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목건강도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Issues of Topsoil Preservation in Land Development Projects (토지개발사업의 표토보존에 있어서의 과제)

  • Kim, Sun-Mi;Lee, In-S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5 no.2 s.121
    • /
    • pp.91-96
    • /
    • 2007
  • 대규모 개발사업을 시행함에 있어 우리는 종종 무의식적으로 토양층을 교란시키게 된다. 식물 성장에 있어 토양은 영양분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특히 토양 중 표토층은 식물 생장에 필요한 많은 영양성분을 갖고 있으므로 토양층의 파괴는 식재된 수목의 하자와 직접 연결된다. 살아있는 식물을 다루는 조경공사에서는 공사 후 높은 하자율을 걱정하기에 앞서 수목의 원활한 활착을 위해 토양을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목과 토양의 생리학적 관계 및 토양의 기본적인 성질과 표토의 중요성, 표토의 특성을 유지하는 방안 등에 대해 고찰하고 사례연구로 한국토지공사에서 시행한 용인 동백지구의 표토 활용사례를 검토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효과적인 표토층 보존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목의 성장률, 건강도, 수형 등은 직접적으로 토양의 질과 연결되고 양질의 토양은 수목의 원활한 생장을 가져와 결국 수준 높은 경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수목과 토양의 생리학적 관계를 파악하고 수목의 성장에 적정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불량한 토양으로 인한 수목의 하자율을 사전에 방지하고 수목의 건강성을 유지하는 방안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An Analysis of Growth Conditions of old Trees in Yangdong Villages (양동마을의 노거수 생육실태 분석)

  • Kim, Young-Hun;Deng, Bei-Jia;You, Ju-H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2
    • /
    • pp.95-10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by analyzing and analysing the Growth Conditions of old Trees in Yangdong village. This study investigated about the conducted on tree information, soil information, and tree health. The result are as follows. The trees information in Yangdong Village consists of Juniperus chinensis, Salix chaenomeloides, Salix pseudolasiogyne, Celtis sinensis, Zelkova serrata, Gleditsia japonica, and Gleditsia sinensis trees, The range of height was 4.0~17.0m, and the diameter was 0.51~1.34m, Juniperus chinensis trees of No.17 was most large. In the results of soil analysis, there showed that acidity was pH4.1~6.3, hardness of 5~48mm, organic matter content of 21.2~29.1g/kg, electrical conductivity(EC) of 0.34~1.76dS/m, available P2O5 of 79.8~451.6mg/kg, exchangeable K of 0.22~1.71cmol+/kg, exchangeable Ca of 4.98~7.44cmol+/kg, exchangeable Mg of 0.67~2.19cmol+/kg, exchangeable Na of 0.19~1.04cmol+/kg and cation exchange capacity(C.E.C) of 7.23~13.02cmol+/kg. As a result, the highest number of tree health levels is 8 of 11trees of Celtis sinensis, 2 of 7trees of Zelkova serrata, and 3 of Gleditsia sinensis, and 13 of 30 trees of health levels, The Older trees with high infection, spoil and hollowed part were the remaining trees except for the healthy part. Relatively, more than half of the number of targets is infected, decay, and the hollowed site, and it is necessary to perform surgery on the damaged area. In addition, preservation and protection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by supplying root nutrients for trees, controlling nutrients in the body to prevent secondary and tertiary damages that cause the infection site to metastasize to the health site, In order to continually monitor the trees, measures to improve the location environment and management of the trees should be sought.

A Study on the Positioning Strategies of Arboretum (수목원의 포지셔닝 전략에 관한 연구)

  • Kang, Shin-Koo;Moon, Jong-Tae;Han, Sang-Yoe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8 no.6
    • /
    • pp.703-711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o establish more effective and differential management strategy of arboretum, through the analysis and comparison between arboretum and representative forest recreational site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at the six fields of forest recreational site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447 people who visited these forest recreational sites took part in the questionnaire.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boretum was positively evaluated by the six strengths from the participants; natural area, experiences and observation activity,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promotion of health, reasonable charge of use and a lot of things to see and do. But there is the need for arboretum to develop characteristic rest culture and raise efficiency because arboretum is in keen competition with recreation forests and national parks by several characteristics.

