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비자체험조사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6초

여성화장품 소비자의 체험마케팅이 브랜드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양영순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41-164
    • /
    • 2006
  • 오늘날 새로운 마케팅 기법으로서 고객중심적인 체험마케팅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화장품 소비자의 체험마케팅이 브랜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설문조사는 국내 한 화장품회사의 체험행사에 참여한 여성으로 하였다. 설문은 체험마케팅 참여 전과 후로 나누어 두 차례 동일한 상대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연구결과 첫째, 체험마케팅 행사 참여 후 브랜드인지도의 향상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체험마케팅 행사 참여 후 브랜드 신뢰도도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험마케팅 행사 참여 후 브랜드충성도도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넷째, 체험마케팅 행사 참여 후 브랜드이미지도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브랜드 인식을 향상하는데 있어 체험마케팅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 PDF

매장에서 체험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n customer loyalty, store experience)

  • 김미지;김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4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2호
    • /
    • pp.373-37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체험마케팅 중에도 감성 마케팅과 관련한 매장 내 환경이나 소비자 관점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며, 특히 매장에서 경험하는 감각적 요소들이 소비자들의 소비감정과 어떻게 관련되고 소비자 행동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조사결과 감각, 감성, 관계/행동, 충성도 등을 분석한 결과 제안모델이 매장에서 체험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우수함을 제안하였다.

  • PDF

체험적 속성과 기능적 속성에 대한 소비자 제품평가 (Consumer's Product Evaluation on the Experiential Attributes & Functional Attributes)

  • 민병권;정용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30-240
    • /
    • 2009
  • 본 연구는 정보처리과정과 선택에 대한 주류 마케팅 패러다임에 대한 대안으로써 진화론적 관점의 인지과학에 기초한 소비자 체험이론을 제안하고 있다. 소비자 체험이론은 체험적 모듈, 일차단계체험 및 이차 단계체험, 그리고 체험모듈의 위계구조라는 3개의 이론적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본 이론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소비자 제품 평가에 대한 체험적 속성과 기능적 속성들의 영향을 조사하고 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들은 지적 자극(예: 기능적 속성)보다 감각적이고 감정적인 자극(예: 체험적 속성)에 대해 보다 빠르게 반응하였다. (2) 체험모듈 유형(기능적 vs. 체험적) $\times$ 템포(정상 vs. 빠름) $\times$ 제품지식(초보자 vs. 전문가)의 상호작용이 제품평가에 대해 발생하고 있다.

쇼핑체험과 충동구매간 관계에서 의류 구매자의 조절초점 역할에 관한 연구 (The Moderating effects of clothing consumers' regulatory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opping experience and impulsive buying)

  • 서용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2호
    • /
    • pp.237-257
    • /
    • 2013
  • 본 연구는 쇼핑체험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비자의 조절초점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검토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즉 의류매장에서 느끼는 쇼핑체험이 소비자의 조절초점성향에 따라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한다. 실증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류매장의 체험요소인 감각적 체험과 감성적 체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충동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합리적 체험은 충동구매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쇼핑체험 요소가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은 소비자의 조절초점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감성적 체험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은 예방초점 소비자보다는 향상초점 소비자에게서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합리적 체험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부(-)적 영향은 향상초점 소비자보다는 예방초점 소비자집단에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소비자의 쇼핑체험은 충동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은 소비자의 조절초점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결혼유무에 따른 증강현실(AR) 메이크업 체험이 여성 소비자 행동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n Female Consumer Behavior and Purchase Intention : The experience of AR makeup based on marital status)

  • 김은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49-57
    • /
    • 2020
  • 시간이 지남에 따라 뷰티산업은 성숙한 산업으로 접어들게 되면서 변화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게 되었다. 현실적으로 뷰티산업 중에 가상체험 마케팅(Virtual ExperimentalMarketing)을 위한 AR시장은 점점 커지고 있다.미국의 FACEBOOK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도 AR에 투자를 많이 하고 있다. 현재 증강현실을 활용한 모바일 앱은 소비자들에게 많이 소개된 유형이므로 AR앱을 체험 마케팅의 트렌드를 쫓고 있다. 따라서 증강현실 기법을 사용하는데 모바일 AR앱을 통한 체험콘텐츠에 있어서 미혼과 기혼 여성을 중심으로 증강현실을 접목한 메이크업 체험이 여성 소비자들의 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소비자가 느끼는 체험의 만족도를 매개로 구매의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를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신기술인 증강현실 마케팅이 활발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총체적인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메이크업이 접목된 증강현실의 개발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공연이벤트의 예술과 여가 체험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rt and leisure experience on audience behaviors for performing event)

