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음전달

Search Result 93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Transmission Path and Vibrosolating Character of Shipboard Structure-borne noise (SEA법에 의한 선박고체소음의 전파경로와 방진특성에 관한 연구)

  • 김사수;현명환;이도경;권종현;안시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223-230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선박소음해석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실선 선박모델을 크게 3가지 경우로 구분하여 모델링 하였으며, SEA법을 적용하여 고체소음의 전달손실을 이론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STL을 도입하여 각 요소간의 에너지 흐름 및 구성판요소의 재료별 방진효과를 알아보았다. 이 방법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내장판의 종류에 따른 전달특성은 고주파 대역에서는 plywood, 저주파 대 역에서는 rockwool이 높은 손실값을 보였으며, glasswool은 전 주파수 대역에서 고른 손실값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2) 기진원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내장판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며, 기진원의 근방 요소에서는 내장판의 효과보다는 강판의 두께의 영향이 두드 러짐을 알 수 있었다. 3) 내장판 요소중 plywood의 방진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4) 본 SEA법에 의한 연구에서는 구성 판요소의 재질과 두께에 따른 고쳇음 의 전달특성을 이론적으로 해석하였으며, 차후 실험을 통한 검증이 요구되어 진다.

  • PDF

Analysis of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methods of elevator noise (승강기 소음의 주파수 특성 분석 및 평가 방법 고찰)

  • Kang, Min-Woo;Oh, Yang-Ki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0 no.6
    • /
    • pp.607-614
    • /
    • 2021
  • Research on elevator noise has mainly focused on the cause of its occurrence and measures to reduce it. There is still insufficient research on how to accurately measure and evaluate elevator noise. There is a measurement method established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the measurement method, but it is also difficult to apply to high-rise apartments, and there are many cases that do not close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levator nois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elevator noise measurement method in the current standard.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levator noise were closely ident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of the elevator noise and other equipment, it was verified that the elevator noise is noise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ther equipment. Elevator noise was compared with heavy floor impact noise, which is a representative structural transmission noise, as structural transmission noise. Elevator noise was compared with heavy floor impact noise, which is a representative structural transmission noise, as structural transmission noise. The correlation between bang machine and rubber ball was found to be very high at 0.9 level.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the mid-low frequency band of the elevator noise is the main structural transmission noise and cannot be evaluated together with other equipment.

A Study on the Excavation Method Near Fish Farms and Livestock (양만장 및 가축사육시설 인접지역 암굴착공법 검토에 관한 연구)

  • Lim, Dae-Kyu;Shin, Young-Cheol;Jun, Yang-Bae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31 no.1
    • /
    • pp.23-32
    • /
    • 2013
  • Construction vibration such as explosive blast, hydraulic breaker, vibratory roller, pile driving noise and so on, injuries in areas around the construction sites. In particular, underwater sound caused by ground vibration is propagation such as structure borne noise. Vibration and underwater sound due to construction activities may cause injury to river, sea or land fish farms near construction site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measure the sound pressure level and frequency analysis of the underwater noise generated by ground vibration(Blasting, hydraulic crawler drill, hydraulic breaker, vibratory roller). Underwater noise were monitoring by a hydrophone (TC 4013) and recorded, analysis were made using a by software (Prosig).

A Comparison between Measurement Values and Prediction Values of Structure-borne noise induced by Subway (지하철 진동에 의한 구조음 실측치와 예측치 비교)

  • Lee, Tae-Ho;Ann, Yong-Chan;Cho, Jung-Sik;Lee, Ki-R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0a
    • /
    • pp.817-820
    • /
    • 2014
  • 지하철 인근 지역에서 차량 통과 시 차륜과 레일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진동이 지반을 통하여 건물까지 전파되어 구조전달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전달음이 발생하는 지하철 인근 지역에서 도로나 주거단지가 새롭게 조성될 예정인 경우, 완공 이후에 발생하는 구조전달음 영향을 사전에 평가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 위치한 일부 역사에서의 구조전달음을 측정하고 국외의 예측식을 검토하여 구조전달음의 실측치와 예측치를 비교한다. 따라서 국내 지하철의 구조전달음 예측에 대하여 국외 예측식의 타당성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건설될 지하구간 역사의 인근 주거지역에 대한 구조전달음을 예측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Tools to Understand Interior Noise due to Road Excitation in Cars (노면 가진에 의한 실내 소음 해석 방법)

