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로데이터

Search Result 20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n Development of Digital Hydrographic Data based S-100 (S-100 기반 수로데이터 제작방안 연구)

  • Oh, Se-Woong;Park, Jong-Min;Seo, Ki-Yeol;Suh, Sang-Hyun;Lee, Ki-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184-186
    • /
    • 2007
  • IHO S-57 is the standard intended to be used for the exchange of digital hydrographic data between hydrographic offices, and for the distribution of hydrographic data to manufacturers. mariners and other data users. But it was primarily developed to meet the ENC requirement called for in an IMG-compliant ECDIS. As presently structured, it cannot support .future requirements such as gridded bathymetry or time-varying information. To improve this limitations, IHO is developing new digital hydrographic standard, S-100.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S-100 standards and propose the method for development of digital hydrographic data according to S-100.

  • PDF

S-100 기반 차세대 전자해도 개발 계획 및 시사점

  • O, 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299-301
    • /
    • 2016
  • 국제수로기구(IHO)는 수로데이터의 상호 운용성 확보 및 활용 증진을 위해 ISO 19100 지리공간 정보 표준을 수로분야로 확장하여 S-100(범용수로데이터모델) 표준을 개발하여 현재 2.0 버전에 이르고 있으며, S-101 차세대 전자해도 표준을 포함하여 전자서지 및 동적 수로정보 등의 다양한 표준을 개발 중이다. 한편, 국제해사기구는 e-Navigation 전략 추진을 위해 전략이행계획(SIP)를 개발하고, e-Nav 정보표준인 CMDS를 S-100 표준을 기반으로 개발하기로 결정 하였으며, 국제항로표지협회는 AtoN, IVEF, AIS-ASM, 측위 인프라에 관한 S-20X 표준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해양조사 및 수로도서지 간행을 담당하고 있는 국립해양조사원은 S-100 표준 기술을 확보하고 국가 수로국으로의 역할 수행을 위해 S-100 수로데이터를 구축할 계획으로 있다. 본 연구에서는 S-100/S-10X 표준개발 현황 및 우리나라의 차세대 전자해도 개발 계획을 검토하고, 해사안전, e-Navigation 및 VTS 분야 관점에서 시사점을 정리 하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Metadata for S-57 and S-101 for ENC conversion (전자해도 변환을 위한 S-57과 S-101의 메타데이터 비교 분석)

  • Kang, Dongwoo;Park, Deawon;Park, S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858-859
    • /
    • 2012
  • 해상에서의 데이터는 디지털 수로데이터 교환 표준인 국제수로기구(IHO,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의 S-57을 기반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S-57은 지리정보 외의 정보를 표현하는데 한계를 나타내었다. S-57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해양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체계로 수로 데이터를 위한 데이터 모델과 규격을 정의하는 S-100을 제정하였다. S-100을 기반으로 하여 수로데이터를 위한 표준으로 S-101을 제정하고 있으며, 데이터 검색 및 활용을 위한 메타데이터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S-101의 개발에 따라 S-57전자해도를 S-101전자해도로 변환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메타데이터에 대한 변환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S-57의 메타데이터 요소와 S-101의 메타데이터 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메타데이터 변환모델을 제시하였다.

차세대 ECDIS 시험데이터 구축 연구

  • O, Se-Ung;Kim, Seo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233-235
    • /
    • 2014
  • 국제수로기구는 수로정보의 활용과 상호 운용성 증진을 위해 S-100 표준을 개발하여 수로분야 제품표준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로 지정하였다. S-100 표준은 S-57 표준을 대체하는 것으로서, 전자해도 간행업무와 ECDIS 개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표준이라 할 수 있다. S-100 도입에 따른 산업계 핵심기술 개발차원에서 "국제 해양 GIS 표준기술기반 차세대 항행정보지원 시스템 개발과제"가 추진되었으며, 그 일환으로 차세대 ECDIS 개발에 요구되는 S-10X 시험데이터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Navigation 테스트 베드, e-Navigation MSP(Maritime Service Portfolio), 국제수로기구 S-100 기반 제품 표준 사례, 국제수로기구의 S-100/S-101 테스트 베드 현황 등의 차세대 ECDIS 시험데이터 사례 분석을 통해 차세대 ECDIS 시험데이터 구축 범위를 식별하였다. 또한 그 동안 수행한 차세대 전자해도 데이터베이스 준비를 위한 기초기술 개발 내역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100 based product specifications (S-100 범용수로데이터모델 제품표준 개발 연구)

  • Ko, Hyun-Joo;Oh, Se-Woong;Sim, Wo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317-318
    • /
    • 2013
  • International Hydrography Organization has published S-100 Universal Hydrographic Data Model to support use of various hydrographic data for navigational safety. In the S-100 standards, it is possible to manage hydrographic data and apply various application field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registry and its register. In this study, the S-100 standard based product specification in the field of maritime safety is developed by designing application schema according to general feature model defined in the S-100 standard, and feature catalogue is produced through simple registry.

