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련환경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1초

전공의의 수련포기 의도와 영향요인 (Training dropout Intention and Related Factors of Residents)

  • 오수현;김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257-264
    • /
    • 2021
  • 전공의 수련은 우수한 역량을 지닌 전문의를 양성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는 2017년 4월에 수행한 전공의 수련 및 근무환경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전공의의 수련포기 의도와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전공의 1,748명을 대상으로 수련포기 의도를 조사한 결과, '그런 편이다'라고 응답한 전공의는 340명(19.5%), '보통' 518명(29.6%), '그렇지 않은 편이다' 890명(50.9%)으로 나타났다. 전공의의 수련포기와 관련이 있는 요인은 기업 연계병원 여부, 수련연차, 근무시간, 적절한 교육지도 여부, 수련과정 적절성 여부로 나타났다. 바람직한 전공의 교육 수련을 위해서는 전공의 근로환경 정상화와 더불어 내실 있는 교육수련 프로그램 개발, 공정하고 체계적인 평가,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전공의법 시행에 따른 전공의 수련환경 변화 (Changes in the Training Conditions of Residents by Enforcement of Medical Residents Act)

  • 오수현;김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427-434
    • /
    • 2019
  • 전공의법은 2015년 12월 전공의의 권리보호, 환자안전, 우수한 의료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본 연구는 전공의를 대상으로 2015년(1,793명)과 2017년(1,768명) 두 차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비교하여 전공의법 시행에 따른 수련환경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공의들은 주당 평균 80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하고 있었으며('15=92.4h, '17=87.3h), 36시간의 두 배에 달하는 시간을 연속해서 근무하고 있었다('15=89.4h, '17=70.1h). 이 외출산휴가('15=78.5day, '17=82.2day), 표준근로계약서 작성('15=19.3%, '17=40.8%) 및 계약서 교부('15=12.4%, '17=36.1%)도 규정을 준수하지 않고 있었다. 전공의 수련환경은 환자안전 및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로 대체인력에 대한 지원, 공정한 수련환경평가와 평가결과에 따른 인센티브 부여, 전공의 및 지도전문의 인건비, 전문과목별 수련 프로그램 개발 비용 등 국가의 지원이 필요하다.

도서관과 학생수련시설에 대한 교육시설 안전인증 요소의 확대적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xpanded Application of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Toward Libraries and Student Training Facilities)

  • 한승훈;김재향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3호
    • /
    • pp.107-123
    • /
    • 2023
  • 안전하고 쾌적한 교육환경 조성 및 교육 질 향상을 위하여, 2021년 「교육시설 등의 안전 및 유지관리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이에 따라 「교육시설 안전 인증 운영 규정」이 수립되었으며,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및 특수학교, 대학 및 기타 교육시설의 특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어 평가되어진다. 기타 교육시설에는 도서관, 학생수련원이 포함된다. 하지만, 학생수련원, 도서관은 수련, 독서 등의 특수 활동이 발생하는 시설로 학교와 차이점을 두고 있다. 때문에 학생수련원 도서관 시설만의 특수성이 「교육시설 안전 인증 운영 규정」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기타시설에 해당되는 학생수련원과 도서관의 특수성을 「교육시설 안전 인증 운영 규정」이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었다. 선행 인증제도 및 가이드라인과 비교 분석되었으며, 현장 조사방법이 이용되었다. 최종적으로 도서관과 학생수련원에 대하여 각각 9가지의 세부 기준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청소년수련시설 종사자의 사회적 지지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ervice Quality of Youth Training Facility Employees in Internet of Thing Environment: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 윤기혁;이진열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31-38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수련시설 종사자의 사회적 지지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수련시설 종사자의 서비스 질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사회적 지지와 임파워먼트는 서비스 질에 정적인 영향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임파워먼트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사자의 사회적 지지를 위해 청소년수련시설의 중간관리자와 시설장은 인터넷, 스마트 폰 등 사물인터넷 환경을 활용해야 한다. 둘째,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해 업무와 관련된 정보지원, 보상과 관련된 물질지원, 업무 처리와 관련된 평가지원 등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종사자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해 사물인터넷 환경을 활용한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플립러닝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카드뮴에 노출된 수생식물 5종의 엽록소형광 분석

  • 진국림;고석찬;오순자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7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60-464
    • /
    • 2007
  • 개구리밥, 생이가래, 은행이끼, 수련, 부들 등 5종의 식물을 대상으로 카드뮴 $(Cd^{2+})$의 농도를 달리하여 처리한 후 시간별로 식물의 광합성효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구리밥, 생이가래, 은행이끼, 부들 등 4종은 카드뮴에 민감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수련은 다른 식물종에 비해 덜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O-J-I-P 곡선의 패턴을 살펴보면, 종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개구리밥, 생이가래, 은행이끼, 부들 등 4종의 식물은 카드뮴 농도가 증가할 수록 J, I, P값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P-단계의 감소는 개구리밥에서 현저하게 나타나 다른 3종 보다 카드뮴에 민감한 것으로 보인다. 광계II의 광합성효율(Fv/Fm) 변화양상을 보면, 개구리밥과 생이가래는 카드뮴 농도가 50uM 이상에서는 배양 1일부터 Fv/Fm값이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은행이끼와 부들은 3일 이후부터 50uM 이상의 카드뮴 농도하에서 Fv/Fm값이 감소하였다. 수련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