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사학적 표현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4초

수사학적 비유에 기반한 영상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전략 (Storytelling Strategy of Visual-Image Contents base on Rhetoric Metaphors)

  • 김경수;김희숙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81-49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영상 콘텐츠 개발에서 원천 기술로 활용되고 있는 스토리텔링 전략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스토리텔링 구성 방식은 기획, 제작, 편집의 3 단계로 수행된다. 그리고 스토리텔링 전략 방식은 수사학적 비유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미지 은유법, 이미지 의인법, 이미지 직유법의 세 가지 형태의 수사학적 비유로 분류된다. 연구를 위해 은유법, 의인법, 직유법을 활용한 영상 각각 1점씩 총 3점을 제작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영상 콘텐츠는 수사학적 표현으로 영상 콘텐츠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위한 시각언어로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합리적인 방법이 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비유법에 의한 영상 콘텐츠의 표현 가능성을 인식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최근 창의적인 영상 콘텐츠의 표현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영상 콘텐츠의 창의적 발상을 위한 이론적 연구가 빈약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향후 창의적 영상 콘텐츠의 표현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활용과 영상콘텐츠 연구와 지도를 위한 기초적 이론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메타포를 적용한 정보시각화의 단순화 (The Simplification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using metaphor)

  • 김성곤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303-310
    • /
    • 2021
  • 거시적 데이터 변화를 단순한 형태로 유추 비교 및 분석하는 시각 정보 콘셉트 개발방법이 필요하다. 시각 정보 콘셉트의 개발에는 시각화 형태 선택, 수사학적 효과 선택 그리고 디지털 표현요소 선택 작업이 필요한데, 이 중에서,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사학적 효과 선택 방법의 예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간별 및 업종별 주가 분석을 위해서, 원관념과 비유되는 보조관념을 통하여 거시적 관점에서 데이터 비교 분석이 가능한 메타포 수사학을 선택했다. 갓털이 퍼져나가는 민들레를 메타포로 사용한 2차원 3단 형태 변화와 시간에 변화 따라서 형태와 색상이 변하는 코랄 작약 꽃송이를 메타포로 사용한 3차원의 3단 형태 변화 정보표현 방식을 제시한다. 이러한 수사학적 메타포를 사용하면, 거시적인 거래 변화와 업종별 주가 비교 분석이 가능하다.

현대 건축의 신디자인 개념에 관한 연구 -포스트모던 건축의 수사학적 표현 기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ew Design Concept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Focused on the rhetorical expression of the Postmodern Architecture-)

  • 김은지;이정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호
    • /
    • pp.26-32
    • /
    • 1999
  • The point of this study consists in analysing influences of the postmodern design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Since the modern architecture, new concept of architectural design has been materialized in the Late-Modern and the High-tech style but the revolutionary changes has been tempted by the postmodern architects who introduced the Rhetorical language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concrete terms postmodern architecture divided architectural elements from existing function (according to U. Eco, it is the primary function of architecture) and gave another function which is the secondary function or the symbolic function or architecture. And the methods of deviation from the conventional code is exactly the rhetorical expression technique which governed the history of art in Europe (but these technique is more intensively applied in the postmodern architecture) So this study is purposed to analyse the different rhetorical "figyres" regarding the syntax and semantic of the architectural langyage, and particularly to approach to the basic mechanism of the New Design Concept in the Contemporary Archiecture.chiecture.

  • PDF

퓨전 디자인의 수사학적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hetorical expression of the Fusion Design)

  • 김은지;이정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9호
    • /
    • pp.3-10
    • /
    • 2001
  • In recent years when the importance of public communication is more emphasized, it has to be noticed that we are now living in the public-initiated age of rhetoric resulted from rapid development of broadcast medi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reatise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the fusion design in order to anaylize the rhetorical expressions as symbols of communication. One of those is intertextuality that expresses metaphorically by bleding and borrowing codes and another is hypertextual space where various texts twines around each other making brand-new and diverse organizations, as the combined allegory with a number of hidden expression. The fusion design may be understood as the Intention to attract gaze to visual messages and as the rhetorical expressions based on compounding aesthetic codes by producing new cultural meanings. If fusion, a phenomenon which represents the 21st century, not a passing fad of cultural mixture, is ready to take the initiative, the design has to be groped for that creates a synergy effect.

  • PDF

공공정보디자인의 수사학적 표현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대중교통 정보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hetorical Expression of Public Information Design -Focus on Information Design Case for Seoul Public Transportation-)

  • 양승주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95-104
    • /
    • 2005
  • 정보과도화(information overload)'와 '정보 불안(information anxiety)' 현상을 겪고 있는 21세기를 우리는 '정보의 시대(age of information)'라고 말한다. 사람들이 인지해야 할 정보는 더 많고 복잡해졌지만 개인의 정보처리능력은 제한되어있다. 따라서 정보디자이너는 효율적인 시각시스템을 개발하여 대중의 쉽고 빠른 커뮤니케이션을 도와야하는 시대적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문제인식에서 시작하였다. 점차 정보와 각 언어의 중요성이 높아져 가는 시점에서 사회적인 시각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을 수사학에서 찾아보았다. 오랜 역사를 가지고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해온 수사학은 오늘날 시각정보커뮤니케이션의 사회적 환원에 수많은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를 토대로 정보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수사학적 표현원칙과 논리를 파악하여 정보디자인의 수사학적 프로세스와 표현 방법을 제안하구 디자인의 사회적 활동에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사학적 방법론을 사례작품인 서울시 대중교통 정보디자인에 적용하여 새로운 맵과 안내서를 개발하였다.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서울시 대중교통 정보디자인의 현황을 분석하고,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사용자평가를 실시하였다. 48개 TAZ를 기본으로 서울시 도시공간구조를 모듈화하고, 가능한 이동경로를 환산하여 예측될 수 있는 정보읽기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디자인은 통합정보제공과 컬러코딩의 사용, 스타일의 적용 및 순차적인 정보읽기프로세스에 따라 진행되었다.

