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

Search Result 9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Construction of Software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and Process (소프트웨어 품질인증 체계 및 프로세스의 구축)

  • Yang, Hae-Sool;Lee, Ha-Yong;Jung, Hye-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321-324
    • /
    • 2005
  • 소프트웨어 개발 기관에서는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자체적인 품질관리 부서나 제3자 기관의 소프트웨어 품질감리와 평가를 통한 객관적인 품질향상 방안들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 차원에서도 소프트웨어 품질평가 및 인증을 통해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공인함으로써 개발기관에서도 소프트웨어 품질향상을 위한 노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구매자로 하여금 품질이 인증된 소프트웨어를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서 소프트웨어 품질 문제로 인한 경제적, 사회적 위험 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최근,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및 인증에 관한 국가적인 체계가 구축되고 실질적인 인증활동이 수행되고 있으나 인증의 관점에서 확립되어 있는 표준화된 절차가 미흡하여 품질인증을 위한 표준적인 절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품질인증 기관의 관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품질인증 체계와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품질인증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 각 단계별 세부 절차 및 각 절차별 활동을 구축하였다.

  • PDF

A Reference Model for Software Quality Certification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을 위한 참조 모델)

  • 김우식;오재원;윤경환;이종원;우치수;장우현;이숙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526-528
    • /
    • 2001
  • 최근 소프트웨어 산업의 동향을 살펴보면 소프트웨어의 생산성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품질에 대해서 개발자와 사용자가 그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품질 인증을 위한 인증 기관들이 점차 설립되고 있다. 하지만 인증 기관들이 현재 수행하고 있는 인증 방법과 체계를 일반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인증 대상에 제약을 가져오며 일반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에 적합하지 않는 인증 프로세서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일단 소프트웨어 제품에 대한 인증을 적절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인증 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각에서 새로운 인증 체계의 정립을 위한 인증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ISO Certification and Software Quality Improvement (ISO 인증과 소프트웨어 품질향상)

  • 김기재;이길행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2.11a
    • /
    • pp.854-857
    • /
    • 2002
  • 소프트웨어 품질향상에 관한 많은 이론연구 및 소프트웨어 산업체의 ISO 품질인증 획득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소프트웨어는 고객만족에 충분한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은 품질에 대한 고객의 기대가 높은 것도 있지만, ISO 품질인증의 목적을 고객만족에 두지 않고 소프트웨어의 수요공급 체계의 한가지 자격쯤으로 여기는 산업체의 현실이 그 주요한 요인이라 하겠다. 물론 ISO 품질인증을 받기 위한 노력과 실제 현장에서의 어려움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ISO 품질인증 수검 자체만으로 품질향상을 기대하기란 어렵다고 본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연구개발 현장에서의 현실적인 품질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PDF

Construction of Process for Software Quality Certification (소프트웨어 품질인증을 위한 프로세스의 구축)

  • Lee, Ha-Yong;Hwang, Suk-Hyung;Yang, Hae-So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c
    • /
    • pp.2003-2006
    • /
    • 2002
  •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방안으로 품질평가를 통해 문제점을 발견해서 보완하는 과정을 활용할 수 있다. 최근,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및 인증에 관한 국가적인 체계가 구축되고 실질적인 인증활동이 수행되고 있으나 인증의 관점에서 확립되어 있는 표준화된 절차가 미흡하여 효과적인 품질 평가 및 인증을 위한 절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소프트웨어 제품의 품질평가를 위한 프로세스로서 ISO/IEC 14598이 6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표준화되는 과정에 있으며, 이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품질평가에 적용하거나 품질향상을 도모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SO/IEC 14598의 품질평가 프로세스 중에서 소프트웨어 평가자가 활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인 ISO/IEC 14598-5를 중심으로 품질 시험 인증의 관점을 고려한 절차에 관해 기술하였다.

