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량 측정

Search Result 49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nfluence of Drying Methods on Measurement of Hydration Degree of Hydraulic Inorganic Materials: 2) Alkali-activated slag (수경성 무기재료의 수화도 측정에 대한 건조방법의 영향: 2) 알칼리 활성 슬래그)

  • Lee, Hyo Kyong;Song, Keum-Il;Song, Jinkyu;Kim, Hyeong-Ki
    • Resources Recycling
    • /
    • v.27 no.1
    • /
    • pp.106-117
    • /
    • 2018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a suitable drying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non-evaporable water in hydraulic inorganic materials. In Part 1 of the paper, the case ordinary Portland cement was discussed and, in this Part 2, the case of alkali active slag (AAS) was investigated. Various drying methods including vacuum and oven drying, and an ignition, were used for the AAS system having different w/b, types and amounts of alkali activators. It was found that a combination of the vacuum and oven drying was a suitable drying method for the AAS case. Although a part of the crystallized water in hydration products was decomposed, but the free and adsorbed water could be completely evaporated and the deviation of the results was small.

Studies of correlations among various characters which affect to yield of leaf tobacco (잎담배 수량에 관여하는 가지를 중요형질간의 상관관계)

  • Il Hou;Un-Hong Lee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5 no.1
    • /
    • pp.65-68
    • /
    • 1969
  • Studies wre mad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between measurable characters of leaf tobacco such as stem length, stem daimeter, number of leaves, leaf length, leaf thickness, leaf area of biggest leaf and the dry Iiel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n the flue cured yellow tobacco; leaf width and leaf area of biggest leaf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yield. In the light air cure type of tobacco; stem diamer, leaf width and leaf area of biggest leaf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yield. In the dark air cured type of tobacco; stem diameter, number of leaves, leaf length, leaf width, and leaf area of biggest leaf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yield. It would be noticiable that the yiel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leaf width which is easily measurable in the field, and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leaf thickness though not significantly.

  • PDF

Verification and Analysis of Stream Discharge at the Major Control Points of Geum River Basin (금강유역 주요 제어지점의 유출량 검증 및 분석)

  • Lee, Bae-Sung;Hawng, Man-Ha;Lee, Sang-Jin;Ko, Ic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69-1473
    • /
    • 2007
  • 일반적으로 자연하천에서의 유량측정은 현장의 접근성 및 측정자의 작업숙련도 등의 문제로 인하여 측정자료의 신뢰도 저하는 물론, 강우관측이나 수위관측과 같이 연속적으로 유량자료를 확보하기에는 기술적,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실무에서는 연속적인 유량자료를 확보하기위해 하천수위와 관계로부터 수위-유량관계곡선(Rating Curve)을 작성한 후, 연속적으로 관측된 수위로부터 유량을 환산하여 유량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년강수량의 2/3가 홍수기인 $6{\sim}9$월 사이에 집중되는 반면, 갈수기인 10월에서 그 다음해인 3월까지는 년강수량의 1/5에 불과함에 따라 하천유황의 계절적 변동성이 심하게 발생하며, 이로 인해 홍수기를 전 후로 지속적인 하상변동이 발생하여 수위-유량관계를 크게 왜곡시키고 있다. 특히 본 연구의 대상유역인 금강수계 상 하류 5개 지점에서는 년유출량의 상대오차가 10%이하인 경우가 11%에 불과하여 왜곡된 수위-유량관계로부터 산정된 유량자료의 신뢰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 개발된 유역유출예측시스템(RRFS)의 실제 적용성을 평가하고 확장 보완하기 위해, 하천 본류의 제어지점(Control Point) 및 소유역 출구지점의 유량자료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함은 물론, RRFS 주요제어지점에 대한 유출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PDF

Empirical study for counting same shaped building material quantity using UAV and deep learning (딥러닝과 드론을 이용한 동일 모양 건축 자재 수량 측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 Moon, Ji-Hwan;Song, Nu-lee;Choi, Jae-Gab;Park, Jin-Ho;Kim, Gy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649-652
    • /
    • 2019
  • 최근에 카메라를 사용하여 물체를 인식하고 수량을 측정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건축 자재와 같이 인접한 동일 물체의 경우, 인식과 측정이 어려우며, 이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딥러닝과 드론을 사용하는 방법을 통하여 자재 더미의 윗면과 측면의 촬영, 드론 로그를 사용하한 드론 높이와 Yaw값 획득, 영상 내 자재 종류와 영역 정보 등 미리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사용한 획득방법, 드론 촬영 시의 Yaw값 차이를 이용해 윗면과 측면이 공통으로 가지는 직선 검색, 자재 더미의 가로, 세로, 높이의 비율 등을 통한 각 화소 비율과 자재 개수의 영역별 가상의 체적값 분석, 드론의 화각, 높이를 사용한 체적 사진측량값 획득, 가상 체적과 사진측량법 사이의 오차 최소화 비율 등을 연구하였다.