The Study on evaluation index development and species selection determining to establish priority species monitoring system in DMZ (DMZ일원 중점관리종 모니터링체계 구축을 위한 평가지표개발 및 종선정 연구)

  • Park, Jinsun;Bak, Gippeum;Kim, Sang-Jun;An, Jong-Bin;Lee, Ahyoung;Hwang, Hee-suk;Song, Jin-Heon;Yun, Ho-Geun;Jung, Su-Young;Jung, Ji-Young;Kim, Il-Kwon;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77-77
    • /
    • 2019
  • 본 연구는 DMZ일원에서 생육하고 있는 자생식물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DMZ일원 종다양성의 지속적인 건강성 유지 및 보전을 위한 중장기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중점관리종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DMZ지역과 북방계지역에 대한 생물자원을 연구할 수 있는 기본틀을 마련하고 생물권보전지역을 지정함으로써 국제교류 및 이해에 기여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DMZ일원의 관속식물상은 157과 754속 2,047종 12아종 340변종 105품종 총 2,504분류군이 생육하고 있다. 이 중 희귀식물은 총 285분류군, 특산식물은 총 124분류군, 침입외래식물은 130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다. 전체 2,504분류군 중 희귀식물, 특산식물, 침입외래식물을 대상으로 전국분포정보 및 DMZ일원 분포정보를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희귀 특산식물에 해당하는 보호종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는 IUCN 적색목록기준 의 국내수준 및 DMZ일원의 희귀 특산식물의 등급을 CR종 3점, EN종 2점 VU종 1점으로 점수를 평가한 뒤 국내 분포 지역수(IUCN red list criteria B)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보호우선순위를(I$10,576.9km^2$) 대비 종 분포면적의 0~20% 1점, 21~40% 1.5점, 41~60% 2점, 61~80% 2.5점, 81~100% 3점으로 분포등급을 평가한 뒤 생태교란종(14분류군) 및 산림침입종(181분류군)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관리우선순위를(I

  • PDF

A Study on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Disturbed area in DMZ(Demiltarized zone) (DMZ 내 생태교란지 식물복원 연구)

  • Jung, JI-Young;Kim, Sang-Jun;An, Jong-Bin;Lee, Ahyoung;Hwang, Hee-Suk;Bak, Gippeum;Park, Jinsun;Song, Jin-Heon;Yun, Ho-Geun;Jung, Su-Young;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26-26
    • /
    • 2019
  • DMZ 일원은 정전협정으로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가 설정된 이래 민간인의 출입이 엄격히 금지된 채로 외부의 간섭에서 벗어난 독보적 공간으로 보전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지역은 자연재해 및 군사적 목적으로 훼손되어 생태적으로 교란된 지역이 발생하여 생태적 건강성이 저하되고 있다. 무엇보다 군사분계선 남쪽 2km에 설치된 남방한계선은 군사적 목적에 따라 시계확보를 위해 불모지작전을 수행하여 생태적 교란 및 토양침식에 의해 생태계가 열악한 실정이다. DMZ 내 생태교란지 식물복원 연구는 DMZ내 생태교란지를 하나의 특수한 생태계로 간주하여, 향후 DMZ내 생태교란지에 특화된 식생복원 체계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MZ 155마일(248km)에 대해서 위성영상분석을 수행하여 생태교란지 유형화분류 연구를 수행하여 7개 유형(저지대초지, 서부저지대산지, 저습지 및 수공간 지역 등)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DMZ 생태교란지에 적합한 식물종 선정을 위하여 DMZ 전역을 대상으로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여, 분포가 확인된 종을 대상으로 도입 가능종의 검토, 종자 수집 및 채종원 조성을 실시하였다. 추후 DMZ 생태교란지 식물복원에 적합한 공법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시계확보를 위해 수행되는 불모지 작전에 적합한 종의 선정, 선정된 종을 대상으로 유사환경 조성에 따른 공법 적용, 적용된 공법에 따른 관리 방안 연구를 함께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DMZ 일원에 특화된 공법개발이 이루어진다면 불모지 작전 및 관리 최소화가 이루어지고, 무엇보다 우리나라 종자 및 야생화 산업의 활성화와 현재 파편화 되어 있는 생태축이 하나의 축으로 연결 될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 PDF

Effective Techniques for Seedling Production of Amsonia ellipotica (Thumb.) Roem. & Schult. (정향풀의 효과적인 묘 생산을 위한 육묘법)

  • Lee, Sang In;Yeon, Soo Ho;Cho, Ju-Sung;Kim, Sang Young;Cho, Won Woo;Jeong, Mi Jin;Lee, Cheol Hee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4 no.5
    • /
    • pp.470-477
    • /
    • 2021
  • Amsonia ellipotica (Thumb.) Roem. & Schult. has less than 10 native places nationwide and is evaluated as an endangered species (EN) on the Korean Red List, so systematic breeding and cultivation methods are requir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n effective method for seedling production in A. elliopotica that can be developed as a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and new ornamental material.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by varying the seedling production container (72, 105 and 128 cell trays), number of seeds sown in a cell (1, 2, and 4 per cell), soil type [horticultural soil and neutralized peat-moss: perlite mixed in 3:1, 4:1 (v:v)], additional fertilizer concentrations (0, 250, 500 and 1000 mg/L) and shading degrees (0, 55 and 75%). As a result of the study, growth increased with the increased in measuring capacity per cell of sowing container. According to number of seeding growth, sowing one seed per cell was the best. Seedling growth increased as the treatment concentrations increased, higher growth was in 1000 mg/L.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shading treatment, growth significantly decreased regardless of shading degrees.