  • PDF

Software Evaluation Framework for Package Software Quality Certification (패키지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을 위한 시험.평가 프레임워크)

  • 박상욱;정영은;이원천;김순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532-534
    • /
    • 2001
  • 영세한 국내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들의 인지도 향상과 소프트웨어 산업의 자발적인 품질 개선 노력 유도를 위해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 사업이 2001년 1월부로 가동되었다.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을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품질을 시험.평가하기 위한 여러 기술들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품질 시험.평가 기술들 중 시험.평가 방법 측면에서 현재까지 연구되어 적용되고 있는 현황을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 PDF

Software Quality Evaluation Service (소프트웨어 품질인증 서비스)

  • Choi, Jong-Yol;Lee, Ko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481-484
    • /
    • 2002
  • 소프트웨어는 매우 다양하며, 품질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객관적인 소프트웨어 평가를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국제 및 국내 표준이 개발 중에 있다. SW시험센터는 ISO/IEC 9126을 포함한 여러 표준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품질인증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품질 평가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서비스중인 소프트웨어 품질인증 서비스와 품질인중 프레임웍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Research on The System Software Quality Certification Implementation Plan of DQ Mark Certification (DQ마크 인증제도의 시스템 소프트웨어 품질인증 수행 방안 연구)

  • Yun, Jae-Hyeong;Song, Chi-H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2
    • /
    • pp.85-91
    • /
    • 2021
  • The DAPA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has been operating the DQ mark certification since 2012 to certify the superior technology and quality of munitions.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DQ mark certification can not directly provide DQ mark certification to software because it is impossible to verify the quality of software alon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domestic/overseas software quality evaluation/certification standards to find a way to verify the quality of software in the DQ mark certification. Among them, the method of applying the GS certification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ISO/IEC 25000 series to the DQ mark certification was suggested as an improvement plan, and DQ mark certification verified the quality of software and provided certification. An attempt was made to expand the certification scope of DQ mark certification.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DQ mark can be given to the system software by introducing GS certification to the DQ mark certification. To this end, an improved procedure for omitting the factory audit and verification by submitting a GS certificate for product evaluation is proposed. This is expected to increase defense exports using the granted DQ mark and improve the quality of defense software products through GS certification.

CC-based security-software quality evaluation (CC 기반 보안 S/W 품질평가)

  • Lee, Yong-Ho;Shin, Seok-Kyoo;Cho, In-Sub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221-224
    • /
    • 2004
  • 보안 S/W의 보안성 평가기준(CC; Common Criteria)은 국제 표준 ISO/IEC 15408로 제정되었고, 시제품에 대한 보안기능요구사항과 보증요구사항을 표준화된 방법으로 표현하고 있다. 보안 S/W의 보안성은 중요하나 그 품질 또한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CC에서 기술하고 있는 보안기능에 대한 S/W 품질평가기준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

Applying a Meta-model for Software Quality Certification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을 위한 메타 모델의 적용)

  • 이종원;오재원;윤경환;우치수;김우식;이숙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364-366
    • /
    • 2002
  • 최근 소프트웨어 산업을 살펴보면 생산성 외에도 소프트웨어의 품질에 대해서 개발자와 사용자가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몇몇 기관들이 공산품 인증제와 비슷한 소프프웨어 품질 인증제를 도입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공산품들에 적용하던 인중 방법과 체계를 일반 소프트웨어 품질 인중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일반 소프트웨어 제품에 대안 인증을 적절하게 수행하기 위해 메타 모델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그러한 메타모델을 [l]에서 제시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메타 모델의 유효성 및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해당 메타 모델은 통만 인증 프로그램 생성과 기존 인증 프로그램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 PDF

Design & Implementation of Compatible Certification System of International Standard based Industrial Software (산업용 S/W 국제표준 적합성 인증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최민용;양해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61-63
    • /
    • 2003
  • 최근 소프트웨어 품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그에 따른 기반 기술들이 요구되고 있다. 산업분야에 있어서도 작업을 수행하는 기계장치의 성능향상을 위해서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중요성이 점점 증가함에 파라 해당 장치에 대한 성능은 물론 품질에 있어서도 소프트웨어의 중요도가 크게 향상됐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산업분야에 있어서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일종인 산업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품질인증.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산업용 소프트웨어 국제표준 적합성 인증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