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Supporting child care and dynamics of family in transition  

Kwon, Eun Bi (Department of Family Welfare, Gwangju University)
Lee, Jeong Hwa (Departmen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im, Seon Mi (Department of Family Welfare, Gwangju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19, no.1, 2015 , pp. 111-13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ived experiences of grandmothers and family in transition. Grandmothers in transition means grandmothers who had married children at least one even if there are no grandchildren yet. The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20 grandmothers in transition of 5 focus group(each 4 persons) interview. 9 of them was pre-grandmother without grandchildren yet, 11 was grandmother who had grandchildren.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meaning of grandmotherhood. Dynamics of family in transition around supporting child care represent change of family relations. It didn't means 'empty-nest' model of foreign theory. The Absolute quantity of intergeneral exchange and conflict extended as three generational families.
Keywords
grandmother in transition; supporting chlid care; grandmotherhood; modified extended famil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은정.정순둘(2011) 맞벌이 가정 영유아 손자녀 양육조모의 삶의 만족도: 양육보상감, 가족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4, 285-310.
2 노영주 역(1995) 가족관계와 의사소통 : 응집성과 변화. 하우기획출판
3 동아일보(2012) 다시 부모 부모품으로... '연어족' 늘어난다. 2012.8.25
4 박혜인(1990) 한국가족의 변화와 가족가치관. 가정학연구의 최신정보 II. 서울:교문사
5 배진희(2007)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육형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9, 67-94.
6 백진아(2013) 중장년 기혼 여성의 손자녀 양육 경험-돌봄공백의 가족주의적 대응. 담론 201, 16(3), 67-94.
7 보건복지부(2012) 전국보육실태조사
8 성미애(2006) 중년 기혼남녀의 가족/친족 개념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 303.
9 신경림.장연집.김영경.이금재.최명민.김혜영.김옥현.김영혜 공역(2004) 질적연 구방법 포커스그룹. 현문사
10 신경림.조명옥.양진향 외(2004)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1 양소정.정경미.김원경(2008) 공동양육 조모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간 관련성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4), 415-432.
12 YTN(2014) '손주병'아십니까... '황혼 육아' 증가 추세. 2014.9.29.
13 오진아(2006) 취업모 가정에서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 아동간호학회지, 12(3), 368-376.
14 옥선화(2011) 한국 가족제도와 가족생활문화의 변화. 한.중.일 비교문화연구소 간행물, 127-172.
15 옥선화.진미정(2011) 가족가치관과 생활문화의 세대 비교: 가족의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9(4), 67-76.   DOI
16 Oburu, O.(2005) Caregiving stress and adjustment problems of Kenyan orphaned children raised by adoptive grandmothers,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 199-210.   DOI
17 Wheelock, J. & Jones, K.(2002) Grandparents are the next best thing; Informal childcare for working parents in urban Britain. Journal of Social Policy, 7, 441-463.
18 Williams, Joan.(2000) Unbending gender: Why family and work conflict and what to do about i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 Wood, S., & Liossis, P.(2007) Potentially stressful life events and emotional closeness between grandparents and adult grandchildren. Journal of Family Issues, 28, 380-395.   DOI
20 이영숙(2014) 손자녀 돌봄에 대한 조모의 주관성 탐구 : Q방법론적 접근. 한국생활과학회지, 23(2), 205-217.   DOI
21 이영숙(2004) 청소년기 손자녀에 대한 조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3(5), 673-681.
22 이윤정.고선강(2011) 어머니와 성인 자녀간 자원이전: 경제적 자원과 돌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6), 137-151.   DOI
23 이재림(2013) "손자녀 양육지원에 따른 조모와 취업모의 관계 경험: 세대 간 지원 제공 및 수혜의 의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 1-24.   DOI
24 장경섭(2011) '위험회피'시대의 사회재생산 : 가족출산에서 여성출산으로?. 가족과 문화, 23(2), 1-23.
25 전문희(2010) <마더> : 모성의 괴기함 또는 신성함. 한중인문학연구, 31, 267-292.
26 전연우.김윤숙.조희숙(2012) 손자녀 양육과정에서 경험하는 외할머니의 심리적 상태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175-199.
27 전혜정.조규영.박민경.한세황.Wassel, J. I.(2013) 손자녀 양육자로의 전이가 조부모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3(3), 515-536.
28 조윤주(2012) 다문화 가족내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손)자녀 양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 279-109.
29 조선일보(2010) '황혼육아', 노년층 우울증 키운다. 2010.11.17.
30 주봉관(2000) 손 자녀 양육에 대한 조부모의 역할조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최윤형(2012)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우울감에 관한 연구: 손자녀 돌봄 노동실태와 자녀와의 갈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통계청(2014) 경력단절여성 통계
33 통계청(2011)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34 통계청(2010) 사회조사보고서
35 통계청(2008) 사회조사보고서
36 국민일보(2014) 노인이 노인 수발.손자녀 육아 족쇄…재앙 돼버린 '은퇴 없는 실버'. 2014.10.1.
37 강유진(2011) 손자녀 돌봄과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 돌봄상황, 양육지각, 자원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1), 73-97.
38 강이수.김경희.김둘순.김미경.김혜경.류임량.마경희.박기남.신경아.이순미.장미경(2009) 일.가족.젠더. 한울아카데미
39 고선강(2012) 중년기 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자원이전의 호혜성.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03-121.
40 김명자(1998) 중년기 발달. 교문사
41 김문정(2009) 손자녀 양육조모의 생활만족도 구조모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 김미영(2001)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취업모를 자녀로 둔 조모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김미옥(2007) 한국 사회복지학에서의 질적 연구 경험에 관한 연구: 엄격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9(4), 163-189.
44 김성재.오상은.은영.손행미.이명선 역 (2007) 질적 연구로서의 포커스 그룹. 서울:군자출판사
45 김애순 역(2004) 여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46 김애순 역(1996) 남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47 김오남(2007)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부담과 보상감. 한국노년학, 16, 59-84.
48 한경혜.윤성은(2004) 한국가족 친족관계의 양계화 경향: 세대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7(2), 177-203.
49 통계청(2005) 가족실태조사
50 한경혜.김상욱(2010) 세대 간 지원교환 설명요인에 있어서의 부계와 모계의 비교. 한국사회학, 44(4), 1-31.
51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12) 한국의 2030 가족 미래 시나리오와 정책방향
52 Bowers BF, & Myers BJ.(1999) Grandmothers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Consequences of various levels of caregiving. Family Relations, 48(3), 303-311.   DOI
53 Goodfellow, Joy & Laverty, Judy(2003) Grandcaring: Insights into Grandparents' Experiences as Regular child care providers, Early Childhood Australia.
54 Hayslip, B., Jr.,& Henderson, C. E.(1998) Custodial grandparent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ging, 6, 367-384.
55 Jendrek, M. P.(1993) Grandparents who parent their grandchildren: effects on lifestly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 609-621.   DOI
56 Kelly, S. J., Whiteley, D., Sipe, T. A, and Yorker, B. C.(2000), Psychological distress in grandmother kinship care providers: the pole of resources, social support, and physical health, Child Abuse and Neglect, 24(3), 311-321.   DOI
57 Lee, J. & Bauer, J. W.(2013) Motivations for providing and utilizing child care by granmothers in South Korea.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5, 381-402.   DOI
58 Neugarten, B., K. K. Weinstein(1964) The changing american grand-paren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26, 119-204.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