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술용 로봇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6초

의료용 로봇의 연구 현황과 전망

  • 권동수;경기욱
    • 기계저널
    • /
    • 제42권3호
    • /
    • pp.38-44
    • /
    • 2002
  • 이 글에서는 의료용 로봇의 연구 분야를 수술보조 로봇, 수술 로봇, 수술 시뮬레이터, 재활 로봇 등으로 분류하여 국내외 연구 현황과 전망에 대해서 소개한다.

  • PDF

최소침습수술용 의료로봇 기술개발연구 - 시나리오플래닝을 적용하여 - (A Study on Development of Technology System for MIS(Minimally Invasive Surgery) robot of S. Korea analysed by the Application of Scenario Planning)

  • 이상윤;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3-26
    • /
    • 2013
  • 본 연구는 미래예측방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시나리오플래닝 방법론을 적용하여 한국에 있어, 최소침습수술용 의료로봇의 바람직한 미래상을 도출하였다. 최소침습수술용 의료로봇산업은 한국에 있어 미래를 주도할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한국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새로운 신성장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최소침습수술용 의료로봇의 기술적 특징과 그 구성기술요소를 고찰하여, 해외의 최소침습수술용 의료로봇기술 중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한국의 최소침습수술용 의료로봇기술의 상대적 미래우위전략을 찾고자, 미래지향적인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그 결과 한국의 최소침습수술용 의료로봇에 있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Display기술에 대한 '집중전략'이 한국정부가 추진할 바람직한 정책이었다.

병원에서의 원격 진료를 위한 로봇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Robot System for Remote Medical Examination in Hospital)

  • 성문현;여희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87-88
    • /
    • 2008
  • 과거에는 로봇이 노동 대체인력의 산업용으로 사용되어져 왔으나, 현재는 인간 친화형 고부가가치 서비스 지능형 로봇으로 로봇산업의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 지능형 로봇의 개발은 저출산 고령화의 부작용인 노동력 감소와 소외 약자에 대한 Care 서비스 수요증대에 크게 해석할 것이다. 이러한 지능형 로봇의 응용 및 활용방안으로 병원에서의 의료용 서비스 로봇시스템 개발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의료용 로봇은 수술시 의사를 보조해 절개위치 유도, 절단작업을 수행하는 수술용 로봇과 위장이나 대장 내부를 진단하는 내시경 로봇, 재활치료를 돕는 재활보조로봇 등이 개발되고 있으나, 병원 내에서 신속한 진단 및 진료를 위한 서비스 로봇은 국내에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사가 현장에 없거나 바쁜 상황에서도 환자와 원격으로 진단 진료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응급상황에 대한 긴급 조치나,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큰 도움을 주기 위한 원격 진료용 서비스 로봇을 개발하였다.

  • PDF

의료용 서비스 로봇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dical Service Robot)

  • 강성인;박윤아;오암석;전재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7-80
    • /
    • 2011
  • 의료용 로봇은 크게 네 분야로 나눌 수 있는데, 수술을 보조하는 수술보조 로봇, 수술 로봇, 수술시뮬레이터, 재활 로봇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료용 로봇은 주로 고 정밀도 및 신뢰성을 요구하는 작업을 위해 개발되고 있다. 의료용 서비스 로봇의 또 다른 분야로 수술이 아닌 진료를 위한 서비스 로봇이 있다. 진료 서비스 로봇은 병원의 접수 업무 및 진료 시 사용할 수 있는 환자의 생체 데이터 취득, 병원 내 위치 및 콘텐츠 정보 등을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로봇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의료 서비스 로봇은 실제적인 접수 처리과정을 진행하는 역할을 하지는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 서비스 로봇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구현된 로봇 시스템은 의료정보 교환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해 직접 병원 정보 시스템과의 연동이 가능하고, 병원의 환자 접수 및 처리, 진료 대기자 수와 같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21세기에 산다 - 진화하는 로봇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2권8호통권363호
    • /
    • pp.32-33
    • /
    • 1999
  • 로봇이 진화하면 과연 사람과 같은 지능을 갖출 수 있을까. 60년대 초 미국에서 처음 등장한 산업용 로봇은 진화를 거듭하여 서비스로봇 과정을 거쳐 마침내 사람을 닮은 휴먼로봇시대로 들어가기 시작했다. 21세기에는 농사를 돕는 로봇, 불을 끄는 소방용 로봇, 요리하는 가정용 로봇, 수술하는 로봇 등 사람을 대신하는 다양한 로봇이 등장할 것이다.

