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5.11.2.261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ffects of an Edu-care program for Low-income Grandparent-headed Families  

Kwak, Yun Jung (세종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1, no.2, 2015 , pp. 261-28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aily life of low-income grandparent-headed families and identify the effects of the Edu-Care program.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en grandparents and ten grand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adjustment program, which was implemented for about five month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grandparents perceived that their skills for educating and raising children were improved and that they experienced psychological stability. Meanwhile, the grandchildren perceived that their learning competency and motivation for learning were enhanced and recognized why learning is necessary for their career. It was also found that the conditions and experiences needed for low-income grandparent-headed families are an integrative support program, a differentiated curriculum, and aid and care provided by human resources.
Keywords
Low-income grandparent-headed family; Edu-Care program; Qualitative research;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문정 (2006). 할머니의 손자녀 양육경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영건 (2008). 놀이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조손가정 초등학생의 사회성 및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광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우진 (2007). 조손가족과 복지대책. 건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출판부.
4 김진숙 (2009). 조손가정 청소년의 생활세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16(9), 223-248.
5 김혜선 (2004).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손자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지, 18(2), 85-117.
6 김흥미, 강영숙 (2007). 조손가정 주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효과성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117-383.
7 류방란, 최상근 (2004).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 방과후 학교 내 보육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8 류재중, 조아미 (2007). 조손가족 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모형 적합도 검증 연구. 청소년학연구, 14(2), 49-69.
9 류정희 (2010). 저소득층 조손가정의 특성과 그들을 위한 가족지원체계에 관한 질적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류태호 (2005). 학원스포츠의 과제와 전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2(2), 91-108.
11 박귀엽, 조희숙 (2006). 저소득층 유아를 위한 사회성 증진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논총, 15(2), 163-176.
12 박민자 (2010). 조손가정의 가족복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과 출판부.
13 박정란 (2009).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조손가정 아동의 우울감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박현선 (2007). 저소득층 청소년을 위한 학습지원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건강연구소.
15 서혜석 (2005).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 11(2), 125-146.
16 신혜섭 (2007). 저소득층 조손가족의 특징과 실천현장의 프로그램. 동덕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학생생활연구, 26, 83-93.
17 오경석 (2010).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인생이야기와 손자녀 양육경험.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3), 65-84.
18 옥경희 (2005). 조부모-손자녀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103-114.
19 윤혜순 (2005). 도시 저소득층 초등학생의 방과후교실(에듀케어) 만족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2(2), 100-119.
20 이미영 (2007). 조손가정의 형성과정 및 생활실태. 복지행정논총, 17(1), 201-230.
21 이영숙 (2010). 조모의 손자녀 돌봄 의도에 미치는 돌봄경험의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94-195.
22 이종남 (2011). '찾아가는 맞춤형 정서.학습지원 서비스'에 관한 일 연구: 충북 K대학의 청년사업단 사례. 글로벌사회복지연구, 1(2), 101-113.
23 정순상 (2008). 집단미술치료가 한 부모 및 조손가족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정아란, 김영철 (2014). 조손가정의 격대교육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인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2), 103-132.
25 정은미 (2010). 청소년기 손자녀를 둔 저소득 조손가정을 위한 조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부모교육연구, 7(1), 5-21.
26 정정신, 이현경, 박희숙 (2005). 저소득층 조손가정 유아에 대한 조부모의 역할수행도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3), 317-337.
27 주봉관 (2000). 손자녀 양육에 대한 조부모의 역할조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주소희, 이경은, 권지성 (2009). 조손가정 아동의 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지, 30, 97-131.
29 최영주 (2004). 초등학교 방과후 보육교실 운영의 활성화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최선희, 김희수, 양혜원, 이근영, 최지현 (2010). 송파구 멘토링 사업 성과 평가 조사 연구. 삼전종합사회복지관.
31 최해경 (2002). 저소득층 조손가정 여성노인의 우울감과 관련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2(3), 207-222.
32 최해경 (2006). 조손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적응유연성.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3, 37-58.
33 한경희 (1988). 유아기 자녀양육에서 할머니 역할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Guba, E. G. (1981). Criteria for assessing the trustworthiness of naturalistic inquirie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29(2), 75-92.
35 Kelley, S. J., Whiteley, D., Sipe, T. A., & Yorker, B. C. (2000). Psychological distress in grandmother kinship care providers: The role of resources, social support, and physical health. Child Abuse and Neglect, 24(3), 311-321.   DOI   ScienceOn
36 Pecora, P. J., Whittaker, J. K., Malucco, A. N., Barth, R. P., & Plotnick, R. D. (2000). The Child Welfare Challenge-policy practice and research. New York: Aldine De Gruyter.
37 Smith, A. (1994). African American grandmothers' war against crack-cocaine epidemic. Arete, 19(1), 22-36.
38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Newbury Park, CA: Sage.
39 권인수 (2001).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 아동간호학회지, 6(2), 212-223.
40 곽윤정 (2011). 저소득층 학생의 기초학습능력과 적응능력에 대한 에듀케어 프로그램 효과 연구. 청소년학 연구, 18(2), 171-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