  • 손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82-85
    • /
    • 2012
  • 본 연구는 소비자 행동연구에서 최근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는 체험에 관한 연구로써, 공연이벤트를 경험한 관객의 체험을 통한 공연이벤트 마케팅 방안에 도움이 되고자 실시되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공연거리인 서울 동숭동 대학로에서 조사된 자료를 토대로 관객특성에 따른 체험의 차이와 공연이 벤트의 체험이 관객의 후속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공연이벤트의 체험에 따른 시장세분화 및 표적시장 전략이 가능하며, 공연이벤트의 체험이 관객의 행동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공연이벤트의 체험마케팅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공연이벤트의 '여가체험'은 중요한 변수로써 공연이 예술의 순수성만을 부각할 것이 아니라, 관객의 여가체험을 극대화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브랜드 체험 및 개성이 소비자-브랜드 관계, 브랜드 애착,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외 브랜드 커피전문점 비교 - (The Effects of Brand Experience and Personality on Consumer-Brand Relationships, Attachment, and Loyalty - A Comparison of Domestic and Global Brand Coffee Shops -)

  • 홍주영;김성수;한지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31-251
    • /
    • 2016
  • 본 연구는 커피전문접 브랜드 체험 및 개성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애착도,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커피전문점 국내 브랜드와 국외 브랜드를 비교하여 커피전문점 브랜드의 성공적인 마케팅전략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자기기입방식을 활용하였으며, 서울, 경기 지역의 20~40대의 커피전문점을 이용해 본 소비자를 대상으로 2014년 8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 500부를 배포하여 495부를 회수했으며 그 중 493부만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피전문점 브랜드 체험 중 인지적 체험이 감각적 감성 체험에 비해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더욱 크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개성 중 세련이 흥미에 비해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더욱 크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체험 중 인지적 체험만이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감각적 감성 체험은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개성 요인 중 흥미만이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세련은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브랜드 애착에 비해 브랜드 충성도에 더욱 크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내 브랜드와 국외 브랜드를 비교분석한 결과, 국내 브랜드의 경우, 브랜드 개성 요인 중 세련만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외 브랜드 경우, 브랜드 개성 요인 모두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전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산 임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 (Consumer's Recognition on Naturally-Grown Forest Products)

  • 민경택;구자춘;김명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668-676
    • /
    • 2015
  • 이 논문은 자연산 임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사하여 수요측면에서 산림복합경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시 가구 64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비자들이 산지재배 임산물을 구입하는 이유는 영양 효능과 안전성 때문이며, 같은 임산물이라도 밭 재배보다 품질이 우수하다고 응답하였다. 산지재배 임산물이 친환경 밭 재배 작물보다 선호되기는 하지만 자연산 인정 여부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소비자들이 임산물 속성 가운데 중요시하는 요소는 품질과 효능으로 나타나 이를 강조하는 마케팅이 요구된다. 소득이 증가하면 신선도와 가격보다 자연산 여부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취체험이 자연산 임산물 구매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산림복합경영의 활성화를 위해 자연산 인증을 통해 소비자 신뢰를 획득하고 체험 관광과 연계하는 6차산업화 추진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Effects of Live Commerce's Experience Economy Factors on Consumer's Flow,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 Na-eun Jung;Hyung-Seok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55-66
    • /
    • 2024
  • 본 연구는 Pine &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을 바탕으로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소비자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는 라이브 커머스의 체험요소(4Es)를 선정하고 체험요소, 몰입, 태도,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라이브 커머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mart PLS 4.0을 활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체험요소에 해당하는 오락적 체험, 심미적 체험, 교육적 체험, 현실도피적 체험은 몰입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락적 체험, 교육적 체험은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미적 체험과 현실도피적 체험은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몰입은 태도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라이브 커머스의 체험요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및 마케팅 전략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비자 체험조사를 통한 타월 만족도 분석 연구 (Towel Experience and Consumer Satisfaction)

  • 송경헌;허미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063-1070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12 types of towels with differing fabric material, function, quality, printing, pile length, twist, etc. from a towel company which manufactures and distributes products domestically. After 3 months of use by consumers, a consumer satisfaction survey was administered and results analyzed. Four types of towels were assigned to each group and the towels were used every day for 3 months. Participant feelings after using the towel for the first time and after using it for three months were investigate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6 questions on a 5-point Licket-type scale. The first 13 questions measured perceptions of absorption, touch, fine fiber loss, contamination, deformation, drying speed, and design. Other questions compar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owel types in terms of their material, function, quality, printing, pile length, and degree of twisting. Results showed that, with regards to weight, consumers preferred towels between 130~150g and a thickness of around 1.7~1.8mm. The bamboo towel was considered superior to the cotton towel in terms of sense of touch and did not happen linter after washing. The antibacterial towel was considered better than the cotton towel in terms of absorption but in terms of contamination, participants felt the antibacterial towel became dirty more easily than the cotton towel. We thought that it might be influence of the color of towel. Low-quality towels became stiffer and misshapen more easily than higher-quality towels. But the study showed that the consumers did not percei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wels' quality. Printed towels became thinner and their color changed more with washing. The consumers preferred the design of jacquard towels to printed towels. Towels with short piles was happened more linter than the towel with long pile after washing. Non-twisted towel were better than the highly-twisted towel in terms of sense of touch and absorption but the non-twisted towel happened more linter after washing and became dirty more easi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