Quantitative Evidence on the Uses of the First Person Pronoun (I and We) in Journal Paper Abstracts (논문 초록상 사용되는 일인칭 대명사(I, We)의 수량적 활용도)

  • Kim, Eung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2 no.1
    • /
    • pp.227-243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quantitatively examine the uses of first person pronouns in academic journal paper abstracts. An approximate total of 144,400 abstracts that comprising of four disciplines (chemistry, computer sciences, social sciences, and medicine) from nine countries (China, Germany, India, Japan, South Korea, France, Spain, United Kingdom, and U.S.) were quantitatively examined. By exploring the use of first person pronoun in abstracts, this paper examined the current practices among academics in the world. The results indicate the norms of each author's country and the norms of each discipline. Furthermore, the frequency-count result of this study contradicted viewpoints of academics who disapprove the use of personal person expressions in abstracts. An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re is a need for academics to acknowledge the uses of first person pronoun in the real world before forming personal opinions regarding the first person pronoun.

Improving Drug Quantity Accuracy using Displacement Sensor in Pharmacy Automation Management System (약국 자동화 관리 시스템에서 변위 센서를 이용한 약품 수량 정확도 개선)

  • Park, Kiyoung;Kim, Hoyoung;Jung, Hoeky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9
    • /
    • pp.1032-1037
    • /
    • 2019
  • In the existing pharmacy automation system, quantity control was carried out only in the memory without first measuring the quantity of the medicine an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As a result, the number of drugs that have already been deducted during operation at the time of a facility error has not been managed. Serious problems are caused by important medicines that need to be managed because of lack of quantity control. In addition, the user had to refill the drug when it was exhausted because the user could not know the amount of the drug outside the facility. When the drug was out of stock, the facility was operating with loss of time to restart and the time to replenish the drug. Thus,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applied system to control the quantity of medicines frequently by adding displacement sensors to the robot of the facility.

Determination of optimal flood using total expected cost function (총 기대비용함수를 이용한 최적설계홍수량 결정)

  • Kim, Sang Ug;Choi, Kwang Bae;Seo, Dong Il;Cheon,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87-287
    • /
    • 2022
  • 홍수빈도분석의 실용적 측면의 목적은 특정 재현기간에 대하여 발생 가능한 홍수량을 설계홍수량(design flood)으로 설정함으로써 댐, 제방, 배수시설, 하수관거 등의 치수기능을 가진 치수시설물이 설계홍수량 내에서 홍수로 인한 피해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그 규모와 기능을 설계함에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유량자료의 부족으로 강우빈도분석을 수행하여 재현기간별 확률강우량을 먼저 산정하고 이를 강우-유출모형을 통해 확률홍수량으로 전환한 뒤 하천등급에 따른 재현기간 기준에 따라 설계홍수량을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결정된 설계홍수량이 특정유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피해규모에 대해 얼마나 적정한 지의 여부를 과학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연구는 국내·외에서 찾아보기 어려우며,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 이론을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목표이다. 홍수빈도분석을 통해 산정된 설계홍수량의 적정성 여부를 과학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최근에 진행된 해외의 몇몇 연구에서는 총 기대비용함수(total expected cost function)의 개발에 근거한 최적설계홍수량을 활용할 수 있음을 제안한 바 있다. 이 개념은 계획된 설계홍수량 이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피해함수(damage function) 및 기대피해함수(expected damage function)와 비용함수(cost function)가 결정되면, 이로부터 총 비용을 나타내는 총 기대비용함수(total expected cost function)을 도출하고 총 기대비용함수가 최소가 되는 최적설계홍수량(optimal design flood)을 산정하여 이를 계획된 설계홍수량(tentative design flood) 비교함으로써 계획된 설계홍수량의 적정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기초이론으로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으로 발생되는 범위를 고려한 최적설계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Metropolis-Hastings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종류에 따른 홍수량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년최대계열 및 부분시계열 자료를 각각 적용하였다. 한강유역에서 가평대성, 여주 및 한강대교 수위표 지점에서 측정된 자동관측유량장치에 의한 홍수량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적설계홍수량이 기존 설계홍수량에 비해 크게 산정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Interaction Index Between Grasses and Weeds in the Grassland Composed with Mainly Perennial Ryegrass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위주 초지에서 목초, 잡초 식생 군락간 상호작용)

