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손자녀 양육지원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6초

손자녀 양육지원 경험에 대한 할머니들의 해석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Interpretations of Grandmothers' Childrearing Experiences)

  • 안희란;김선미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9권1호
    • /
    • pp.93-109
    • /
    • 2015
  • This study explores interpretations of grandmothers' experiences rearing their grandchildren. For this study, 13 participants provided in-depth interview data, which was analyzed according to Spradely's ethnographic method. Based on the pattern of interpretations, nine concep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i) repentance (compulsive decisions, passivity of the childrearing activity, non-compensation); (ii) sorrow (restrictions on everyday life, renunciation of occupational careers, worsened health); and (iii) satisfaction (decreased isolation in old age, proof of existence for their children, intimacy development with their grandchil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grandmothers have a higher appreciation for the benefits of relational compensation than for personal cost.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to improve family welfare.

조부모전환기 조모가 인식한 손자녀 양육지원과 가족의 역동 (Supporting child care and dynamics of family in transition)

  • 권은비;이정화;김선미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9권1호
    • /
    • pp.111-13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ived experiences of grandmothers and family in transition. Grandmothers in transition means grandmothers who had married children at least one even if there are no grandchildren yet. The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20 grandmothers in transition of 5 focus group(each 4 persons) interview. 9 of them was pre-grandmother without grandchildren yet, 11 was grandmother who had grandchildren.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meaning of grandmotherhood. Dynamics of family in transition around supporting child care represent change of family relations. It didn't means 'empty-nest' model of foreign theory. The Absolute quantity of intergeneral exchange and conflict extended as three generational families.

재미한인노인의 생성감과 손자녀 양육경험 (Korean Immigrant Elderly's Generativity and Care-giving Experiences of Their Grandchildren)

  • 오경석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21
    • /
    • 2010
  • 본 연구는 재미한인노인의 생성감 수준에 따라 그들의 손자녀 양육경험이 어떠한 특정을 보이는가를 살펴보았다. 심층면접과 참여관찰법이 연구방법으로 이용되었다. 먼저 재미한인노인의 생성감 수준을 측정하였다. 생성감 수준이 낮은 노인과 높은 노인으로 각각 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생성감 수준이 낮은 조부모들은 비자발적 양육책임, 심한 양육스트레스, 가족에 대한 죄책감과 수치심, 불안한 미래, 자기 돌봄의 부재, 사회적 지지의 부재를 나타내었다. 생성감 수준이 높은 조부모들은 자발적 양육책임, 역전된 부모역할에 대한 긍정적 반응, 양육에 대한 보람, 미래에 대한 희망, 자기 돌봄의 존재, 사회적 지지의 존재를 특징으로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안을 하였다.

한국 노인의 조부모역할 유형과 손자녀를 위한 소비행동 (Grandparenting Style and Consumption Behavior of Elderly Consumers for Grandchildren)

  • 홍승우;최혜경
    • 한국노년학
    • /
    • 제32권4호
    • /
    • pp.1163-1180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 노인들의 조부모역할 유형은 어떻게 분류되며, 각 유형별로 손자녀를 위한 소비행동은 어떻게 다른지를 세대 간 자원이전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손자녀를 둔 60대 이상의 노인 461명을 대상으로 손자녀와의 관계, 손자녀를 위한 지출명목, 지출형태 및 지출액, 제품과 서비스의 구매 등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노인들은 밀착형, 공식형, 소극형의 세 가지 조부모역할 유형으로 구분되며, 조부모역할 유형에 따라 손자녀를 위한 소비행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착형 조부모들은 손자녀와의 관계에서 양육자이자 친구로서 손자녀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자원이전의 측면에서 적극적인 소비행동을 보였다. 공식형 조부모들은 양육에 크게 관여하지 않지만 밀착형 다음으로 적극적인 소비행동을 보였고 주로 현금을 주는 식으로 경제적 지원역할을 수행하였다. 소극형 조부모들은 밀착형보다 양육자나 친구로서의 관계가 약하고 세 유형 중에서 가장 소극적인 소비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물리적 자원이전 견지에서 조부모역할 유형에 따라 손자녀를 위한 소비가 각기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저소득층 조손가정 대상의 에듀케어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ffects of an Edu-care program for Low-income Grandparent-headed Families)

  • 곽윤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61-281
    • /
    • 2015
  • 본 연구는 저소득층 조손가정의 조부모와 손자녀의 일상을 파악하는 동시에 저소득층 조손가정을 위한 에듀케어 프로그램이 조부모와 손자녀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에듀케어 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층 조손가정의 조부모 10인과 손자녀 아동 10인을 대상으로 약 5개월에 걸쳐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에듀케어 프로그램 실시 후 조부모는 학습 지도 및 양육 기술의 향상과 심리적인 안정을 경험하였으며, 손자녀의 경우 학습역량 및 학습동기의 증진과 함께 진로를 위해 공부가 필요하다는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저소득층 조손가정을 위한 실질적 지원으로 조부모와 손자녀 요구에 맞춘 통합 지원 프로그램, 수준별 교육과정, 인적 자원의 지지와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맞벌이 자녀를 둔 할머니의 손자녀 양육 지원 양태(樣態)와 그에 따른 삶의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Childrearing by Grandmothers in Dual-Earner Families)

  • 안희란;김선미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3호
    • /
    • pp.1-20
    • /
    • 2014
  • This study explores the grandchild-rearing experience of grandmothers whose children are part of dual-earner couples. Twelve participants provided in-depth interview data that were analysed according to Spradely's ethnographic method. We present three main themes in our research, as well as ten smaller themes: (i) the grandchild-rearing motiv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dult, the child, the grandchild, and the grandmother); (ii) the mode of grandchild-rearing support (residential, total weight of childrearing support, availability of a daycare center); (iii) the change in the grandmother's way of life (positive changes and negative changes). Fi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integrity of the grandmother's identity as their productivity increases through providing grandchild-rearing support. It also looks at the importance of governmental policies that support their burdens according to the level support they provide.

