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산관광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The comparison between Pleuronichthys cornutus and Pleuronichthys japonicus for the activation of fishery marine tourism (수산관광 활성화를 위한 도다리와 흘림도다리의 비교)

  • Shin, Lim-S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8
    • /
    • pp.43-48
    • /
    • 2021
  • There are prior studies that describe in detail the classification and shape of 26 species of Korean flounder, but it is difficult to make them out and they are used interchangeably or misused. It is intended to present the taxonomic standards of Pleuronichthys cornutus and Pleuronichthys japonicus and use them as tourism education materials using aquatic resources. Morphological comparison was made through counting and measurement. The two fish species were generally flattened in an oval shape with a low body height and a wide body width, and the anal fin developed and sized similar to the dorsal fin, and the caudal fin was widely spread out. Among the hyoid bones, in three parts of the coccyx, the main part, the ischial part, and the cardinal proces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curvature, the open angle, and the shape of the ischial part and the lateral process, which corresponded to the representative classification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will be expected that it will serve as a basis as a fishery and marine education material for marine tourism that classifies and categorizes the characteristics as a genus of flounder and categorizes the characteristics, and reduces misuse of scientific names and names in the future.

U.S. Coastal Tourism and Recreation Policy: A Federal, State, and Local Perspective (미국 연안관광과 레크레이션 정책)

  • Oh, Chi-Ok;Ditton Robert B.;Draper Jason
    •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 /
    • v.37 no.3 s.72
    • /
    • pp.131-155
    • /
    • 2006
  • 연안관광여행과 레크레이션은 일반적으로 스노클링, 다이빙, 레포츠피싱, 해변방문, 보우팅, 크루져 등의 연안근처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레크레이션 활동을 포함한다. 2000년에 바다와 관련된 산업은 미국에 1,170억 달러를 기여했고, 200만개의 직업을 창출하였다. 그 중 직업의 75%와 경제적 가치의 50%는 해양관련 관광과 레크레이션에 의해 생산되었으므로 연안관광과 레크레이션은 미국경제에서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국에서 연안관광과 레크레이션이 가지는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에 따른 연안관광여행에 대해 현재 사용 및 적용되고 있는 미국의 정책구조를 정리하고, 이와 관련된 기관들과 그 역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연안 레크리에이션 관리가 미국내의 연방, 주, 지역정부차원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레크리에이션 자원 관리의 개념으로부터의 연방 및 주의 연안 프로그램의 문제점 및 상황과 관광 여행 개발을 위해 사유지 부분 접근문제해결에 대하여 연방 및 지방 정부의 대응방법을 분석함으로써 미래 연안관광자원의 이용을 위한 이론적 기본틀을 제시하고 있다.

  • PDF

크루즈 관광 사례 분석 - 일본 중심으로

  • Heo, Jae-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118-120
    • /
    • 2019
  • 우리나라는 중국과 일본을 연계하는 동서항로와 러시아에서 동남아시아로 이어지는 남북항로의 연계거점에 위치하는 입지적 강점에도 불구하고 국제 크루즈 시장 여건이 성숙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크루즈 관광의 현황을 짚어보고 일본 사례의 성공요인을 분석하여 크루즈 관광의 발전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기 수행되었던 연구보고서 및 데이트를 활용하였다. 조사결과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부처 협업을 통해 크루즈 관광 거점 구축, 단기적으로 인센티브를 활용하여 외국 선사 유치 전략과 더불어 중장기적으로는 자국 선사, 상품 구축 동시 병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해업과 수산시스템의 관계에 대한 추구

  • SaEKi, KiMiYaSeu
    • 어항어장
    • /
    • s.79
    • /
    • pp.58-60
    • /
    • 2007
  • '수산공학연구소'는 수산물의 안정적인 공급확보와 수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하여 토목공학기술, 어업생산기술, 조사계획기술 등의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많은 연구과제의 하나로서 생활기능, 관광기능과 수산업의 공존을 위한 시설설치의 연구를 진행하면서 어항공간의 효과적인 활용을 도모하고 있다. 자운, 유통, 가공 등 다양한 요소로부터 형성되는 수산업의 전체상을 파악하여 시스템의 개혁에 의한 지역진흥을 도모하고 있다.

