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양병(少陽病)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소양병(少陽病)에 대한 고찰

  • Lee, Ju-Hye;Lee, Yong-Beom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19 no.1 s.32
    • /
    • pp.194-201
    • /
    • 2006
  • 일반래설(一般來說), 상한소양병포괄소시호탕증(傷寒小陽病包括小柴胡湯證), 시호계지탕증(柴胡桂枝湯證), 대시호탕증(大柴胡湯證), 황금탕증(黃芩湯證), 시호계지건강탕증(柴胡桂枝乾薑湯證), 시호가용골모려탕증(柴胡加龍骨牡蠣湯證). 가시한국대표성적임상의서(可是韓國代表性的臨床醫書)${\ulcorner}$동의보감(東醫寶鑑)${\lrcorner}$, 주요재잡병편중(主要在雜病篇中)${\ulcorner}$한(寒)${\lrcorner}$문적소양형증용약리참천술료소양병(門的少陽形證用藥裏參闡術了少陽病) 종차가이간출(從此可以看出)${\ulcorner}$동의보감(東醫寶鑑)${\lrcorner}$대소양병적인식정도여(對少陽病的認識程度與一般的傷寒體系具有明顯的區別). 필자통과분석(筆者通過分析)${\ulcorner}$동의보감(東醫寶鑑) 잡병편(雜病篇) 한(寒)${\lrcorner}$당중적유관소양형증용약적조문(當中的有關少陽形證用藥的條文), 득출여하결론(得出如下結論): ${\ulcorner}$동의보감(東醫寶鑑)${\lrcorner}$당중(當中), 소양병시이구고(少陽病是以口苦), 인건(咽乾), 목현(目眩), 협만(脇滿), 건구(乾區), 왕래한열등증상위주(往來寒熱等症狀爲主), 발병부위시소양병호발부위태양양명지간화흉협(發病部位是少陽病好發部位太陽陽明之間和胸脇); 기재적주요치방시소시호탕(記載的主要治方是小柴胡湯), 황금탕(黃芩湯), 십조탕등삼개처방(十棗湯等三個處方). 종저일점가이간출(從這一點可以看出)${\ulcorner}$동의보감(東醫寶鑑)${\lrcorner}$불구니어(不拘泥於)${\ulcorner}$상한론(傷寒論)${\lrcorner}$적체계(的體系), 갱가중시실용성(更加重視實用性), 즉이증상위중심료해병정(卽以症狀爲中心了解病情), 심조갱가적합적치법여치방(尋更加適合的治法與治方). 기대금후능유인연구유관십조탕시부가이열입소양병치방화(期待今後能有人硏究有關十棗湯是否可以列入少陽病治方和)${\ulcorner}$동의보감(東醫寶鑑)${\lrcorner}$육경형증용약당중적표본개념(六經形證用藥當中的標本槪念).

  • PDF

The Bibiographical investigation of effect of GYPSUM FIBROSUM in Dongyi Soose Bowon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서의 석고(石膏)의 약리(藥理)에 대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 Jung, Kwang-hee;Koh, Byung-hee;Song, Il-byung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
    • v.12 no.1
    • /
    • pp.110-119
    • /
    • 2000
  • 1. Purpose and Method We do not have the Sasagn Consitutional Pharmacology exactly. So we use Sasagn Consitutional medical herbs based on the theory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herbology. So I try to objectify Sasagn Consitutional Classification of Gypsum Fibrosum in DongyiSooseBowon. Among the soyangin(少陽人) Pyobyung(表病) prescription, Fever MangYin Symptom(fever, headache, diarrhea) prescription include Gypsum Fibrosum, Cold MangYin Symptom(cold, pain in abdomen, diarrhea) prescription does not include Gypsum Fibrosum. So, I to make manifest the spirit of using Gypsum Fibrosum in Soyangin(少陽人) PyoByung(表炳), and the differences of two symptom, and the literature on this subject, I searched oriental medical books. 2. result 1. The management of Gypsum Fibrosum is to grind and make powder. 2. The spirit of using Gypsum Fibrosum in Soyangin(少陽人) Fever MangYi Symptom(fever, headache, diarrhea) prescription is Cleanse the Inside fever and Down the Outside Yin. 3. Fever MangYin Symptom(fever, headache, diarrhea) prescription include Gypsum Fibrosum, Cold MangYin Symptom(cold, pain in abdomen, diarrhea) prescription does not include Gypsum Fibrosum. and The Important syndrome of using Gypsum Fibrosum in Soyangin(少陽人) Fever MangYin Symptom(fever, headache, diarrhea) is fever and headache. 4. Gypsum Fibrosum is The representative herb on Soyangin FeverSymptom. 5. The site of therapeutic action of Gypsum Fibrosum is Wiguk(胃局) - Upper Juncho