  • Lim Keun-Bal;Sung Byung-Ryeol;Lee Hyun-Jun;Ahn Byung-Suk;Seo 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26 no.2
    • /
    • pp.105-112
    • /
    • 2006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function of dry matter and competition in the grassland composed with mainly perennial ryegrass. Co-functions between grasses and weeds were evaluated by calculating methods; expected yield (P), agressivity, relative yield total (RYT), compensation index (CI) and morphological index (MI). Each values obtained were influenced by seeding method, grassland management and seasonal changes of co-functional index were identical. Expected yields of spring were lower than those of fall and improved by additional seeding to grassland in early spring time. In the relative yield total (RYT), all were under 1.0 which ranged from 0.17 to 0.41. Compensation index (CI) ranged from -0.3 to -0.6 and all values showed 'under compensation(+, --)' This means that the conditions of 'under compensation' could be improved through weed control by management of grassland in perennial ryegrass grassl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roductivity of grassland mainly composed with perennial ryegrass is negatively affected by weeds like shepherd's purse, crabgrass and barnyard grass. As major weeds, shepherd's purse in spring, crabgrass in summer and barnyard grass in summer and fall were negatively functioned to productivity in the grassland composed with mainly perennial ryegrass.

Studies on the Estimation of Leaf Production in Mulberry Trees IV. Estimation of Spring Leaf Yield by the Measurement of Some Characters (상엽수확고 측정에 관한 연구 제 4보 추기상수각형질의 측정에 의한 익춘 상엽량의 예측)

  • 한경수;장권열;안정준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10
    • /
    • pp.35-40
    • /
    • 1969
  • Various formulae for estimation of spring leaf production in mulberry trees were calculated and obtained. Four varieties of mulberry trees were used as the materials, and four characters, namely branch length (X$_1$), node number (X$_2$), branch diameter (X$_3$) and branch number per stock (X$_4$) were studied. The formulae to estimate the leaf yield of spring mulberry trees are as follows: 1. $Y_1$v$_1$= -26.8939+50.3950X$_1$+1.1403X$_2$ $Y_1$v$_2$= -372.1091+116.6371X$_1$+0.1984X$_2$ $Y_1$v$_3$= 149.8203+90.5125X$_1$-0.9775X$_2$ $Y_1$v$_4$= 108, 1496+59.4533X$_1$+1.4965X$_2$ Where $Y_1$v$_1$, $Y_1$v$_2$, $Y_1$v$_3$, $Y_1$v$_4$, are showed the estimated yield of the each variety, namely Gaeryang Seuban, Ilchirye, Nosang, and Suwon Sang No. 4, respectively. X$_1$ and X$_2$ denote the measured values of branch length and node number, respectively. 2. $Y_{7}$v$_1$= -54.4411+32.9869c1.1127X$_2$+21.7600X$_3$ $Y_{7}$v$_2$= -494.1480-1.8756X$_1$+0.9788X$_2$+110.0039X$_3$ $Y_{7}$v$_3$= 143.2836+29.1779X$_1$+0.1644X$_2$+48.4135X$_3$ $Y_{7}$v$_4$= 1243.2549+1.9454X$_1$+2.7118X$_2$-75.6669X$_3$ Where $Y_{7}$v$_1$, $Y_{7}$v$_2$, $Y_{7}$v$_3$, $Y_{7}$v$_4$, are the estimated yield of the each variety, namely Gaeryang-Seuban, Ilchirye, Nosang, Suwon Sang No 4, respectively. X$_1$, X$_2$, X$_3$ denote the measured values of each character, branch length, node number, branch diameter and branch number per stock, respectively. 3. $Y_{11}$v$_1$=233.4780+74.3713X$_1$+1.2912X$_2$+39.0420X$_3$-148.9300X$_4$ $Y_{11}$v$_2$=-317.0150+15.l524X$_1$+1.0861X$_2$+156.7973X$_3$-148.3742X$_4$ $Y_{11}$v$_3$=178.7011+29.8664X$_1$-0.2562X$_2$+102.4632X$_3$-83.2693X$_4$ $Y_{11}$v$_4$= 264.0062+47.7742X$_1$+2.6996X$_2$+92.8882X$_3$-192.3464X$_4$ Where $Y_{11}$v$_1$, $Y_{11}$v$_2$, $Y_{11}$v$_3$, $Y_{11}$v$_4$, are the estimated yield values of four varieties, and X$_1$, X$_2$, X$_3$, X$_4$, denote the measured values of four characters, namely branch length, node number, branch diameter and branch number per stock, respectively. The estimation method of mulberry spring leaf yield by measurement of some characters, in autumn the year before, could be the better method to determine the leaf yield of mulberry trees without destroying the leaves and without weighting the leaves of mulberry trees than the other methods.

