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ydroacoustic Application of Bathymetry and Geological Survey for Efficient Reservoir Management

효율적인 저수지 관리를 위한 정밀 수심측량 및 지층탐사에 관한 연구

  • 윤홍식 (성균관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조재명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1.04.19
  • Accepted : 2011.04.29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is study incorporate hydroacoustic sampling for bathymetry and sediment survey in Won Cheon reservoir, Suwon city, Korea. Bathymetric and sedimentation surveys were conducted using a echo sounder system and subbottom profiler in the reservoirs. Data were collected using echo sounder systems and subbottom profiler linked to a GPS, to maximize data accuracy and vessel use, and geo-referenced using a DGPS enabling the acoustic data to be used in a GIS. Echo sounder and subbottom survey data were merged with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software to provide detailed visualization and analyses of current depths, pre-impoundment topography, distribution, thickness, and volume estimates of lacustrine sediment, and water storage capacity. These data and analyses are,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long term management plans for these reservoirs and their watersheds.

본 논문은 효율적인 저수지 수심측량 및 지층탐사를 위하여 음파탐지 기법을 이용한 수심측량과 지층탐사의 활용에 관한 것으로서 음향 측심기 (Echo Sounder) 및 고주파 지층탐사 장비 (Subbottom Profiler)를 이용하여 수원시 원천저수지에 대한 수심측량과 지층탐사를 수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음향 측심기 및 고주파 지층탐사 장비는 GPS와 연결하여 선박에 설치하고 DGPS 측량 방법을 이용하여 평면위치, 수심 및 지층탐사 데이터를 동시에 취득하였다. 음향 측심기 및 고주파 지층탐사 장비를 통해 취득된 데이터는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분석함으로써 저수지의 수심 지형 저수량에 대한 결과와 저수지 침전물의 종류, 양, 두께, 분포 등에 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데이터들과 분석 결과는 향후 저수지, 호수 및 댐 유역에 대한 장기적인 개발 관리계획을 위하여 음파탐지 기법을 이용한 다양한 관측장비를 활용하는데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훈 (2002), 환경법, 법문사, pp. 100-101.
  2. 박운용, 김천영, 김용보 (2003), 하구하상 측량 정밀도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1권, 제2호, pp. 137-145.
  3. 정영동, 강상구 (2002), 음향 측심기와 위성항법을 이용한 하천의 수심측량,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0권, 제4호, pp. 375-381.
  4. 조규전, 차득기, 강봉서 (2000), DGPS에 의한 해안측량 조위보정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18권, 제3호, pp. 295-303.
  5. Alkam, R. M., Kalkan, Y., Aykut, O. (2006), Sound Velocity Determination with Empirical Formulas & Bar Check, XXIII FIG Congress, Munich, Germany.
  6. Anon (1987), IHO Standards for Hydrographic Surveys,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Special Publication No. 44, Monaco (3rd edition).
  7. Burdic, W. S .(1984), Underwater Acoustic System Analysis, Prentice-Hall Signal Processing Series, Prentice-Hall, Inc., Eagle wood Cliffs, NJ, 07632.
  8. Cervenka, P., U. C. Herzfield and C. de Moustier (1994), Accuracy of the 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Seafloor with Bathymetric Sidescan Sonars; Marine Geophysical Researches, 16: pp. 407-425. https://doi.org/10.1007/BF01270517
  9. D. F. Dinn, B. D. Libcarevuc and G. Costello (1995), The effect of sound velocity errors on multi-beam sonar depth accuracy, Oceans'95, Vol. 2, pp. 1001-1010.
  10. Vail, P. R., Todd, R. G. and Sangree, J. B. (1977) Seismic stratigraphy and global changes of sea level: Part 5 Chronostratigraphic significance of seismic reflections: Section 2, Application of Seismic Reflection Configuration to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Memoir, No. 26, pp. 99-116.

Cited by

  1. Reservoir Disaster Monitoring using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vol.22, pp.4, 2014, https://doi.org/10.7319/kogsis.2014.22.4.143
  2. Experimental Analysis of Kinematic Network-Based GPS Positioning Technique for River Bathymetric Survey vol.5, pp.4, 2016, https://doi.org/10.11003/JPNT.2016.5.4.221
  3. NTRIP 기반 음향측심기를 이용한 남강댐 유역의 순퇴적량 산정 vol.31, pp.4, 2011, https://doi.org/10.7848/ksgpc.2013.31.4.251
  4. Analysis of changes in the volume of water in the Halčianske reservoir caused by erosion as a basis for watershed management vol.119, pp.2, 2011, https://doi.org/10.37040/geografie2014119020126
  5. 동적네트워크 기반 단일주파수 GPS 관측데이터 모델링을 통한 측량선의 정밀측위 및 자세각결정 알고리즘 구현과 수치실험에 의한 성능분석 vol.33, pp.2, 2015, https://doi.org/10.7848/ksgpc.2015.33.2.131
  6. 정밀 위치정보 데이터를 이용한 수중 하저면의 수심 정보 획득 시스템 vol.15, pp.2, 2011, https://doi.org/10.13067/jkiecs.2020.15.2.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