  • PDF

Four Treatment Cases of Psoriasis of Soyangins Demonstrated by Yang Poison Exanthema (양독발반(陽毒發斑)으로 변증(辨證)한 소양인 건선 치험 4례)

  • Weon, Young-Ho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 /
    • v.34 no.3
    • /
    • pp.160-168
    • /
    • 2013
  • Psoriasis is a chronic, recurrent skin disease without any cure so far. The symptoms of the guttate psoriasis of Soyangins going through tonsillitis and of the psoriasis under the steroid rebound phenomenon are identical to one of yang poison exanthema of a Soyangin. The study administered Yangdokbagho-tang, which is used to cure yang poison exanthema of Soyangins, and, as a result, showed significant treatment results from these two types of four clinical cases. Sasang medicine is considered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to cure psoriasis, an obstinate skin disease.

A Study do parts of So-yin-In and So-yang-In (소음인(少陰人)·소양인편(少陽人篇)의 표병(表病)·이병(裏病)에 대한 고찰考察(표이음양승강(表裏陰陽升降)을 중심으로))

  • Lee, Eui-Ju;Song, Il-Byeong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
    • v.8 no.1
    • /
    • pp.43-56
    • /
    • 1996
  • As considering a study of the So-um-In and So-yang-In desease, I know each of Extra-disease (表病) and Intra-disease (裏病). I takes serious view of the Extra-Intra-Um-Yang-Up-Down (表裏陰陽升降). I try to join costitutional disease to the parts of human body, which base on the theory on Sa-sang constituional Medicine. And I make some diagrams of them. They could be summerized as follows. 1.The Extra-qi (表氣) is four-viscera (四臟) and four back parts of hurman body (後四海). The Intra-qi (裏氣) is four-digestive organs (四腑) and four fore parts of human body (前四海). 2. It is important that Yang-qi (陽氣) go up at So-um-In Extra-disease (少陰人 表病) and Um-qi (陰氣) go down at So-yang-In Extra-disease (少陽人 表病). And It is important that Um-qi (陰氣) go down at So-um-In Intra-disease (少陰人 裏病) and Yang-qi of Large Intestine (大關局) go up at So-yang-In Intra-disese (少陽人 裏病). 3. Looking into the Extra-disease, ◈ Sin-Yang-Gon-Yiel (腎陽困熱) and Ha-Cho-Chuk-Hyel (下篇蓄血) of So-um-In disease are the disease that Yang-qi don't go up from the buttock. So-Yang-sang-Pung (少陽傷風) of So-yang-In disease is the disease that Um-qi don't go down from the upper back. ◈ Yui-Ga-Sil (胃家室) of So-um-In disease is the disease that Yang-qi don't go up from the lower abdomen Gyel-Hung (結胸) of So-yang-In disease is the disease that Um-qi don't go down from the thorax. ◈ Mang-Yang (亡陽) of So-um-In disease is the disease that Yang-qi don't go up from Intra-qi so it go out to the Extra-qi. Mang-Um (亡陰) of So-yang-In disease is the disease that Um-qi don't go down from the Extra-qi so it go into the Extra-qi. ◈ Dea-Jang-Pa-Han of So-um-In disease and Sim-Ha-Gyel-Hung (心下結胸) of So-yang-In desease are half of Extra-qi and Inrea-qi. 4. Looking into the Intra-disease, ◈ The Intra-disease of So-um-In is Tae-um symtom (太陰證) and So-um symtom (少陰證). The So-um symtom is more severe than Tae-um symtom because a cold wave of Large Intestine (大腸冷氣) involve a warm wave of Stomach (胃局). ◈ The Intra-disease of So-yang-In is not to go up Yang-qi of Large Intestine. Deficit of Yang-qi from Large Intestine which go up at Stomach is more sever than deficit of Yang-qi from Stomach which go up at extremes.

