축하였다.

  • PDF

Design and Running of a Surveying Ship for Bathymetry of The Manned and Unmanned Control System (유.무인운용 가능한 수심측량을 위한 측량선 설계 및 구현)

  • Choi, 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5 no.1
    • /
    • pp.16-21
    • /
    • 2011
  • Bathymetry which is mainly used on the earth or the sea can be surveyed directly by a person who is on a surveying ship or in a way one estimates the target through a surveying ship. However, the surveying ship which is being used now is divided into a manned and unmanned system and it's difficult to deal with i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water depth or the condition of weather. Therefore, this study will invent the surveying ship that can measure the water depth with the unmanned remote control system in the place where it's difficult to for man access because of a bad weather or a vast area. There are two methods in the control system of the manned and unmanned surveying ship which has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One is an automatic control which moves on the path set by the user in advance and the other is the optimized passive control in which the control station can manage the direction and speed of a surveying ship directly.

Hydroacoustic Application of Bathymetry and Geological Survey for Efficient Reservoir Management (효율적인 저수지 관리를 위한 정밀 수심측량 및 지층탐사에 관한 연구)

  • Yun, Hong-Sik;Cho, Jae-M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9 no.2
    • /
    • pp.209-217
    • /
    • 2011
  • This study incorporate hydroacoustic sampling for bathymetry and sediment survey in Won Cheon reservoir, Suwon city, Korea. Bathymetric and sedimentation surveys were conducted using a echo sounder system and subbottom profiler in the reservoirs. Data were collected using echo sounder systems and subbottom profiler linked to a GPS, to maximize data accuracy and vessel use, and geo-referenced using a DGPS enabling the acoustic data to be used in a GIS. Echo sounder and subbottom survey data were merged with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software to provide detailed visualization and analyses of current depths, pre-impoundment topography, distribution, thickness, and volume estimates of lacustrine sediment, and water storage capacity. These data and analyses are,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long term management plans for these reservoirs and their watersh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