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산화나트륨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32초

개질 비대칭 폴리에테르이미드막을 통한 물-이소프로판올 혼합물 투과증발 분리: NaOH용액의 농도와 개질반응 시간에 따른 몰폴로지 변화 (Pervaporation Separation of Water-isopropanol Mixtures through Modified Asymmetric Polyetherimide Membrane: the Effect of NaOH Concentration and Modification Reaction Times on the Morphology of the Morphology of the Modified Membranes)

  • 김상균;제갈종건;이규호
    • 공업화학
    • /
    • 제10권4호
    • /
    • pp.515-522
    • /
    • 1999
  • 상분리 방법으로 비대칭 폴리에테르이미드막을 제조하였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막의 표면층을 개질 했을 때의 몰폴로지 변화를 반응기간과 반응용액 농도에 대하여 살려보았다. 표면층 몰폴로지는 개질 용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치밀한 구조에서 둥근 입자상의 형태로 변화되었고, 개질 시간이 증가될수록 치밀 영역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반응 농도가 아주 높거나 장시간 개질을 하면 비대칭 폴리에테르이미드막의 표면에서 치밀 구조층이 없어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표면의 몰폴로지는 개질 용액의 농도와 시간에 따라 크게 좌우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폴리에테르이미드가 수산화나트륨에 의해서 폴리아믹산으로 가수분해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추측되었다.

  • PDF

습식 세정법에서 암모니아 대체물질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queous ammonia alternatives in the wet scrubbing method)

  • 김재강;이주열;박병현;최진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0-117
    • /
    • 2016
  • 기존 연구에서는 스크러버를 이용한 $NO_2$ 를 제거하기 위해 암모니아 수용액을 적용한다. 하지만 암모니아는 독성 및 악취가 강해 실선 적용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어, 암모니아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을 찾기 위해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체 물질로는 수산화나트륨(NaOH), 티오황산나트륨($Na_2S_2O_3$), 요소(Urea)를 사용하였다. 세정액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기존 암모니아를 적용한 실험의 최적 조건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실험에 사용된 세 가지 물질 중 두 물질은 암모니아 용액과 대체가 가능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최적조건은 각각 NaOH 2.5 %, $Na_2S_2O_3$ 5.0 % 에서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냈다. Urea는 효율이 일정하게 지속되지 않아 대체 물질로는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물과 수산화나트륨용액에 의한 블랙 드로스의 처리 (Treatment of Black Dross with Water and NaOH Solution)

  • 행위동;안병두;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6권3호
    • /
    • pp.53-60
    • /
    • 2017
  • 블랙드로스에는 금속 알루미늄, 알루미나, 실리카, 산화마그네슘, 가용성 염 및 미량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블랙드로스를 사용가능한 재료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실리카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가용성 염인 염화나트륨과 염화칼륨은 $50^{\circ}C$에서 물에 용해되었다. 물세척 후 잔사에 함유된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타이타늄의 침출거동을 NaOH의 농도와 반응온도를 변화시키며 조사하였다. 반응온도 $25{\sim}95^{\circ}C$에서 알루미나의 침출율은 온도에 비례하나 실리카의 침출의 경우에는 최적 온도가 존재하였다. 한편 2~6 M의 NaOH용액에 산화마그네슘은 전혀 용해되지 않았다. 5 M의 NaOH와 $95^{\circ}C$에서 알루미나와 실리카의 침출율은 각각 80과 68%이었다.

산업폐기물 소각장에서 발생된 소각비산회의 침출특성 (Characteristic of Leaching with Incineration Fly Ash of Industrial Solid Wastes)

  • 양종규;김종화;서명교;고태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8권1호
    • /
    • pp.18-2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산업폐기물 소각비산재를 2차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침출법으로 금속의 존재와 그 양을 확인하여 분리·회수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소각 비산재의 침출액에서는 다량의 Cu, Pb, Zn과 다양한 유해 중금속이 미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 소각재에 함유된 성분의 농도는 소각로에 도입되는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침출제로서 물, 황산, 탄산암모늄의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여러단계의 침출조작을 시도하여 하였다. 물 침출에 의하여 구리를, 수산화나트륨의 침출액에 의하여 아연과 납을 분리하고, 3차 침출제인 탄산암모늄의 침출액에 의하여 물에 미용해된 구리를 착이온 형태로 선택적으로 침출할 수 있었다. 각 단계별에 의한 무게 감량율은 물, 황산, 탄산암모늄에 의한 각 단계의 침출에 의하여 77%의 감량을 확인하였으며, 그 외의 각 방법에서는 60%이상의 무게 감량을 나타내었다.

  • PDF

수산화나트륨 침출용액으로부터 과산화수소에 의한 침전으로 알루미나 회수 (Recovery of Alumina from Sodium Hydroxide Leaching Solution by Precipitation with Hydrogen Peroxide)

  • ;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8권4호
    • /
    • pp.23-29
    • /
    • 2019
  • 블랙드로스로부터 순수한 알루미나를 회수하기 위해 기계적 처리한 블랙드로스의 수산화나트륨 침출용액을 대상으로 침전실험을 수행했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용액에 과산화수소를 침전제로 첨가했다. 실험변수중 과산화수소의 농도와 과산화수소와 용액의 부피비가 수산화알루미늄의 침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최적 조건에서 용액중 알루미네이트이온이 대부분 침전되었다. 수산화알루미늄을 $1200^{\circ}C$에서 하소시켜 ${\theta}$${\alpha}$상을 지닌 알루미나를 얻었고 제조한 알루미나의 특성은 XRD와 EDS로 측정했다. 알루미나 입자의 평균 입경은 $3.73{\mu}m$ 이었다.

