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개발사업의 표토보존에 있어서의 과제

The Issues of Topsoil Preservation in Land Development Projects

  • 발행 : 2007.06.30

초록

대규모 개발사업을 시행함에 있어 우리는 종종 무의식적으로 토양층을 교란시키게 된다. 식물 성장에 있어 토양은 영양분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특히 토양 중 표토층은 식물 생장에 필요한 많은 영양성분을 갖고 있으므로 토양층의 파괴는 식재된 수목의 하자와 직접 연결된다. 살아있는 식물을 다루는 조경공사에서는 공사 후 높은 하자율을 걱정하기에 앞서 수목의 원활한 활착을 위해 토양을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목과 토양의 생리학적 관계 및 토양의 기본적인 성질과 표토의 중요성, 표토의 특성을 유지하는 방안 등에 대해 고찰하고 사례연구로 한국토지공사에서 시행한 용인 동백지구의 표토 활용사례를 검토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효과적인 표토층 보존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목의 성장률, 건강도, 수형 등은 직접적으로 토양의 질과 연결되고 양질의 토양은 수목의 원활한 생장을 가져와 결국 수준 높은 경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수목과 토양의 생리학적 관계를 파악하고 수목의 성장에 적정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불량한 토양으로 인한 수목의 하자율을 사전에 방지하고 수목의 건강성을 유지하는 방안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토지공사(2001) 용인동백지구의 친자연적인 택지개발을 위한 자연 생태계 정밀조사 및 생태적 녹지 조성방안 연구보고서. pp.174-176
  2. Cregg, Bert(2003) ABC's tree nutrition. Journal of Landscape, August 2003
  3. Koenig, Rich(1997) Topsoil quality guidelines for landscaping. AG/ SO-02. May 1997
  4. Kozlowski, T. T. and S. G. Pallardy(1997) Physiology of Woody Plants. Academic Press
  5. Stall, Elizabeth P. (1998) Secrets to Great Soil. Storey Publishing Pownal
  6. Sullivan, Preston(2004) Sustainable Soil Management. Appropriate Technology Transfer for Rural Areas Publication
  7. http: //plaza4.snut.ac.kr/%7Erecycle/soil_pollu/soil_02.htm
  8. http://www.co.ozaukee.wi.us/ordinances/ord% 2011_01.htm
  9. http:/www.ext.colostate.edu/Pubs/Garden/07235.html
  10. http: //www.texascenter.org/almanac/Land/SOILCH5Pl.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