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리장비

Search Result 17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Method to Compare Images for Managing Tools to Repair Ships (선박 수리장비 관리를 위한 이미지 비교기법)

  • Park, Sung-Hoon;Kim, Jin-Deo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8 no.10
    • /
    • pp.2489-2496
    • /
    • 2014
  • The existing ship repair tool management system based on hand writing has many problems such as frequent loss of tool and overdue. To solve this problem, same systems have adopted the bar-code system. However, the systems can't cope with a problem to substitute spurious tool for genuine one on bar-code damage. Therefore, additional validation steps are necessary in order to manage expensive ship repair tool.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age comparison method for ship repair tool management. To be more concrete, we propose a normalization method and determination conditions for image comparison to use characteristics of mobile device. The normalization method makes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device that provides functions of real time recording, overlapping and cropping images. The proposed method applies three conditions(sum of inner angles, size of angle, position of corner coordinates) into the comparison module. The implemented system shows good performance on change direction, lighting, size and etc. The accuracy is more than 95%.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timal number of concurrent spare parts under available budget constraint (예산제약 하에서의 동시조달수리부속의 적정소요 산출)

  • 김영호;전치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321-328
    • /
    • 2000
  • 본 연구는 새로운 장비체계 도입 시 초기 일정기간 동안 장비의 목표가용도 유지를 위해 필요한 동시조달수리부속(Concurrent Spare Parts)와 적정소요 산출에 관한 해법을 제시한다. 새로운 장비체계 도입 시 함께 보급되는 예비수리부속은 장비체계 운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장비체계가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는 동시에 정상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적정수준의 예비부속 확보가 필요하며 최소의 비용으로 장비의 가동률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품의 고장특성 및 수리능력을 고려한 고장분포함수를 바탕으로 각 부속별 중요도를 만족시키는 초기 수리부속 소요 결정모형과 해 산정기법을 제시하며 가용예산 제약에 따른 소요조정을 통해 최적의 예비부속 재고수준을 결정한다.

  • PDF

A method to Present and Utilize Information of Equipment and Staff based on Work-Classification in Ship Repair (선박수리 업무분류에 따른 수리장비와 인력정보의 표현 및 활용방법)

  • Kang, Hyo-Woon;Lee, Kyu-hwa;Choi, Young-jun;Lee, Hyoun-Sup;Kim, Jin-d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763-765
    • /
    • 2015
  • 선박 수리 업무는 각 수리업체가 자체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업무를 진행하는 업체의 특성에 맞추어 업무분류를 산출하고 수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실제 업무를 진행하는 외주업체는 정형화 되지 못한 업무성향에 따라 혼돈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수리 업무를 분류하여 수리장비 및 인력정보 표현방법과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상세하여 수리업무의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업무분류를 통하여 수리관리업체 및 외주업체는 더욱 밀착된 협력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Design of A Decision Support Method to Schedule Ship Repair (선박수리 일정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지원 기법 설계)

  • Kang, Hyo-woon;Park, Sung-hoon;Kim, Jin-d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412-415
    • /
    • 2014
  • 선박은 항시 수리를 해야 하며 우리나라 역시 선박수리 산업은 발전을 거듭해오고 있다. 그러나 현재 선박 수리 산업의 일정관리는 60~70년대의 수기대장관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선박수리 산업에 ICT기반 일정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박수리 산업에 일정관리 기능을 부여하며, 부여된 일정관리를 위하여 선박수리 공무담당관의 빠른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다양한 입찰방법에 따른 관리업체 및 외주업체의 인력 그리고 장비의 현황을 근거로 최적의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 PDF

Analysis of 3D composited monitoring system using unmanned surface vehicle (무인 원격 이동체를 활용한 3차원 복합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연구)

  • Ho Soo Lee;Chang Hyun Lee;Young D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86-86
    • /
    • 2023
  • 최근에 들어 환경보전과 지속가능한 하천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통합물관리에 있어 수리량과 수질을 연계한 통합 모니터링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수리량과 수질 분야에 대한 모니터링 기술은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각 분야의 개별적 연구로 인해 수리량과 수질을 통합하여 모니터링 하는 기술 개발은 미흡한 수준이다. 또한 수질 측정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있는 채수 기준에 따라 채수하여 측정하고 있으며, 채수 지점은 하천의 수심별로 달리하여 정해진다. 수리 측정은 현장계측을 통한 2차원적 계측으로 진행하고 있어 수질 측정 시 채수지점과 수리 측정지점은 일치하지 않는다. 동일 지점에서의 수질과 수리량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지 못한 모니터링은 본류와 지류의 혼합거동이 많은 국내 하천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또한 현재의 수질·수리 모니터링은 ADCP나 다항목수질측정기 같은 고가의 장비를 운영하며, 홍수기와 같은 고위험 계측 조건에서 인력을 통해 측정하고 있기에 고비용의 장비운영비와 인명 피해를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무인 원격 기술을 적용한 하천 모니터링 기술과 수질과 수리량의 데이터 연계를 통한 3차원 모니터링 기술의 확보는 하천관리에 있어 매우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 무인 원격이동체인 ROV와 무인 원격이동체(USV)를 활용한 3차원 수질·수리 모니터링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 하천 특성을 고려한 혼합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ROV에 수중 GPS 장비와 수질센서를 부착시켜 수중 내 2차원으로 측정되는 수리량과 동일한 좌표를 가지는 수질자료를 계측하여 하천의 연직 분포와 수평적 분포를 통해 화학적 수리적 거동을 분석하여 하천의 3차원 혼합거동 양상을 판단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무인 원격이동체를 통한 3차원 수질·수리 모니터링 기술은 하천의 3차원 분석에서 수질·수리량 보간 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하천 전반 및 통합물관리에 있어 크게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The Development of Straddle Packer Hydraulic Testing Equipment to Characterize Permeability in Deep Boreholes (장심도 시추공 정밀수리시험 장비 구축)

