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s of Air Pollution on Forests : A Summary of Current Situations

대기오염이 삼림에 미치는 영향 : 피해현황과 원인을 중심으로

  • Binkley, Dan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Colorado State University) ;
  • Son, Yowha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rea University) ;
  • Kim, Zin Suh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Korea University)
  • ;
  • 손요환 (고려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진수 (고려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1994.01.31
  • Published : 1994.06.30

Abstract

Issues of declining growth and vigor in forests are major concerns in many areas around the world, especially in response to predictions in the 1980s of widespread forest declines. This paper summarizes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for forests in North America, Europe, and East Asia. Forest declines near point-sources of pollution(such as metal smelters) have been well recognized for a century, but evidence of widespread impacts away from point-sources remains relatively uncommon. In North America, significant forest decline has resulted from high concentrations of ozone near Los Angeles, California, and around Mexico City. Some high-elevation forests of red spruce in the eastern U.S. have declined in the past 20 years ; evidence indicates a role of low-pH fog in reducing they cold-tolerance of spruce. In Europe. most attention has focused on Norway spruce stands that developed yellow foliage, needle loss, and in some cases mortality. This syndrome appears to be related generally to an inadequate supply of magnesium, perhaps coupled with a very high supply of nitrogen. Despite localized areas that show declining trees, overall stand growth and standing biomass in Europe increased from. 1970 to 1990. Much less information is available for East Asia. Many industrialized regions in China have a pH of rain <4.5, and some connections between pollution and forest decline have been suggested. Pollution impacts on forests near cities in Korea include needle chlorosis, reduced needle retention, and declining species diversity. Overall, temperate forests show no widespread declines, and no evidence of substantial effects of pollutants on forest growth or vigor. Small areas showing declining forests may indeed demonstrate pollution impacts, and may provide cause for concerns about future impacts on larger areas.

세계 여러지역에서 임목생장과 활력감소가 커다란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바, 이 논문은 북미, 유럽 그리고 동아시아에서 대기오염으로 인한 삼림피해에 관해 현재까지 알려진 바를 요약하고 있다. 오염원 주변에서의 삼림쇠퇴는 상당히 오랫동안 인지되어 왔으나, 오염원으로부터 먼거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피해를 준 경우는 그리 흔치 않다. 북미지역의 경우, Los Angeles와 Mexico City 주변에서 고농도의 오존으로 인해 삼림쇠퇴가 일어나고 있고, 미국 동부의 고산지대에서는 강산성의 안개에 의한 가문비나무의 내동성 감소로 피해가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유럽의 경우 독일가문비나무가 Mg 결핍과 N 과다공급이 원인이 되어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지역적으로 삼림쇠퇴현상이 보이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임분생장량이나 현존 biomass가 1970년에 비해 1990년에 증가되었다. 동아시아의 경우, 이에 관한 연구가 초기단계에 있는 바, 중국의 여러 공업지대에서 강산성 강우현상을 보이고 삼림쇠퇴의 주원인이 대기오염일 것으로 사료되는 예가 보고되고 있으며, 한국의 대도시와 공단주변에서 대기오염에 의한 삼림피해 현상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온대림에서 광범위한 삼림쇠퇴 현상은 보이지 않고 있으며, 지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나는 삼림쇠퇴의 정확한 원인을 밝혀내기 쉽지 않다. 대면적에 걸쳐 나타날 수 있는 삼림피해에 대비하는 계속적인 감시와 연구가 앞으로의 과제로 남아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