  • Taewon Kang;Sang-Gyu Lim
    • Journal of KSNVE
    • /
    • v.8 no.6
    • /
    • pp.1158-1165
    • /
    • 1998
  • Low frequency interior noise in cars is mainly due to structure-borne excitations which are related with road excitation and component vibrations such as suspension and engine mounts. In order to analyze the annoying interior noise. a technique (Transfer Path Analysis) is introduced to find a noise source and the path of that noise. In this study, TPA is reviewed theoretically and applied to investigate the case when the low frequency interior noise at front seat due to road excitations needs to be optimized.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appraisal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that a testing vehicle traveled on asphalt at 30 km/h. so that the low frequency to be eliminated was detected. The related vibration and noise data for TPA were measured on running and static vehicle. The results reveal that the noise contribution along the z-direction of trailing arm is prominent to low frequency interior noise.

  • PDF

Effects of flow field on the performance of the concentric resonator (동심관형 공명기 내부의 유동장의 변화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

  • Lee, Seong-Hyun;Ih, Jeong-Gu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2.11b
    • /
    • pp.715-718
    • /
    • 2002
  • 자동차 및 유체기계의 흡기계나 배기계에 사용되는 소음기의 음향성능은 전달손실로 기계성능은 배압으로 표현된다.유체가 흐르는 관 사이의 임피던스 부정합을 이용하는 반사형 소음기의 경우, 내부 유로에 천공을 주어 음향감쇠를 시키거나 유동을 안정시키는 경우가 많다.본 연구에서는 동심관형 공명기의 내부 관에 존재하는 천공의 분포 양상의 변화가 공명기 내부의 유동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유동장의 변화에 따라서 소음기의 성능이 어떠한 영향을 받게 되는지를 고찰하였다.또한 유동장에 영향을 미치며, 소음기의 설계 인자 중 하나인 면적 확장비의 변화가 유동장 및 배압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였다.이로부터 유동의 흐름을 제어하여 소음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 PDF

A Method of Reducing Gear Whine Noise in Passenger Car Through Optimizing Gear Design (승용차 기어 화인 소음 저감법 : 기어 제원 최적화 설계)

  • Kown Young Ill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383-386
    • /
    • 2001
  • 최근 선진 자동차 회사에서는 변속기 개발 단계에서 기어 소음 문제를 해결하고 차량의 소음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설계 단계에서 기어 소음을 고려한 기어 제원 결정이 불가능하여, 설계 완료 후 개발 단계에서 기어 소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었고, 설사 가능하여도 시간적, 성능적인 한계가 있었다. 기어 소음은 크게 Source 와 전달경로의 문제로 나누어지고, 본 연구는 주로 전자에 중점을 둘 것이며, 기어 화인 소음의 주 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기어의 전달 오차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그 방법으로 기어 설계의 선진 핵심 기술인 기어 해석을 통한 기어 화인 소음을 최소화하는 최적 기어 설계 제원 결정이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ttenuation and Propagation of Construction Work Noise in Construction Field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건설공사소음의 전달 및 감쇠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김재수;한명호;이병윤;박재영;윤해동;곽광수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3
    • /
    • pp.78-89
    • /
    • 1998
  • 도심에서 발생하는 건설소음은 건설현장 주변의 주민들에게 불쾌감을 유발하고 있 으며 점차 주거환경을 위협하는 환경 오염원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건설소음은 일반적 으로 건설기계소음과 건설공사소음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전자의 경우 최근에 정부차원에 서 그 심각성을 인정하여 정책적으로 기초적인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기 초적인 자료 및 연구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이러한 건설소음을 저감 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들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으나, 기존의 연구부족과 자료의 결핍 등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 에서 발생하는 건설공사소음의 전달 및 감쇠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건설소음의 기준 설정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차량 동력 전달계 진동 해석

  • 홍동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2.05a
    • /
    • pp.53-63
    • /
    • 2002
  • 0 승차감에 대한 인식 변화 0 환경 규제 강화 0 자동차의 진동 소음 중요성 증대 0 자동차 시스템에 대한 구동계의 진동 소음 비중이큼(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