손자녀 양육지원에 따른 조모와 취업모의 관계 경험 : 세대 간 지원 제공 및 수혜의 의미 (Providing and Utilizing Child Care by Grandmothers in South Korea : Grandmothers' and Employed Mothers' Relationship Experiences)

  • 이재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2호
    • /
    • pp.1-2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ived experiences of grandmothers who provide child care services to their grandchildren and employed mothers who utilize child care by grandmothers, with regards to their relationships while exchanging the specific type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The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42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21 pairs of employed mothers who had at least one child younger than elementary-school age and their mothers or mothers-in-law who had provided child care on a daily basis for their grandchildren. Our phenomenolog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grandmothers felt uncomfortable and overwhelmed when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and that they considered this activity to be different from caring for their own children by nature. However, the grandmothers wanted to help their adult children based on their feeling of "boo-mo-ma-eum" (meaning parental heart, i.e., love or care). The employed mothers perceived that they were substantially dependent on the grandmothers by receiving help with child care and housework. Reliance on grandmothers was inevitable and beneficial to these mothers. Dynamic intergenerational living arrangements enabled the dependent relationships. The grandmothers set specific boundaries pertaining to current and future child care so that they would not take on too much responsibility for child care. The mothers used various strategies that contributed to stable child care support from the grandmothers. Providing financial remuneration was an important strategy that had symbolic relational meanings, such as expressing gratitude, rather than financial meanings.

손자녀 돌봄이 조부모의 노후부양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노후의 자녀동거 기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Providing Care to Grandchildren Effects on Grandparents' Perception on Old-Age Support: Focusing on Expectations for Residence with Adult Children)

  • 하석철;홍경준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2호
    • /
    • pp.99-12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녀 돌봄의 행위와 그것이 지속되는 유형이 조부모의 노후부양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돌봄이 지속되는 유형을 미 돌봄, 일시 돌봄, 지속 돌봄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에 투입함으로써 그 논의의 심도를 더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가 그렇지 않은 조부모에 비해 노후에 자신의 성인 자녀와의 동거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돌봄 지속 유형에 대한 결과에서도 두 시기 동안 한 번도 손자녀 돌봄을 수행하지 않은 조부모에 비해 한 시기의 일시 돌봄을 행한 조부모와 두 시기 모두 돌봄을 제공한 지속 돌봄의 조부모 모두 자녀와의 동거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중 흥미로운 점은 지속 돌봄을 행한 조부모가 일시 돌봄을 수행한 조부모보다 자녀와의 동거를 더 선호한다는 것이다. 이는 손자녀 돌봄을 행하고 있는 조부모가 그들이 제공하는 돌봄 서비스를 이후 자신의 부양을 위한 보험적 성격의 자원으로 인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공적 영역의 역할이 미흡한 한국 사회에서 가족이 그 구성원들의 욕구 충족을 위해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통해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저소득 조손가정 조모의 양육경험 연구 (Study on Experience with Grandmother in Low-income Grandparent-headed Family)

  • 신명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655-662
    • /
    • 2019
  • 본 연구는 현상학적 해석학을 바탕으로 저소득 조손가정의 조모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조모의 양육의 어려움과 양육스트레스에 대해 이해하고자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저소득 조손가정 조모의 양육스트레스 경험은 경제적 어려움, 노후의 걸림돌이 된 손자녀, 양육의 막막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조손가정 조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복지개입 방향과 역할을 구체화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한다면 첫째, 현재 시행 중인 지원사업을 재검토하여 지원내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저소득 조손가정 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지지프로그램의 개발과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조모의 양육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 문화와 더불어 멘토링 프로그램을 만들어 부족한 원조관계망을 보완하는 지원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처, 양육 행동에 대한 연구 -주 양육모, 부분 양육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Coping, Parental behavior In Partial Caregiving-Grandmothers -Comparing with Caregiving-mothers-)

  • 이지연;김원경;정경미
    • 한국노년학
    • /
    • 제29권2호
    • /
    • pp.441-45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녀의 양육을 지원하는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그의 예언변수들을 탐색하고 이를 양육모집단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낮시간 동안 아동을 돌보는 할머니 152명(지원 양육조모)과 그 아동의 어머니 152명(부분 양육모), 낮시간 동안 아동을 돌보는 어머니 157명(주 양육모)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양육행동,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지원 양육조모는 주 양육모와 부분 양육모에 비해 유의하게 우울하였으나 양육 스트레스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원 양육조모는 주 양육모보다 사회적 지지와 문제 중심 대처 능력이 뚜렷이 낮아 스트레스에 가용한 자원이 취약함을 시사하였다. 양육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예언변수로 양육행동(과잉반응성, 방임성), 스트레스 대처(문제 중심 대처 및 정서 중심 대처), 사회적 지지, 우울의 설명량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설명하는 변수는 과잉 반응성, 우울이었다. 주 양육모도 과잉반응성과 우울이 양육 스트레스의 유의한 예언 변수였고, 정서 중심 대처도 예언 변수로 나타났다. 한편, 부분 양육모는 사회적 지지, 우울, 과잉 반응성이 양육 스트레스의 유의한 예언 변수로 나타나 낮시간 양육 집단과는 차이를 보였다. 우울이나 자원의 측면에서 조모 집단과 모집단의 차이를 논의하고, 예언 변수를 중심으로 양육 집단과 비양육 집단의 차이, 조모 집단과 모집단 간의 차이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