  • PDF

A Study of Improvement of the Accessibility of Marine Tourism by Expansion of Traffic Network: A focused on opening of Seoul-Gangneung KTX (국내 광역 교통망 확충에 따른 해양관광 접근성 개선에 관한 연구: 강릉선 KTX 개통 사례를 중심으로)

  • Choi, Il-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169-170
    • /
    • 2019
  • Domestic marine tourism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traffic accessi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way to improve the plan of marine tourism in order for expanding traffic network. In particular, with the successful hosting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and the opening of Seoul-Gangneung KTX.

  • PDF

Domestic island tourism activation policy direction : Focusing on comparison of overseas island tourism activation case (국내 섬관광 활성화 정책 도입 방향 -국외 섬관광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 Lee, Jung-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171-172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island tourism, analyzes the progress of the island tourism policy that has been promoted to date, and presents the direction of domestic island tourism activation policy by comparing with the case of Japan which is similar to the soci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level to integrate and promote the island tourism policy dispersed in many ministries, and to develop the level and scale of policy that can be driven by island residents.

  • PDF

해양관광벨트 조성을 통한 동서간 연계방안 - 남해안 관광유람선 사업을 중심으로 -

  • Lee, Geon-Cheol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3
    • /
    • pp.99-135
    • /
    • 1999
  • 남해안의 해양관광벨트 조성사업은 양 지역의 세계화와 지방화의 기틀을 동시에 마련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남해안의 관광유람선사업은 연안 해양지향적 국토개발정책 비중이 증대되는 과정에서 중앙정부도 남해안국제관광벨트 조성사업계획을 금년말까지 수립할 계획이며, 민선자치시대를 맞아 지역의 자립의식 및 지역간 경쟁분위기가 고조되면서 지역의 비교우위성 자원을 활용한 지역발전전략을 추진하는 분위기가 성숙되는 등, 국가 지역적인 여건과 합치하고 있으며, 그 위에 남해안의 관광유람선사업은 동서협력 차원에서도 유익한 사업으로 기대된다. 실질적인 동서화합은 상호 인 물적 교류를 통해 과실을 함께 얻을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때 이루어진다는 측면에서 관광유람선사업은 동서협력의 대표사업이다. 관광유람선이 운항되면 양지역주민들의 상호 방문이나 자치단체간 상호 친선방문 등이 이루어짐으로써 인적 교류가 활성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며, 관광유람선이 운항되면 남해안에 풍부하게 부존되어 있는 수산자원과 특산물 등 물적자원의 교류가 이루어짐으로써 남해안지역의 수산물과 특산물 관련산업 진흥에 기여할 것이며, 관광유람선 운항을 위해서는 사전 준비단계에서부터 운항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서 부산, 경남, 전남 등 자치단체의 협력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협력체제가 동서협력으로 성숙될 가능성이 높고, 또한 관광유람선의 운항범역이 단계적으로 중국, 일본에까지 확대되면 남해안지역의 세계화에도 기여할 것이다.

  • PDF

Reestablishment of the List for Code Assignment for Fish Imported into Korea (국내에 수입되는 어류의 코드 부여를 위한 목록 재정립)

  • Han, Kyeong-Ho;Kang, Chung-Bae;Kim, Jin-Koo;Lee, Sung-Hoon;Moon, Chan-Woong;Cha, Sang-Hun;Lee, Jin;Woo, Jin-Joo;Han, Seung-Jo;Choi, Won-Jun;Kim, Hui-Jin;Yu, Tae-Sik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55 no.3
    • /
    • pp.353-373
    • /
    • 2022
  • Many fish species are imported into Korea from various countries. However, in the case of some fish species, there are many that do not have Korean names. Species similar in morphology to domestically produced aquatic products are often disguised as being domestically produced and distributed.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 species list for 1,032 fish imported into Korea. Fish species that have not been given Korean names have been given a Korean name using a scientific method to prevent confusion during seafood distribution. Standards for naming stingrays, skates, and mackerel, which are often confused when a country name is being assigned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