  • PDF

네트워킹 미디어 플랫폼의 대리적 감정 경험과 크리에이티브의 수사적 표현 방식에 따른 수용자 반응 효과 (The audience's reaction effect based on vicarious emotional experiences and creative rhetorical expressions of the networking media platforms)

  • 최혁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13-123
    • /
    • 2021
  • 이 논문은 SNS 광고의 수사학적 표현 유형에 대한 실험 자극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밝혀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간접적인 감정적 반응 수준과 SNS 매체의 크리에이티브 단서들을 통한 참여자의 역동적인 커뮤니케이션 반응을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참여자는 실험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대학생들로 제한하였다. SNS 미디어 플랫폼에 대한 대리적 감정 경험은 수용자의 반응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네트워킹 미디어 플랫폼에 대한 대리적 감정경험이 높을수록 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수용자의 대리적 감정경험과 수사적 크리에이티브 유형 간에도 유의적인 상호작용효과가 발생하였다.

은유와 사고: 정치적 은유를 중심으로 (Metaphor And Thought: Focused on Political Metaphors)

  • 김현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348-4353
    • /
    • 2011
  • 본 논문은 은유적 표현이 단순한 수사학적인 표현이 아닌 사고의 영역에 관련되어 있다는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을 따른다. 이러한 관점은 은유는 특정한 사고의 틀(frame)을 동원하여 그 틀에 의해 대상을 보게 하므로 어떤한 면을 부각시키는 반면 여전히 실재하는 다른 면을 감추기도 하면서 우리의 삶에 영향을 주고 있음에 주목한다. 정치에서의 은유표현들은 정치적 의도를 관철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Lakoff는 미국의 보수주의에는 '엄한 아버지' 모델이 라는 도덕관이 작동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본고는 '엄한 아버지' 모델에 근거한 동일한 은유가 조지 H. 부시 대통령의 걸프전 연설문과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이라크전 연설문에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대 일러스트레이션에서 修辭學的 표현 연구 (A Study of Rhetorical Expression in Modern Illustration)

  • 문철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91-100
    • /
    • 2002
  • 수사학(rethoric)은 원래 고대 그리스나 로마 시대 웅변의 방법, 설화술 등의 설득을 위한 학문활동이라고 볼 수 있으나, 오늘날에는 문체의 본질 혹은 문장 표현상의 용어법 연구를 말한다. 현대 수사학은 수사학 학자들이 예측한 대로 단순히 언어와 관련된 학문의 범위를 넘어서 다양한 문화, 매체, 커뮤니케이션 등의 설득적 담론과 시와 같은 비설득적 담론은 물론, 시각언어의 영역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시각디자인 영역에서도 무엇을 어떻게 말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는데, 하나의 시각표현물이 보는 이들을 설득해 작가의 의도를 이해하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행동을 유도하는 커뮤니케이션 활동이라는 점에서 어떻게 말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는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것이다. 어떻게 하면 좀더 설득적으로 메시지를 형상화하느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설득적 방법을 논하는 학문인 수사학을 시각언어에 활용하는 것은 당연하다. 오늘날 일러스트레이션 등의 분야에 있어서 적절한 비유나 강조, 변화 등을 추구하는 수사적 표현의 사용은 신선한 느낌을 주어 쉽게 보는 이들과 친밀해질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한다. 이런 표현들은 항상 호기심을 가지고 새로움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심리를 충족시키고 일러스트레이션의 내용에 생기를 불어넣으며, 그로 인해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시각적 이미지와 그것에 상응하는 언어적 해석을 통해서 그 본질적인 의미를 새롭게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통적 언어에서의 수사학과 시각언어에서의 수사적 표현법의 분류가 일치하지는 않으나, 동일하게 커뮤니케이션 작용을 목적으로 한다는 차원에서 수사학적 의미작용이 현대 일러스트레이션에 있어서 어떠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고, 또 그 시각적 효과는 어떠한지를 조사하여 그 활용가능성을 알아보았다.

  • PDF

초급 상 수준을 위한 스토리텔링 중심의 영어 말하기 교수 전략 (Strategies of Storytelling Based Teaching of English Speaking for Novice High Learners)

  • 고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172-3179
    • /
    • 2015
  • 본 연구는 성인 영어 학습자의 말하기 숙련도 향상을 위한 영어교수법을 제안하고 있다. 패턴 위주의 문장암기나 문법 규칙 중심의 대화식 영어회화 교육 방법을 탈피하여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영어 말하기 교수 방법론을 소개하고 있다. 스토리텔링 중심의 영어 말하기 교수법의 이론적 타당도를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말하기의 목적 즉, 자신의 생각을 적절히 설득적으로 표현하고 자신의 의견을 나눌 수 있기 위해서는 먼저 풍부한 담화량의 확보가 관건이다. 이를 위하여 이야기 구성요소 중심의 말하기 전략 12가지를 소개하고, 말하기 학습에 적용해 보고 있다. 다음으로, 수사학적 차원에서 설득적인 말하기를 위한 전략을 살펴본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득적인 말하기를 위한 수사학적 5대 영역을 중심으로 스토리텔링 기법의 말하기와의 관련성을 찾아본다. 끝으로, 교육 현장에서 스토리텔링 중심의 영어 교수법 적용의 가능성을 살펴본다. 외국어 학습자로서의 언어 숙련도가 모국어 수준과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위와 같은 스토리텔링 기법의 영어 말하기 교수가 교육 현장에서 실현될 수 있을까에 관한 의문에 학습자 전략 사용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실현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