  • PDF

미세수술 동작분석을 통한 원격제어 수술로봇 설계 (Telerobotic Microsurigical Robot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of Microsurgery)

  • 송세경;권동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01-407
    • /
    • 1999
  • 미세수술용 원격로봇 시스템은 육체적 피로, 눈의 피로, 손떨림, 전염성이 있거나 방사능이 있는 위험성으로부터 의사를 보호하고 돕기 위해 발달되어 왔다. 본 논문은 진보된 미세수술영역중에서 4개를 선정하여 미세수술작업을 대상으로 동작과 수술도구, 정밀도와 분석하여, 미세수술로봇의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을 제안하였다. 미세수술의 작업분석은 수술로봇의 기본적인 개념디자인을 분류하고 체계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분석된 결과로서 미세수술에 적합하도록 특수하게 디자인된 병렬 미니퓰레이터를 개발하였다.

  • PDF

물리 엔진을 이용한 수술 로봇의 동작 범위 분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Workspace-Analysis System of Invasive Robot using Physics Engine)

  • 김도윤;박현근;서재용;조영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1797-1798
    • /
    • 2008
  • 환자의 환부를 최소한으로 절개하여 시술하는 최소 침습 수술 수술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그 활용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조작하는 조직으로부터 눈과 손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그 중 하나는 수술 영역과 시각 영역이 분리되어 발생하는데, 최적의 위치조정을 위한 자동 복강경 수술 로봇 팔 시스템 도입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강경 수술 로봇 팔을 설계하는데 있어 동작 범위를 빠르게 시각화하여 설계 단계에서 다양한 파리미터를 적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복강경 수술 로봇 팔의 설계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물리 엔진을 이용한 동작 범위 분석 방법은 역기구학을 계산할 필요가 없으며, 설계가 바뀌어도 추가로 산출해야 하는 수식 없이 바로 수정된 기구학만으로 동작 범위 분석이 가능하다.

  • PDF

인체 공동 내부 수술용 로봇을 위한 이미지 레지스트레이션 방법 (Medical Image Registration Methods for Intra-Cavity Surgical Robots)

  • 안재범;이상윤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4권9호
    • /
    • pp.140-147
    • /
    • 2007
  • As the use of robots in surgeries becomes more frequent, the registration of medical devices based on images becomes more important. This paper presents two numerical algorithms for the registration of cross-sectional medical images such as CT (Computerized Tomography) or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by using the geometrical information from helix or line fiducials. Both registration algorithms are designed to be used for a surgical robot that works inside a cavity of human body. This paper also reports details about the fiducial pattern that includes four helices and one line. The algorithms and the fiducial pattern were tested in various computer-simulated situations, and the results showed excellent overall registration accuracy.

인체 공동 내부 수술용 로봇을 위한 이미지기반 레지스트레이션 알고리즘 (Numerical Algorithms of Image Registration for Intra-Cavity Surgical Robots)

  • 이상윤;신승하;안재범;주진만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14-719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two numerical algorithms for registration of cross-sectional medical images such as CT (Computerized Tomography) or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by using geometrical information from helix or line fiducials. The registration algorithms are designed to be used for a surgical robot working inside cavities of human body. A cylindrical device with a combination of line and helix fiducials were also devised and is supposed to be attached to the end-effector of surgical robot. The algorithms and the fiducial pattern were tested in various computer-simulated situations, and the results indicate excellent overall registration accurac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