  • PDF

체질별(體質別) 식품표(食品表)에 근거한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 소양인(少陽人) 당뇨식단(1800kcal)의 초보(初步)적 제시

  • Kim, Ji-Yeong;Go, Byeong-Hui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
    • v.8 no.1
    • /
    • pp.395-411
    • /
    • 1996
  • 1. 연구배경 사상체질의학(四象體質醫學)을 창시하여 개인(個人)의 차별성(差別性)을 강조한 동무(東武) 이제마(李濟馬)는 양생(養生)의 방법(方法)에서도 체질별(體質別) 요법(療法)을 말하고 있는데 체질별(體質別)로 과소지장(過小之臟)의 기능(機能)이 정상적(正常的)으로 이루어지는 상황을 완실무병(完實無病)의 조건으로 제시(提示)하였고 이를 위한 수단(手段)으로 성정(性情)과 함께 약물(藥物), 식품(食品) 등을 이용하였다. 특히 식이요법(食餌療法)에 있어서도 체질(體質)에 따른 구별(區別)의 필요성(必要性)을 말하고 있는데 식품(食品)이라 하더라도 그 음식(飮食)을 섭취하여 과대(過大)한 장기(臟器)의 기능(機能)은 유제(柳制)하고 과소(過小)한 기능(機能)은 보완(補完)받음으로써 불균형(不均衡)을 조정(調整)한 것이다. 당뇨병의 식단 작성은 평생동안 열량(熱量)과 영양소(營養素) 필요치(必要置)을 맞출 것을 권장하고 당뇨병학회에서 편집한 식품교환표(食品交換表)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일반적(一般的)인데 식품교환표(食品交換表)는 많은 식품(食品)들중에 같은 영양소를 가진 식품(食品)들을 한 그룹으로 묶어 환자(患者)의 기호(嗜好)에 따라 교환(交煥)해 가면서 먹을 수 있도록 고안(考案)한 것이니 이에 지시한 수량(數量)만 섭취해도 저(低)cal식(食)으로 관양(管養)의 균형(均衡)이 잘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체질별로 이로운 식품표에 근거하여 식이요법(食餌療法)이 특히 강조되고 하루 섭취열량이 제한되는 성인병중의 하나인 당뇨병(糖尿病)의 식단(1800kcal)을 식단작성법에 따라 구성(構成)하여 몇가지 예를 제시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 소양인(少陽人)의 당뇨 환자 1800kcal에 대한 식단을 구성하여 제시했는데 즉, 태음인(太陰人)의 식단은 태음인(太陰人)에 유리(有利)한 식품(食品)들로 구성하고 해(害)로운 식품(食品)들은 제외시키는 방법(方法)을 이용하였다. 이 식단은 다분히 이론적(理論的)인 식단으로 임상(臨床)에 이용(利用)하여 본 바는 없으나 동량(同量)의 열량(熱量)을 섭취(攝取)하더라도 체질(體質)에 적합(適合)한 식품(食品)으로 구성된 식사(食事)가 각 체질의 섭생(攝生)에 더 유리(有利)하지 않올까 하는 단순(單純)한 사고(思考)에 바탕을 둔 것이다. 2. 연구방법 1) 후세가(後世家)가 주장(主張)한 체질별(體質別) 식품(食品) 분류(分類)를 종합, 정리한 체질별(體質別) 식품표(食品表)를 제시한다. 박석언의 동의사상대전, 박인상의 동의사상요결, 송일병의 알기 쉬운 사상의학, 홍순용의 사상진료보원, 홍순용, 이을호의 사상의학원론에서 체질별로 유익한 식풍을 조사하여 곡류, 과일류, 채소류, 어패류, 육류로 분류하여 살펴본다. 2) 당뇨병(糖尿病) 식이요법의 식단 작성법의 개요(槪要)를 제시한다. 3) 1)의 체질별(體質別) 식품표(食品表)로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 소양인(少陽人)의 당뇨 식단 1800kcal을 작성해 제시(提示)한다. 