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ibiographical investigation of effect of GYPSUM FIBROSUM in Dongyi Soose Bowon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서의 석고(石膏)의 약리(藥理)에 대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 Jung, Kwang-hee (Dept. of Sasang Cons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Koh, Byung-hee (Dept. of Sasang Cons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Song, Il-byung (Dept. of Sasang Cons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정광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 고병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 송일병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1. Purpose and Method We do not have the Sasagn Consitutional Pharmacology exactly. So we use Sasagn Consitutional medical herbs based on the theory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herbology. So I try to objectify Sasagn Consitutional Classification of Gypsum Fibrosum in DongyiSooseBowon. Among the soyangin(少陽人) Pyobyung(表病) prescription, Fever MangYin Symptom(fever, headache, diarrhea) prescription include Gypsum Fibrosum, Cold MangYin Symptom(cold, pain in abdomen, diarrhea) prescription does not include Gypsum Fibrosum. So, I to make manifest the spirit of using Gypsum Fibrosum in Soyangin(少陽人) PyoByung(表炳), and the differences of two symptom, and the literature on this subject, I searched oriental medical books. 2. result 1. The management of Gypsum Fibrosum is to grind and make powder. 2. The spirit of using Gypsum Fibrosum in Soyangin(少陽人) Fever MangYi Symptom(fever, headache, diarrhea) prescription is Cleanse the Inside fever and Down the Outside Yin. 3. Fever MangYin Symptom(fever, headache, diarrhea) prescription include Gypsum Fibrosum, Cold MangYin Symptom(cold, pain in abdomen, diarrhea) prescription does not include Gypsum Fibrosum. and The Important syndrome of using Gypsum Fibrosum in Soyangin(少陽人) Fever MangYin Symptom(fever, headache, diarrhea) is fever and headache. 4. Gypsum Fibrosum is The representative herb on Soyangin FeverSymptom. 5. The site of therapeutic action of Gypsum Fibrosum is Wiguk(胃局) - Upper Juncho

1. 연구목적(硏究目的) 이제마(李濟馬) 선생께서 함흥에서 의업(醫業)을 열어 사상의학(四象醫學)을 제창한 지 100여 년이 지났으나 이제마(李濟馬) 선생께서 쓰신 약물(藥物)에 대한 연구(硏究)가 아직 정립(定立)이 되지 않아 기존(旣存)의 음양오행론적(陰陽五行論的) 관점(觀點)에서 사상(四象) 처방(處方)을 쓰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론고(論考)는 소양인(少陽人)의 대표적 약물인 석고(石膏)를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서 이병증약(裏病證藥)이라고 규정하면서도 비수한표한병증(脾受寒表寒病證) 처방(處方)에도 사용되는 예가 있어 표이병증(表裏病症)에서 쓰이는 용례(用例)와 올바를 수치법(修治法), 귀경(歸經), 소양인(少陽人)의 한열병증(寒熱病症)에서의 역할을 살펴보아 소양인(少陽人) 비수한표한병(脾受寒表寒病)에서 사용된 석고(石膏)의 운용(運用) 정신(精神)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 연구방법(硏究方法) 역대(歷代) 본초(本草) 의서(醫書)와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타남 기존(旣存) 음양오행론적(陰陽五行論的) 관점(觀點)에서 석고(石膏)의 본초론적(本草論的) 의미를 살펴보고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의 소양인(少陽人) 비수한표한병(脾受寒表寒病)의 망음증(亡陰證) 처방(處方)에서 석고(石膏)가 포함된 처방(處方)인 형방사백산(荊防瀉白散)과 저령동전자탕(猪笭東前子湯)과 같은 망음증(亡陰證) 처방(處方)이면서 석고(石膏)가 들어가지 않은 골석고삼탕(滑石苦參湯)과 형방지황탕(荊防地黃湯)의 두 처방군(處方群)을 비교하여 석고(石膏)가 소양인(少陽人) 비수한표한병(碑受寒表寒病)에 쓰이게 된 운용(運用) 정신(精神)을 살펴보고 소양인(少陽人) 이병증(裏病證)에서 석고(石膏)의 효능(效能)과 작용(作用) 부위(部位)를 살펴보아 소양인(少陽人) 한열병증(寒熱病證)에서의 석고(石膏)의 효용(效用)에 대해 알아보았다. 3. 고찰(考察) 및 결과(結果)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을 수 있었다. 1. 석고(石膏)의 수치법(修治法)은 감초수비(甘草水飛), 화가(火假)의 방법이 있으나 소양인약(少陽人藥)은 포, 자(炙), 초(炒), 법(法)을 사용하지 않고 소양인(少陽人) 병증(病症)에서의 석고(石膏)의 효용이 청열사화(淸熱瀉火)하는 기능이 강하므로 생석고(生石膏)를 감초수비(甘草水飛)하여 연세(硏細)하여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2. 석고(石膏)가 표병증약(表病證藥)인 형방사백산(荊防瀉白散)과 저령동전자탕(猪笭東前子湯)에 사용되는 양병(養病)이 같이 겸하여 표양겸병(表養兼病)에 청양열이강표음(淸養熱而降表陰)하는 치법(治法)에 사용되는 것이다. 3. 소양인(少陽人) 비수한표한병(脾受寒表寒病) 중에 망음증(亡陰證)은 신열두통설사(身熱頭痛泄瀉)의 망음(亡陰)과 신한복통설사(身寒腹痛泄瀉)의 망음증(亡陰證)으로 구별되며 신열두통설사(身熱頭痛泄瀉)의 망음증(亡陰證)에만 석고(石膏)가 쓰이게 되며 설사(泄瀉)의 유무(有無)와는 관계없이 신열두통(身熱頭痛)의 증장(證狀)으로 망음증(亡陰證)으로 전변(轉變)되는 증상(證狀)이 있을 때는 석고(石膏)를 사용하게 된다. 4. 석고(石膏)는 화열병증(火熱病證)으로 양화(陽化)되기 쉬운 소양인(少陽人)의 체질적(體質的) 특징(特徵)을 청열사화(淸熱瀉火)의 작용으로 소양인(少陽人) 보명지주(保命之主)인 음청지기(陰淸之氣)를 도와주는 대표적인 약물이다. 5. 석고(石膏)의 작용(作用) 부위(部位)는 중상초(中上焦) 부위(部位)인 위국(胃局)으로 위국(胃局)의 모양(耗陽)을 청열사화(淸熱瀉火)하여 소양인(少陽人) 이병증(裏病證)의 대전제(大前提)인 대변폐(大便閉)의 증상을 해소하여 청양(淸陽)을 상달(上達)시키는 작용을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神農本草經
  2. 本草從新 吳儀洛
  3. 本草求眞 淸.黃官繡(纂)
  4. 本草三家合註 張隱菴;棄天士;陳修園(共編著)
  5. 問答式本草學 申天浩(編譯)
  6. 國譯本草問答 淸.唐宗海;金俊錡(譯)
  7. 本草綱目 李時珍
  8. 尙志鈞 等 校点 宋. 唐愼微(撰)
  9. 四象醫學會誌 v.10 no.2 四象人의 體質病證藥理에 관한 考察 宋一炳
  10.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券 李濟馬
  11. 東醫四象新編 元持常
  12. 東醫壽世保元 李濟馬
  13. 東醫四象要訣 朴寅商
  14. 中藥大辭典
  15. 本草各論
  16. 國譯漢方醫藥大辭典 陳在仁
  17. 原本 東醫寶鑑 許浚
  18. 東醫壽世保元 金亨泰(圖)(編)(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