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유구조

Search Result 32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owned Banks and Firm Size (정부소유 은행과 거래 기업 규모의 관계)

  • Lee, Sang-W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8
    • /
    • pp.4895-4900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Government-ownership of banks on the firm size using South Korean data. The impact of Government ownership of banks as both the largest lender of government banks and the bank loan dependency of firms on government-ownership bank were measured. Empirical models considering endogenous problems and various effects of firm size were developed. All results in this paper showed that government-ownership of the main banks might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smaller firms. In addition, the bank loan dependency of firms on government-ownership banks might have effects on the firm size. A higher loan dependency of firms on government-owned banks resulted in smaller firms. This study used micro firm level data to analyze, from several perspectives,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owned banks and firm size. The existing studies go as far as inferring the effects of government-owned banks showing theoretical evidence, performing surveys, or using international comparison data.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in that it analyzed in a direct manner the effects of the government-owned banks on both the firm size.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privatization of government-owned banks.

기업집단(企業集團)의 현황(現況)과 특징(特徵) : 비중(比重)·시장지위(市場地位)·다변화(多邊化)·소유구조(所有構造)

  • Lee, Jae-Hye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8 no.3_4
    • /
    • pp.183-238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기업집단이 갖는 현황과 특징을 여러 각도에서 살펴보았으며, 기업집단을 둘러싼 논쟁 중 중요한 쟁점인 기업집단의 생산구조 및 다변화가 기업집단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30대기업집단이 광공업부문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동안 변화가 있었지만 최근 들어 조금 높아지고 있으며, 상위기업집단과 하위기업집단간의 격차도 확대되고 있어 경제력집중 문제가 소수의 상위기업집단의 문제로 압축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30대기업집단 가운데서도 상위집단은 산업규모가 크고 성장속도가 빠른 산업에 중점적으로 진출해 있는 반면, 중 하위집단은 산업규모는 크지만, 성장이 상대적으로 정체되어 있는 부문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30대기업집단은 다양한 산업 시장에 진출해 있어 다변화가 크게 진전되어 있으며, 개별 상품시장에서도 높은 시장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규모가 큰 시장일수록 기업집단의 참여가 많으며, 규모가 작은 시장에서는 참여 기업집단이 독점적 위치를, 규모가 큰 시장에서는 시장을 분점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실증분석에 의하면 기업 및 기업집단의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노동장비율, 노동의 질 등 생산측면의 요인이며, 시장력 및 시장구조, 다변화 등이 기업집단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기업집단의 규모와 기업집단의 성과간에는 특별한 관계가 성립하고 있지 않지만, 개별기업 수준에서는 기업규모가 클수록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대형화는 촉진시키되 기업집단 계열기업간의 연결관계를 단절하고자 하는 현재의 경제력집중 대책방향이 적절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기업공개는 기업집단의 소유분산에 기여하는 동시에, 기업의 규모확대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부터 기업공개의 촉진이 경제력집중 대책의 유용한 수단일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Ownership Structure and Corporate Value : Evidency from Panel Data (기업소유구조(企業所有構造)와 기업가치(企業價値)와의 관계(關係) - 패널자료(資料)로 부터 근거(根據) -)

  • Lee, Hae-Young;Lee, Jae-Choo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6 no.2
    • /
    • pp.91-118
    • /
    • 1999
  • 본(本) 연구(硏究)는 기업(企業)의 소유구조(所有構造)와 기업가치(企業價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여 횡단면(橫斷面) 요인(要因)과 시계열(時系列) 요인(要因)을 결합하는 이론적(理論的) 모형(模型)을 제시하며, 또한 제시된 모형(模型)을 한국증권시장(韓國證券市場)의 자료(資料)를 이용하여 실증적(實證的)으로 분석하여 절충가설이 우리나라 기업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기업가치(企業價値)를 나타내는 대용변수(代用變數)로 시장가치 대 장부가치비율을, 독립변수(獨立變數)로는 대주주 1인 지분율을 그리고 통제변수(統制變數)로는 광고비 정도, 기업규모, 재무레버리지, 30대 재벌 비재벌의 가변수(假變數)를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본(本) 연구(硏究)에서 제시된 모형이 상당한 의미를 가지나, 모형(模型)의 설명력(說明力)은 비교적 낮아 본(本) 연구(硏究)에서 제시된 설명변수(說明變數)들이 자본구조(資本構造)의 변동(變動)을 8%정도 설명하고 있다. 또한 본(本) 연구(硏究)에서 제시된 독립변수 대주주 1인의 지분율과 이를 제곱한 것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변수가 되고 있다. 이는 대주주 1인의 지분율과 기업가치(企業價値) 사이에는 곡선관계(曲線關係)가 존재한다는 절충가설(折衷假說)을 지지하는 강력한 증거이다. 그리고 본(本) 연구(硏究)에서 제시된 통제변수(統制變數)인 광고비 정도, 기업규모, 재무레버리지 그리고 30대 재벌 비재벌 가변수(假變數) 등은 기업가치(機業價値)를 결정하는 통계적인 의미를 갖는 변수로 밝혀졌으며 회귀계수(回歸係數)의 부호도 기대하였던 바와 일치하고 있다.