체질별(體質別)로 유익(有益)한 식품(食品)은 1)의 식품표에 근거(根據)하고 체질별(體質別)로 해(害)로운 식품(食品)은 노정우(盧正祐), 한동석(韓東錫)의 주장에 근거(根據)한다. 3. 결과 체질별(體質別) 식품표(食品表)는 후세가의 연구를 종합하여 제시(提示)하였고, 식품(食品)을 분류(分類)한 후(後) 약명(藥名)과 성미(性味), 귀경(歸經)을 찾아 도표화 하였다. 체질별 식품들은 대부분 소음인(少陰人)의 경우 신감(辛甘) 온열(溫熱)하며 비위(脾胃)로 귀경(歸經)하고 태음인(太陰人)의 경우 감신(甘辛) 온열(溫熱)하며 폐간(肺肝)으로 귀경(歸經)하고 소양인(少陽人)의 산고(酸苦) 양한(凉寒)하고 신(腎)으로 귀경(歸經)함이 우세(優勢)함을 알 수 있다. 즉, 체질적으로 양성(陽性)인 소양인(少陽人)은 식품의 성질이 음성(陰性)인 것이 유리(有利)하고 체질적으로 음성(陰性)인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은 식품의 성질이 양성(陽性)인 것이 유리(有利)하다. 다양한 식품(食品)을 섭취하고자 하는 환자의 욕구(慾求)에 맞추면서도 식품교환의 범위를 체질별로 유익한 식품들로 제한하여 동일(同一)한 열량(熱量)의 식단이라도 체질에 맞는 식품으로 차별성(差別性)을 두었는데 식단의 작성은 전문 영양사의 의견을 거쳤다. 제시된 식단은 다소 이론적(理論的)으로 작성(作成)된 단계이고 임상적(臨床的) 검증을 거친 바 없으나 활용하기에 따라 실용성을 얻을 수 있으리라 본다. <식단예> 태음인의 식단: 곡류 : 콩, 율무, 밀가루, 밀, 수수, 들깨, 고구마, 땅콩, 기장, 옥수수, 두부, 설탕등 태음인에 유리한 식품으로 교환한다 어때류 : 우렁이, 대구, 조기, 민어, 청어, 오정어, 낙지, 미역, 김, 다시마등으로 교환한다 육류 : 소고기, 우유등으로 교환한다 과일류 : 밤, 배, 호도, 은행, 잣, 살구, 매실, 자두등으로 교환한다 채소류 : 무우, 도라지, 연근, 토란, 마, 고사리, 더덕, 목이버섯, 송이버섯, 석이버섯등으로 교환한다 해로운 음식 : 닭, 돼지, 모밀, 배추, 사과, 염소고기, 조개, 계란, 곳감, 커피등은 피한다 * 아침 ; 콩나물죽, 대구포묶음, 우령이무침, 갓김치, 우유, 자두 점심 ; 기장밥, 콩나물두부찌게, 장어양념구이, 도라지나물, 열무김치, 배 저녁 ; 수수밥, 두부명란, 더덕양념구이, 깍두기 * 아침 ; 비빔국수, 토란국, 알타리김치, 두유, 살구주스 점심 ; 율무밥, 낙지전골, 김무생채, 느타리나물무침, 동치미, 귤 저녁 ; 콩밥, 감자북어국, 두부묶음, 열무김치 소음인의 식단: 곡류 : 찹쌀, 좁쌀, 차조, 감자등 소음인에 유익한 식품으로 교환한다 어패류 : 명태, 미꾸라지, 뱀장어, 뱀, 메기등 육류 : 닭, 개, 꿩, 염소, 양, 참새고기등 과일류 : 사과, 귤, 복숭아, 대추등 채소류 : 미나리, 파, 마늘, 후추, 시금치, 양배추, 생강, 고추, 당근, 양파, 감자, 쑥갓등 해로운 음식 : 메밀, 호도, 계란, 고구마, 녹두, 돼지고기, 밤, 배, 배추, 보리, 쇠고기, 수박, 오이, 참외, 팥등은 피한다. * 아침 ; 찰밥, 닭찜, 감자전, 쑥갓나물, 부추김치, 사과 점심 ; 감자밥, 메기매운탕, 명태조림, 미나리, 고들빼기김치, 사과주스 저녁 ; 좁쌀밥, 양배추감자국, 병어양념구이, 연근양념조림, 귤, 인삼차.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