Polyoxometalate를 이용한 레독스 흐름전지의 지지 전해질 농도와 성능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 and Performance of Supporting Electrolyte of Redox Flow Battery Using Polyoxometalate)

  • 조용진;권병완
    • 공업화학
    • /
    • 제34권2호
    • /
    • pp.175-179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음극 활물질로 폴리옥소메탈에이트(polyoxometalate, POM)인 포스포몰리브 산(phosphomolybdic acid)와 양극 활물질로 페로시아나이드(ferrocyanide)를 지지 전해질인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산화환원 흐름 전지(redox flow battery, RFB)를 구성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0 M, 1.2 M, 1.4 M, 1.5 M, 1.6 M)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성능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각 물질에 대한 전기화학적 특성과 안정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지지 전해질의 농도는 음극 활물질인 포스포몰리브 산에 영향을 주며 최적 값이 존재하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전해질 저항이 줄어들게 되며 1.5 M에서 가장 줄어드는 현상을 확인하였고 1.6 M로 농도가 증가할 시 전해질 저항이 다시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해질 저항의 감소는 전체 에너지 효율에도 영향을 주어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효율은 증가하며 1.5 M에서 가장 좋은 배터리 성능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견피브로인의 비등수 염산 및 수산화나트륨에 의한 가수분해 -말단아미노기의 정양적변화를 중심으로- (Hydrolysis of Silk Fibroin with Boiling Water, Hydrochloric Acid, and Sodium Hydroxide -On the Quantitative Change in Terminal Amino Group Content-)

  • 박찬헌;도성국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3-69
    • /
    • 1987
  • Silk fibroin is likely to be hydrolyzed by acids or alkalies at high temperature, and the degree of the hydrolysis has been inferred from the changes in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But, in this experiment, it was intended to infer that from the quantitative changes in terminal aminp group content as well as in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Silk yarn was treated with boiling water, hydrochloric acid, and sodium hydroxide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boiling water somewhat degraded silk fibroin. Silk yarn treated with sodium hydroxide contained more terminal amino group than that treated with hydrochloric acid. This result agreed fairly well with the loss in weight,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the terminal amino group content increased with the decrease of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nd weight. The damage by sodium hydroxide to the silk fibroin was greater than that by hydrochloric acid.

  • PDF

면직물의 알칼리 펙티나제에 의한 효소정련 (Bioscouring of Cotton Fabric with Alkaline Pectinase)

  • 김재원;김성동;최은경;홍현필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92-395
    • /
    • 2002
  • 효소는 주로 면직물의 전처리 및 염색가공에 사용되고 있는데, 공업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예로는 아밀라제에 의한 호발, 셀룰라제에 의한 감량 및 유연가공을 들 수 있고, 최근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는 펙티나제에 의한 정련은 공업화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글루코스 옥시다제에 의한 표백은 아직연구 초기 단계에 있다. 효소정련이란 기존의 수산화나트륨 대신에 효소를 사용하여 행하는 정련을 말하며, 장점으로는 50-6$0^{\circ}C$ 정도의 온도에서 행하기 때문에 기존 정련법과 비교시 에너지와 용수를 절약할 수 있는 것, 폐수 중에 방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현격하게 줄일수 있을 것, 우수한 생분해성으로 인한 수질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 부드럽고 스무스하여 자연스런 태를 부여하는 것 및 재현성이 높은 것 등이다. (중략)

  • PDF

알칼리활성 천연황토 결합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lkali Activated Natural Hwangtoh Binder)

  • 김백중;김준환;이종구;강경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389-390
    • /
    • 2010
  • 본 연구는 콘크리트 결합재로 사용되는 시멘트의 대체재 개발을 위해 천연황토에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과 액상 규산나트륨($Na_2SiO_3$)을 혼합한 후 $60^{\circ}C$에서 알칼리 활성화하여 경화시켜 강도 발현 양상을 분석한 천연황토 콘트리트 결합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 PDF

Acetaminophen 속용정의 제제개발 연구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cetaminophen Quick-dissolving Tablets)

  • 신현종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0-25
    • /
    • 2000
  • 아세트아미노펜(파라세타몰)은 p-aminophenol 유도체로서 (그림 1) 두통, 치통, 신경통 등의 통증에 널리 사용되는 해열진통제인데 아스피린과 같은 정도의 해열 진통 효과를 나타내며, 이것은 중추신경계의 체온조절 중추에 작용하여 피부혈관을 확장함으로써 열의 확산을 증가시키는 해열작용과 시상 및 대뇌피질에의 통각역치를 높여 진통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정 된다. 아세트아미노펜은 백색의 결정 또는 결성성 가루로 물에 조금 녹고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 잘 녹으며 수산화나트륨 시액에 녹고 에텔에는 매우 녹기 어렵다 (표1). 대한약전에서는 정제가, 미국약전에는 캅셀제, 좌제, 경구현탁액제, 발포성 건조시럽, 정제 등이 수재되어 있고, 세계 각국에서 OTC 제품으로 1정당 160mg의 츄잉정까지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시판되고 있는 정제등은 붕해되어 용출되는데 오랜시간이 소요되어 대한약전에는 약 30분간에 80%이상의 용출기준이 설정되어 있으며, 독특한 쓴맛 때문에 microencapsulation 한 제피세립을 사용하고 있으나 역시 1 정당 300mg 이상의 확산정이나 속용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붕해속도가 빠르고 특히 진통효과가 빠르며 물없이 구강내에서 간편히 녹여 복용하거나 또는 씹어서 또는 물과 함께 복용할 수 도 있는 $\ulcorner$알카펜$\lrcorner$ 속용정을 개발하게 되었다 (그림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