  • PDF

Application of Hydrographic Data Model in the Field of Maritime Safety Information for ODA Project (국제협력을 위한 해양안전정보 분야 범용수로데이터모델 적용)

  • Oh, Se-Woong;Lee, Moon-Jin;Kim, Hye-Jin;Suh, Sa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8 no.1
    • /
    • pp.33-39
    • /
    • 2012
  •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Project is initiated to assist a developing country economically and to promote its welfare. Support on training and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are the primary elements in the maritime safety field. The maritime safety information system(MSIS) of ODA projects deals with maritime safety information of developing nations and ensures an inter-operability between other system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MSIS based on the Universal Hydrographic Data Model(UHDM) of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IHO). In this paper, we hav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operational process of UHDM established by IHO. Oil spill response system was selected as an example of MSIS project and, also, considered the application results to the maritime safety field of UHDM.

S-10X 사례 분석을 통한 e-Navigation 정보엔진 구조설계 연구

  • O, Se-Ung;Gang, Dong-U;Sim, U-Seong;Kim, Seo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281-283
    • /
    • 2014
  • 국제수로기구는 항해안전과 수로정보 활용 증진을 위해 S-57 표준을 한계점을 개선하고 최신 GIS 표준을 반영하여 S-100 표준을 개발한 바 있다. 해사안전과 관련된 각 국제기구와 표준그룹에서는 S-100 표준을 기반으로 다양한 수로데이터 제품표준(S-10X) 개발을 논의 중에 있으며 가시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있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ECDIS에서는 기존의 자료 구조와 주요 기능의 변경이 예상되고 있다. 한편, 국제해사기구에서 추진하고 있는 e-Navigation 전략에서 e-Nav 정보표준(CMDS) 개발 시작점으로 S-100이 선정됨에 따라, S-100의 핵심 개념이 e-Nav 정보엔진 설계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S-10X 사례 분석을 통한 e-Navigation 정보엔진 구조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현행 전자해도 시스템 구조를 분석하여 주요 특징을 정리 하였으며, 각 국제기구에서 논의하고 있는 S-10X 표준 내역을 분석하여 e-Navigation 정보엔진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자료의 유형과 종류를 벡터형 데이터, 그리드형 데이터, TIN형 데이터, 이미지형 데이터로 정리 하였고, 이를 토대로 e-Navigation 정보엔진 구조설계안을 도출하였다.

  • PDF

해양기상 및 수로환경정보 서비스 운영 개념 설계

  • O, Se-Ung;Choe, Hyeon-Su;Gang, D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64-365
    • /
    • 2018
  •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해 해양기상 및 수로환경정보는 필수정보로서 현재 Weather Fax나 수로서지를 통해 정보를 활용하고 있다. e-Navigation 전략이행계획에는 해사서비스목록(MSP)을 정의 하였으며, 해양기상 및 수로환경정보를 전자 데이터로 서비스 하기 위해 서비스 개념과 기술 사양을 개발 중이다. 한국형 e-Navigation 서비스 개발 연구에서는 기상청과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생산하는 데이터를 이용하고 S-100 기반의 국제표준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e-Navigation 서비스 아키텍처와 개발 기술을 기반으로 해양기상 및 수로환경정보 서비스 운영 개념을 설계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trend and applications of S-100 Standard (S-100 표준 동향 및 적용사례 연구)

  • Oh, Se-Woong;Park, Jong-Min;Suh, S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88-90
    • /
    • 2011
  • The IHO(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has developed the S-100 standard as a universal hydrgraphic data model for consistent use and application of various hydrographic data and sources, and is developing the product specification standards. The organization modified this standard to reflect the requirements of application parts, detailed the insufficient contents for products. In this study, the trend and recent requirement of S-100 standard were analyzed. Also, a method of managing S-100 standard was completed based on the analysis of S-100 application.

  • PDF

수로데이터 표준모델 기반의 환경민감지도 개발 연구

  • O, Se-Ung;Park, Jong-Min;Lee, Mun-Jin;Kim, Hy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10-12
    • /
    • 2010
  • 환경 민감 지도는 해양 유출유 사고 시 효율적이고 신속한 방제 업무를 위한 유용한 정보이다. 그러나 해상교통 및 안전 분야 종사자는 전통적으로 해도 및 전자해도 사용에 익숙하여 현 환경민감지도의 색상 및 심볼의 낮은 친숙도가 지적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해도의 제작 표준에 해당하는 수로데이터 표준모델에 따라 환경민감지도 데이터를 제작하고 전자해도 표현방법에 따라 표시 하였다. 세부 연구 내용으로 환경민감정보에 대한 객체와 속성, 표현 심볼 및 색상에 대해 정의하고, 기존 환경민감정보를 내부 전자해도 포맷으로 변환하였다. 다음으로 내부 전자해도 데이터를 전자해도 표현방법에 따라 전자해도 레이어에 중첩시켜 그 결과를 확인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