  • PDF

The Effectiveness of Ownership Structure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Construction and Manufacture Industries (건설업과 제조업의 기업성과에 대한 소유구조의 효과성 분석)

  • Kim, Dae-Lyong;Lim, Kee-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7
    • /
    • pp.3062-3071
    • /
    • 2011
  • This study propos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a manufacturing company and a construction company in accordance with the mutual relations and ownership structures with the management performance based on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large shareholders' share-holding ratio (insider ownership, foreign share-holding, institutional investors' share-holding) of a KOSPI listed company in Korea during 10 years(1998-2007). To sum up the research work, first, the increase of foreign share-holding supporte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which foreign share-hold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ong term performance by having a positive(+) effect on MTB, and the increase of an insider ownership supported the management entrenchment hypothesis of previous studies by having a negative(-) effect on MTB. However, relations between institutional investors's share-holding and MTB could not find out linkages in spite of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where dealt with the active monitoring hypothesis. Also, to examine the linkages of ROA and the ownership structure, though the increases of foreign share-holding and insider own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ROA, the increases of institutional investors' share-holding had a negative(-) effect on it. It showed different analysis results from the active monitoring hypothesis of institutional investors.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management performances betwee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manufacturing industry according to the equity structure" which is the second hypothesis, nothing of the insider ownership and whether or not there is the construction industry, foreign share-holding and whether or not there is the construction, and the institutional ownership and whether or not there is the construction industry gave a statistical difference to MTB and ROA. Accordingly,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management performance betwee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ownership structure in spite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manufacturing industry such as the revenue recognition in ordering, production and accounting.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 of the Formation of Psychological Ownership on Personal Information (개인정보 소유감을 형성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Minjung Park;Sangmi Chai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0 no.3
    • /
    • pp.33-49
    • /
    • 2018
  • Since there are growing concerns regarding personal information, users have perceived the importance of it. It makes users try to manage and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by their own intentions. Therefore, we assume users now have begun to perceive psychological ownership on personal information. A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tythe relationship between accountability, self-identity, self-efficacy and sense of belongingness and psychological ownership on personal information. We conduct an online-basedsurvey and establis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esting hypothesis. The results show that users' accountability, self-identity and sense of belongingness positively influence to psychological ownership on personal information. Additionally, users' perceived psychological ownership on personal information increase their concern for information privacy. This study suggests a new concept as 'perceived psychological ownership on personal information' to explain for intentions of their psychological possessions toward personal inform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vide a way for how firms have to require clients' personal information with increasing their satisfactions.

무안군 해안지역의 지하수질과 해수침투영향

  • Jeong Chan-Deok;Seo Gu-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320-323
    • /
    • 2005
  • 무안군 해안지역과 접해있는 청계면-삼향면 일대를 따라 지하수 및 지표수의 수질특성을 규명하여 해수침투 영향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을 수리적특성에 따라 소유역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구조선이 발달한 지역을 중심으로 해안에서부터 해수침투의 징후를 보였다. 수질분석결과 주로 $Ca-HCO_3$ 유형, $Na-HCO_3$, Na-Cl 유형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탄산염광물과 해수침투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대부분 구조선이 발달한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구조선발달지역의 수질분석을 실시할 경우 해수침투영향을 고려하여 시행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기업(企業)의 소유구조(所有構造)가 인센티브와 기업성과(企業成果)에 미치는 영향(影響)