Management Improvement of Big and Old Trees in the Byeol-seo Scenic Sites (별서 명승지역 내 노거수목의 관리개선방안)

  • Lee, Jong-Bum;Lee, Chang-Hun;Choi, Byoung-Jae;Lee, Jae-Ke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1 no.1
    • /
    • pp.98-107
    • /
    • 2013
  • Big and old trees in the scenic spots with the attributes of remote villas are vulnerable to man-made damages and very sensitiv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soil conditions, so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plans are required. Thu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survey the big and old trees in the scenic remote villas and suggest the ideal management plan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tree heath above the ground, transformation of tree, death of branches, and death of barks are closely related to tree vigor. Particularly, the areas receiving many visitors require prompt countermeasures against the dried and dead tress above the ground and the areas in which dried and dead tress occurred and also the safety measures for the visitors and facilities. Second, regarding the soil environment, visitor traffic is closely related to the tree vigor. In 15 remote villa gardens, 64% of trees are exposed to heavy traffic and the tree vigor has declined due to an increase of visitor. Thus, there is a need to give positive consideration the installation of the complementary facilities and the plantation of herbal plants in the congested areas to form the ground surface that can tolerate the heavy visitor traffic. Third, remote gardens are in general located adjacent to ponds and mountain streams and thus the trees in the waterfront areas require the prompt countermeasures against the decline of growth due to the excess-moisture in the soil. Further the blockage of the sewage system due to the heavy rains dampens the surrounding soil, which results in lethal damages to the trees. Thus, there is a need of the maintenance of the waterfront areas and sewage system before and after the rainy season.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medium-long term management polices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main trees of remote villa gardens in scenic spots and prepare the tree management manual depending on the attributes of the corresponding areas. I strongly suggest making manuals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as well as the extensive PR activities and education for the preservation of tress on a long-term basis; and furthermore securing the budget and manpower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A study on the field composition for making of windbreak forest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새만금 방풍림 조성을 위한 식생기반 조성기법에 관한 연구)

  • JI, Dallim;Choi, Kangwon;Noh, Ky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77-177
    • /
    • 2020
  • 새만금 간척지는 1989년 '새만금간척사업'이 발표된 이래 1991년에 방조제 공사를 시작으로 2006년 물막기 공사를 완료하였고, 2009년 이후 방조제를 완공하여 현재는 40,100ha의 간척지가 조성되었다. 하지만 간척지는 장기적으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며 특히 간척으로 인한 해안경관의 가치 상실, 생태계 파괴 및 교란에 따른 변화가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적극적인 식생의 도입이 그 대책의 하나가 될 수 있는데 이는 자연적으로 식물천이를 유도하고 동물들을 유인하여 생태적으로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간척지의 대표적인 수목생육 제한 요인으로 판단되는 염분, 배수 및 통기성에 대한 시험연구를 진행하고자 '09~'11까지 초기에 김제광활에서 2ha의 시험포를 운영하였고, '12부터는 군산옥구에서 2ha의 시험포를 운영하고 있다. 수목을 심을 포지를 구획하기 전에 토양의 염분값을 낮추기 위해서 군산옥구의 경우, 2ha의 시험포를 포함한 전체 묘목장 부지(100ha) 중에서 일부구간(38ha)을 '09 부터 자연강우 담수제염을 통해서 제염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초기 염분 값이 18ds/m~20ds/m에서 8ds/m~10ds/m로 낮아졌다. 이렇게 수목이 자랄 수 있는 정도의 제염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배수 및 통기성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포지를 구획하였다. 단지1의 경우, 사전제염작업을 하지 않고, 5M간격의 암거를 설치하였고, 단지2의 경우, 사전강우제염을 진행하고, 10M간격의 암거를 설치하였다. 단지3의 경우, 사전강우제염을 진행하고 그 위에 0.4M의 준설토를 성토하여 포지를 조성하고 일부구간에 5M, 10M암거를 설치하였다. 2년 간의 수목 생존률 및 생장 모니터링을 통해서 각 단지에서의 수목생장의 적합성의 정도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단지3이 암거설치 간격 및 설치유무에 관계없이 수목이 자라는데 가장 적합했다. 다음으로 단지2, 단지1 순으로 나타났다. 염분 값을 낮추기 위한 자연강우 담수제염의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배수 및 통기성 개선을 위한 암거설치의 경우는 새만금 전체 식재구역에 적용하기에는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배수 및 통기성을 위한 별도의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각 단지에서의 수목 생장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보다 장기적인 측면에서의 식재기반 조성기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