  • Kim, Kyung-Su;Park, Kyung-Woo;Ji, Sung-Ho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0 no.2
    • /
    • pp.213-220
    • /
    • 2010
  • The permeability characterization on the natural barrier for deep geological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is very critical to evaluate total safety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disposal site. However, the confidence level in using previous hydraulic testing equipments consist of simple components to estimate rock mass permeability is not high enough to reflect in situ condi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an advanced hydraulic testing equipment, which is applicable to deep borehole (up to 1,000 m), through the improvement of technical problems of previous packer systems. Especially, the straddle packer hydraulic testing equipment was designed to adopt both the hydraulic downhole shut-in valve(H-DHSIV) to minimize the wellbore storage effect and the real time data acquisition system to measure the pressure changes of test interval including its upper and lower parts.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lead to not only improve current technical level in the field of hydraulic testing but als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radioactive waste disposal technology development and site characterization project.

Design of Integrated System using Smartphone and Bar-code for Managing Ship Repair components (바코드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선박수리 요소 통합 관리 시스템 설계)

  • Lee, Hyoun-Sup;Park, Sung-Hoon;Lee, Kyu-Hwa;Choi, Yong-Jun;Kim, Jin-Deo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102-1105
    • /
    • 2013
  • 최근 선박 산업의 동향은 신규 건조는 줄어들고 기존에 건조한 선박을 최대한 관리하여 수명을 늘려 나가는 것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선박 수리 산업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선박 수리 산업의 현재 체계화 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며 선박 수리를 위해 필요한 수리 장비 관리, 하청업체 관리, 수리 스케줄 관리 등의 주요 기능들이 아직까지 수작업으로 처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코드를 수리 장비에 부착하여 관리하고 하청업체의 정보와 관리 시스템의 주요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활용한 통합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한다.

농어촌연구원 국제융합수리시험센터 현장실습 교육프로그램(HIGH Center ACE+) 체험후기

  • 천재연
    • Water for future
    • /
    • v.56 no.9
    • /
    • pp.47-51
    • /
    • 2023
  • 2023년 1학기(2023년 3월 2일~2023년 6월 20일) 동안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국제융합수리시험센터(안산)에서 현장실습을 한것을 바탕으로 후기를 작성하였다. 현재 농어촌연구원은 농어촌 지역개발,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관리, 농업 신기술 교육, 스마트팜 기술 보급, 친환경 농업, 남북협력 사업 등 농어업인의 환경 개선과 올바른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는 공공기관이다. 이번 현장실습을 경험한 국제융합수리시험센터는 1959년에 국내 최초로 수리모형실험을 시작하였으며, 2018년 대형 실험시설이 추가 증축되어 규모나 시설(장비) 측면에서 국내는 물론 세계 최상위 수준의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댐, 하천, 해양, 신재생에너지 등과 관련하여 다수의 실험 실적 보유하고 있어 수 공학 분야의 국가경쟁력 강화에 견인하고 있다. 이번 현장실습은 수리실험 이론 교육, 실험장비 교육, 실험실습, 안전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프로그램(HIGH Center ACE+)에 따른 학교에서 배운 전공 이론을 수리실험 분야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직접 실습하면서 배울 수 있었다. 4개월간 현장실습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수리실험 등 수공학 분야의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었고, 이는 향후 전공과 관련된 직장을 준비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Mathematical model and heuristic for the assignment of military engineering equipments in ROK army (공병 장비의 최적할당을 위한 수리모형 및 휴리스틱 알고리즘)

  • Park, Jongbok;Ahn, Nams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4
    • /
    • pp.138-144
    • /
    • 2020
  • The Army's engineers are carrying out a range of operations using various equipment, of which, artillery unit support is the representative engineering operation field. The main task of the artillery unit is to attack the enemy's center with firepower from the rear of a friendly force. The artillery must move its original position after firing several times to prevent exposure of the shooting position. This paper proposed a mathematical model and heuristic algorithm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optimal allocation among engineer equipment, the team (work), and position while reflecting the constraints of the construction of an artillery position. The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derived the optimal solution for the small size problems, but it takes a long time to derive the optimal solution for the problem of equipment placement of the engineer battalion and brigade scale. Although the heuristic suggested in this study does not guarantee the optimal solution, the solution could be obtained in a reasonable amount of time.

A Database Design for Remote Maintenance of Navig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s in a Vessel (선박 항해통신장비 원격유지보수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 Kim, Ju-young;Ok, Kyeong-suk;Kim, Ju-won;Cho, Ik-s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11
    • /
    • pp.2052-2060
    • /
    • 2017
  • The SOLAS ship should carry at least 83 different types of equipment based on the SFI group codes and each of which consists of several to dozens of components. During ship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normal operation of such equipment, and remote maintenance is highly demanded for immediate repair in the event of a equipment fault. This study proposes to find suitable classification system and to derive database structure for remote maintenance of navig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equipment should be layered into equipment type, model, and component, and main table in the database consists of FMEA, service history, case data through Q&A, Preventive Maintenance. A database was constructed for 140 navig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models and 750 components. In order to evaluate the practical effects, service engineer evaluated the usefulness using the cloud a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