  • Jo, Seong-U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0 no.3_4
    • /
    • pp.63-109
    • /
    • 1998
  • 주주와 기업경영자의 대리인관계에서 대주주가 경영자를 감시 감독하는 역할을 항상 하는 것은 아니다. 기업의 주주는 동질적이 아닐 수 있으며, 특히 지배 대주주와 외부주주의 이해관계는 상이할 수 있다. 소유지분이 높아지고 기업에 대한 영향이 증가하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주주들이 자신들의 사익을 추구하고자 할 수 있다. 기업경영 및 의사결정을 자신들의 사적이익에 부합되는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주주들은 경영자에게 높은 보수를 제공하는 방법 등으로 경영자와의 담합관계를 추구할 수 있다. 대주주가 경영자와의 담합관계를 추구하는 경우 기업경영의 주목적이 기업주식가격상승 또는 배당금증가에서 멀어지므로 기업의 수익성은 감소할 수 있다. 본 연구는 1982년부터 1992년간 일본 제조업분야의 상장기업을 통해 기관투자자들의 소유지분과 경영자의 보수 그리고 기업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주거래은행을 중심으로 금융기관투자자는 기업의 주요 채권자인 동시에 소유주로서 일반주주와는 상반된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금융기관의 소유지분이 강화됨에 따라 기업경영자의 급여가 성과급이 아닌 고정급의 형태를 통해 증가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기업이 차입금에 대하여 지불하는 이자율이 상승할수록 기업경영자의 급여는 증가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금융기관의 소유지분이 높은 기업의 수익성이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결과는 1980년대 자본 자유화와 더불어 자본공급자로서의 위치가 약해진 금융기관과 기업과의 관계를 시사하고 있다. 기업수익성보다는 금융기관에게 주요 채권자로서의 위치와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성을 보장하도록 경영자의 인센티브급여계약이 설계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많은 기업들이 주거래은행의 전직 경영자를 이사 또는 최고경영자로 임명하고 있는 사실을 고려할 때, 금융기관 경영자와 기업경영자간의 담합관계를 암시하기도 한다.

  • PDF

An Analysis on a Share of Public Transportation Expenditure in Car-Owning Household - Focu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자동차 소유가구의 대중교통비 지출비율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 Jang, Seongman;Yi, Changhyo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1 no.3
    • /
    • pp.19-3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a structural relationship on factors affecting ratio of public transportation spending to a car-owning household's total transportation expenditure. For this purpose, informations of household's attributes and activities were gathered using the 13th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and information of land-use and transportation conditions on their residential locations was collected and proces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on determinants affecting ratio of public transportation expenditure was constructed, based on an execution result of factor analysis using the analyzing database. The latent variables were derived as land-use/transportation characteristic, household's attribute and household's activity. In the analyzing result of the SEM, the entire latent variables were significant. And, the first two latent variables had positive influences, and the last latent variable had a negative impact. To promote public transportation use of the car-owning household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olicies such as enhancement of convenience in public transportation use for the household's activities and improvement of the land-use/transport conditions are required.

The impacts of foreign institutional investors and governance mechanism on the cost of debt (외국인 기관투자자와 기업지배구조가 차입비용에 미치는 영향)

  • Kim, Choong-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1
    • /
    • pp.143-147
    • /
    • 2013
  •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on the cost of debt. Total sample is divided into the small sample, the medium sample and the large sample of equity concentration, based on the equity ownership of large shareholders. Our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foreign investors are not associated with the cost of debt in the small and medium samples of equity ownership, whereas foreign investor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in the cost of debt in the large sample of equity concentration. Academic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re that as the ownership of dominating shareholders rises, they seek their private interests of perks causing an increase in agency costs and a decrease in firm's economic value, thus expanding borrowing costs. Practical business implications are that foreign investors may alleviate agency problem of dominating large shareholders in the firm through monitoring activities, thus enhancing the efficiency of business decision-makings.

The Recent Evidence of Japanese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Focusing on Ownership Structure, Entry Mode, and Location Choices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일본의 외국인직접투자 변화: 진입모드, 소유구조, 입지선택에 관하여)

  • Park, Young-Ryeol;Kwak, Jooyoung;No, Jung-Hyun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5 no.2
    • /
    • pp.3-23
    • /
    • 2011
  • Existing studies have argued that, compared to the 1990s, the Japanese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in the 2000s became multi-faceted in terms of investment motivation, ownership structure and entry mode, and diversification strategy. We have conducted a cross-sectional analysis and compared our results with the recent findings. We have found that the Japanese FDI in the mid 2000s became globally focused and regionally diversified. Ownership strategy and entry mode of the Japanese FDI in the Asian countries shows a remarkable shift from joint venture to wholly-owned subsidiary. In contrast, the preference of greenfield investments was observed consistently across regions. It seems that,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the Japanese firms began to re-optimize global FDI strategy and to regionally differentiate invest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