  • PDF

A Study on Improving Estimation of Recurrence Rate of Public Water -Jungnangcheon Watershed- (생활용수 회귀수량 산정방법의 개선연구 -중랑천 유역을 대상으로-)

  • Jung, Chung Gil;Ahn, So Ra;Joh, Hyung Kyung;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09-509
    • /
    • 2015
  • 물 수요관리측면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현재 또는 장래에 대한 용수수급의 정확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용수 수요량 및 공급량뿐만 아니라 여러 산정요소를 필요로 하는데, 그 중 회귀수량은 물이 이용되고 다시 하천으로 회귀되어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수량으로 정의되며, 용수수급 및 용수절약 측면에서 회귀 수량은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회귀수량 조사는 유역조사 사업 이래, 10년간 생?공용수를 중심으로 미시적, 거시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으나, 측정 자료의 신뢰도, 조사방법 및 지점선정 등의 문제로 인하여 조사 성과의 활용성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등에서는 수자원관련 계획 수립시 생?공용수의 회귀율을 65 %로 적용하고 있으나, 이는 1970년대 말의 사회적 여건 및 경제적 상황이 반연된 결과로 현재 상황에 적용되기 곤란하다. 따라서, 현재 실정에 맞는 회귀율 산정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생활용수 회귀수량 산정 연구 한계를 보완하고 유역조사 시행을 위한 개선된 회귀수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중랑물재생센터 처리구역을 기반으로 중랑천유역을 시험유역으로 선정하였다. 기존 회귀수량 산정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시험유역 회귀수량 산정을 위한 가용 자료 분석 및 용수흐름 네트워크 공간분석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가용자료로 시험 유역내 상수공급자료(정수장 공급량, 상수계통도, 유수 및 누수율), 하수처리자료(하수처리구역도, 하수처리계통도, 유입량 및 방류량) 및 기상자료(기상청 지점 및 AWS 강우자료)를 구축하였고 각각의 상수계통도 및 하수처리계통도로부터 용수 흐름 네트워크망을 구축하였다. 상수공급자료로부터 상수계통도 공급지역을 구분하여 월별 유수율에 따른 월별 실 공급량을 산정하였다. 하수처리자료로부터 시험유역에서의 월별하수처리 유입량 및 방류량을 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회귀율(하수처리 방류량/실 공급량)을 산정한 결과 연평균 회귀율은 각각 93.97 %(2011년), 95.02%(2012년)로 과잉 추정 되었으며 7 ~ 9월의 회귀율은 110 ~ 120 %로 유입량을 초과하였다. 이는, 하수처리로 유입되는 유입량의 하수관거는 합류식으로 구축되어 7 ~ 9월에 많은 양의 강우량이 우수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되어 생활용수 이외에 자연적인 공급량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월별 회귀율 산정을 위해서는 불투수층에서의 면적강우량(mm)을 유입량(m3/s)으로 환산된 값을 고려하여 회귀율을 재산정하였다. 그 결과 연평균 회귀율은 각각 78.27 %(2011년), 77.58 %(2012년)로 나타났다.각각의 월별 회귀율도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과거 관용적으로 사용된 65 % 회귀율보다 약 12 ~ 13%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하수처리시설 구축 및 처리효율의 증가와 상수처리시설의 관로시설의 개량으로 인한 유수율 및 누수율 감소로 회귀율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