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쇠퇴원인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3초

우리나라 관광지 쇠퇴원인 및 재생계획요건 도출과 사례 적용 연구 (The Causes of Decline and the Conditions for Recovery in Tourism Sites)

  • 유현아;이순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202-216
    • /
    • 2021
  • 고령화와 인구유출 심화 등으로 지역소멸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을 핵심대상이자 활용수단으로서 관광자원이 자리잡고 있음을 고려할 때, 전국 관광지의 장소 매력성을 제고하고 이를 통해 지역 회생의 토대를 마련하는 일이 시급하다. 그러나 전국의 228개 관광지 중 약 70%가 2000년대 이전에 지정된 것으로, 쇠퇴 현상과 함께 대내·외 여건 변화에 대응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우리나라 관광지 쇠퇴원인을 규명하고, 재생을 위한 요건을 도출하며, 전국 관광지 쇠퇴현황 분석과 함께 실증사례조사를 통해 관광지 쇠퇴와 재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수행되었다. 문헌조사를 통해 관광지 쇠퇴원인과 쇠퇴관광지 활성화요인을 도출한 결과 각각 5개의 범주로 구분되었으며, 이들 양자를 종합한 결과 '시설 업그레이드', '콘텐츠 융·복합', '지역역량 및 기반 강화', '기능 확대 및 네트워크'라는 4가지 쇠퇴관광지 재생계획요건으로 재구조화되었다. 또한, 최근 5개년 연평균 관광객수 변화를 기준으로 전국 관광지 쇠퇴여부 및 정도를 분석한 결과, 분석대상 관광지 중 85개소가 쇠퇴단계에 접어들었고, 이 가운데 39개소는 쇠퇴 심화단계에 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시재생이나 산업단지 재생 못지않게 관광지 재생도 중요함을 보여주는 증거이자, 그동안 정책사업 형태로 간헐적이고 임시적으로 추진된 관광지 재생정책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다만, 실제 관광지 재생은 어느 특정요건에 의해서라기보다 이들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동할 때 성공적일 수 있다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관광지마다 상황이나 여건, 특성이 다르므로 분석결과의 일반화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향후 좀 더 많은 사례를 대상으로 한 추가적 연구 수행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강원남부 탄광지역의 쇠퇴와 인구사회학적 변화 (Regional Decline and Sociodemographic Change in Kangwon Southern-Belt Mine Area)

  • 정성호
    • 한국인구학
    • /
    • 제27권2호
    • /
    • pp.205-229
    • /
    • 2004
  • 이 글은 강원남부 탄광지역의 쇠퇴와 인구사회학적 변동 양상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탄광지역의 특성을 살펴보고 탄광지역이 쇠퇴하게 된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그 다음으로 지역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산업구조와 인구구조의 변화를 중점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연구 결과 태백지역이 쇠퇴하게 된 직접적인 요인은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의 시행으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태백지역은 탄광산업이 지역성장이 유일한 원동력이었다는 사실 즉, 탄광산업의 쇠퇴는 바로 이 지역의 급격한 경기침체와 인구유출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급격한 경기침체는 산업구조의 변화에서 잘 드러나고 있으며 인구유출 양상은 지역의 인구변화 추이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최근 폐광지역개발지원특별법에 의해 수립된 종합개발계획도 상당 부분 무산되거나 기약 없이 미뤄지고 있다는 점과 지역개발을 강원랜드 카지노에만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는 문제점 등이 드러나면서 지역경기 침체와 인구감소 추세는 계속되고 있다. 탄광지역의 주민소득 증대는 물론 새로운 고용창출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발전 전략이 필요하다.

정체·쇠퇴원인에 따른 국내 관광지 재생 활성화 요소의 중요도 설정 연구 (A Study on Importance Setting of Activation Elements in Domestic Tourist Destinations Regeneration Consequent on the Cause of Stagnation or Decline)

  • 김중재;이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07-119
    • /
    • 2016
  • 국내 관광지는 현재 230개소가 관광진흥법에 따라 지정, 조성, 운영되고 있으며,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중 30% 이상이 정체 쇠퇴단계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관광지를 운영, 관리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방안 모색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정체 쇠퇴하고 있는 관광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 합리적이고 지속가능한 관광지 재생을 위해 정체 쇠퇴 관광지 재생 활성화 요소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국내 정체 쇠퇴 관광지의 정체 쇠퇴 원인을 기준으로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결과를 토대로 델파이 조사 분석 기법과 계층적 의사결정기법을 통해 정체 쇠퇴 관광지 재생 활성화 요소를 도출하였다. 관광지 재생의 합리적 사업 진행을 위해 도출된 정체 쇠퇴 관광지 재생 활성화 요소의 우선순위와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체 쇠퇴 관광지 재생 활성화 요소로 상위 속성 7개와 하위 속성 23개, 세부요소 66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활성화 요소를 활용하여 향후 관광지 재생사업을 시행할 때 합리적 의사결정과 사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가 정체 쇠퇴하고 있는 국내 관광지가 지속가능성을 가지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국내 관광 사업에 대한 무분별한 관광개발을 막고 관광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방안으로서 역할을 기대해 본다.

제주시 구도심 상권의 쇠퇴 원인에 관한 연구 -토지이용 및 건축물 등의 물리적 현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uses for Declining of Business Area in the Old Downtown of Jeju-si - Focused on a Physical Situation of Land Use and Buildings -)

  • 차호철;박철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25-32
    • /
    • 2010
  •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why the business district of old downtown in Jejusi collapsed and what sort of problems caused by that as collecting objective data, which help us to comprehend how the commercial zone has been decaying, on the physical state of the specific area near 'Sinheungro' and 'Chilsungro', which are main commercial sites in the downtown, and analysing it. Firstly It was revealed that most land investigated was property in which structure was able to built or poor land within $60m^2$. This was caused by increasing in land value and high density in space use so that the area did not develop. Secondly, In addition to be low density, most of buildings in 'Sinheungro' and 'Chilsungro' were so old and inefficient - the old buildings were abandoned without improving due to expensive rent and complicated property rights. Thirdly, According to the survey accomplished, major commercial facilities in the area have struggled with the continuous recession in their business. It was the inevitable result of not having an effective alliance with surrounding retail shops and a lack of a strategic action for satisfying consumers desire or adapting to new shopping patterns. Fourthly, Infrastructure in the site was ruining the beauty of the urban landscape as well as bringing on bad access to the inner city as not having improved enough. Furthermore, many administration departments which were in charge of each infrastructure existed. This was resulted from not considering unification between each infrastructur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ommunity.

천안역과 천안터미널 지역의 문화 컨텐츠 이용행태 비교 (Usage Difference of Cultural Contents between Cheonan Station and Terminal Area, Cheonan)

  • 김한진;김형석;이희원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38-14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신도시개발에 따른 원도심 쇠퇴의 현상과 관련하여, 천안의 원도심인 천안역지역의 쇠퇴에 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천안역지역의 쇠퇴원인을 찾기위하여 인근 천안터미널 지역과 대비하여 두 지역의 문화컨텐츠를 크게 놀거리, 먹거리, 즐길거리로 나누워 각 요소별로 비교 및 분석하고, 또한 천안역과 천안터미널의 문화 컨텐츠의 특징 및 요소들을 같이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내용의 분석을 통하여 이용행태를 이용 연령대별, 이용장소별, 이용현황별, 이용불만현황별로 정리하여 향후 천안역의 문화적 컨텐츠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대기오염이 삼림에 미치는 영향 : 피해현황과 원인을 중심으로 (Impacts of Air Pollution on Forests : A Summary of Current Situations)

  • ;손요환;김진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229-238
    • /
    • 1994
  • 세계 여러지역에서 임목생장과 활력감소가 커다란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바, 이 논문은 북미, 유럽 그리고 동아시아에서 대기오염으로 인한 삼림피해에 관해 현재까지 알려진 바를 요약하고 있다. 오염원 주변에서의 삼림쇠퇴는 상당히 오랫동안 인지되어 왔으나, 오염원으로부터 먼거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피해를 준 경우는 그리 흔치 않다. 북미지역의 경우, Los Angeles와 Mexico City 주변에서 고농도의 오존으로 인해 삼림쇠퇴가 일어나고 있고, 미국 동부의 고산지대에서는 강산성의 안개에 의한 가문비나무의 내동성 감소로 피해가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유럽의 경우 독일가문비나무가 Mg 결핍과 N 과다공급이 원인이 되어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지역적으로 삼림쇠퇴현상이 보이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임분생장량이나 현존 biomass가 1970년에 비해 1990년에 증가되었다. 동아시아의 경우, 이에 관한 연구가 초기단계에 있는 바, 중국의 여러 공업지대에서 강산성 강우현상을 보이고 삼림쇠퇴의 주원인이 대기오염일 것으로 사료되는 예가 보고되고 있으며, 한국의 대도시와 공단주변에서 대기오염에 의한 삼림피해 현상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온대림에서 광범위한 삼림쇠퇴 현상은 보이지 않고 있으며, 지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나는 삼림쇠퇴의 정확한 원인을 밝혀내기 쉽지 않다. 대면적에 걸쳐 나타날 수 있는 삼림피해에 대비하는 계속적인 감시와 연구가 앞으로의 과제로 남아있다.

  • PDF

지역 내 입지특성과 잠재력을 반영한 원도심 활성화 방안 -청주시 원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Revitalization Planning Strategies for Inner City Based on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s -Focused on Cheongju Inner City-)

  • 김민혁;전원식;김영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54-559
    • /
    • 2016
  • 청주시는 80년대부터 시작된 택지개발 및 신시가지 조성 등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도시가 확장되어 나감에 따라 원도심은 상권쇠퇴, 주거환경 악화 등 쇠퇴가 가속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도시재생사업의 연계 및 파급효과의 극대화를 통해 원도심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대상지의 선정 후 쇠퇴원인 및 양상을 파악한 뒤 대상지의 입지특성 및 잠재요인을 검토하여 주요현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지역 내의 입지특성과 잠재력을 반영하여 원도심지역을 활성화할 수 있는 4개의 추진전략 및 세부사업을 구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제 사업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효과성을 검증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나, 도출된 세부사업의 대부분이 주민참여를 통해 도출되었다는 의의를 가질 수 있으며, 향후 대상지와 유사한 입지특성을 갖는 지역의 활성화방안 수립 시 참고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종유굴의 형성과정에 관한 지형학적 연구

  • 홍시환
    • 동굴
    • /
    • 제4권5호
    • /
    • pp.5-13
    • /
    • 1979
  • 종유굴이 생성되어 어떠한 경로로 발달하며 다시 쇠퇴하여 붕괴되고 마는가에 대한 우리들의 관심은 크다. 더구나 어떤 지역에 카르스트지형에 발달하며 동굴의 발달원인을 구명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제 필자는 종유동의 유형과 특성, 동굴의 성인, 그밖에 동굴의 이용과 자연보존에 과한 제논문에 뒤이어 이번에는 이들 종유동들이 형성ㆍ발달되어 가는 윤회과정을 분석코자 한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