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방업무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1초

일부 남성 소방직공무원의 수면의 질 및 그의 관련요인 (The Quality of Sleep and Its Relating Factors in Firefighting Officers)

  • 최지현;김광환;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51-458
    • /
    • 2018
  • 본 연구는 소방직공무원들의 수면의 질을 평가하고, 이들의 일반적 특성, 건강습관특성 및 직업적 특성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는 2016년 10월에 D광역시의 5개 소방서에 근무하고 있는 남성 소방직공무원 600명을 대상으로 Pittsburgh대학에서 개발한 수면의 질에 관한 질문 표(PSQI)를 사용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의 13.2%는 "수면의 질이 좋은 군"으로, 86.8%는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군"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및 건강습관 특성별 수면의 질은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흡연군보다 비흡연군에서,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높다는 군보다 낮다는 군에서 "수면의 질이 좋지 않다는 군"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직업적 특성별 수면의 질은 다른 업무보다 화재진압을 한다는 군에서, 비교대근무군보다 교대근무군에서, 업무의 신체적 부담이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업무에 대한 적성도가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현재의 소방직에 대한 직업전환의사가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수면의 질이 좋지 않다는 군"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 음주상태, 주관적인 수면의 질, 근무경력, 직위, 업무의 신체적 부담정도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4.4%이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소방직공무원들의 수면의 질은 일반적 특성, 건강습관 특성 및 직업적 특성의 여러 요인들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2차원 소방대상 시설물도면의 3차원 공간정보 구축방안 (Establishment Strategy of 3D Spatial Information from 2D Facility Drawing Related to Fire Fighting)

  • 이윤;김인현;최윤수;오규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5호
    • /
    • pp.47-54
    • /
    • 2010
  • 기존의 소방대상시설물 도면은 이미지도면이나 CAD도면 형태의 2차원 도면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의 형태도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소방방재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신속 정확한 대응체계를 위해서는 기존의 2차원 도면형태로 구축된 도면을 3차원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방재 대상이 되는 2차원 건축도면을 3차원 공간정보로 손쉽게 구축하기 위하여 건축도면에 대한 분석과 3차원 공간정보 데이터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3차원 공간정보로 변환할 수 있는 툴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소방대상 2차원 도면의 3차원 변환방법을 통하여 다량의 2차원 도면을 3차원 공간정보로 쉽게 변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방방재 업무의 활용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국내 공항 구조 및 소방 업무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Domestic Airport Service for Rescue and Fire Fighting)

  • 한재현;정기연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9-74
    • /
    • 2008
  • Aircraft fires due to accident at an airport may be under a special situation. An outstanding characteristic of aircraft fires is their tendency to reach lethal intensity within a very short time. In domestic aviation act, there are regulations related to services coping with the aircraft accidents within an airport. To cope aircraft fires, it is necessary to define clearly the regulations and standards about the services and related activities of rescue and fire fighting, and to keep the regulations and standards. The study has been performed on the basis of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Airport Services Manual of rescue and fire fighting. The objective of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methods for standards applicable to actual service practices of rescue and fire fighting by analyzing through the comparis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gulations and standards.

  • PDF

산업체 재난 조기대응을 위한 최적재해경감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Disaster Reduction Program for Industrial Disaster Early Response)

  • 이근재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자료집
    • /
    • pp.211-215
    • /
    • 2010
  • 본 연구는 아직 초보수준인 국내기업의 업무연속성 유지를 위한 재해경감 활동계획 수립 및 실행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조기대응체계 구축을 통하여 어떠한 재난에도 안전을 기할 수 있는 기업 연속성 유지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국내 재난관리 표준으로 채택된 사고대비 및 업무연속성관리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였고, 국내기업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실행지침을 제시하였으며, A기업을 대상으로 재해경감활동계획수립 및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특히 사고대비 및 업무연속성관리의 가이드라인 5단계 주요 절차 중 계획수립단계의 위험 평가, 영향분석, 예방경감계획 및 대응관리계획 수립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였고 국내 재해경감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재난대응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기술 부분도 제시하였다.

  • PDF

소방시설관리업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Fire Protection System Management Workers)

  • 임경연;공하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6호
    • /
    • pp.142-151
    • /
    • 2019
  • 본 연구는 소방산업 중 소방시설관리업 종사자에 대하여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주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통제변수를 연령, 직급, 학력, 임금, 총 소방경력, 자격증, 담당업무로 하고, 직무만족에 대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이들 통제변수 중에서 담당업무에서만 있었고, 이직의도에 대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모든 통제변수에서 없었다. 그리고,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직무만족의 하위변수 중 임금과 조직체계에 대한 만족이 증가함에 따라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친 반면에 일 자체와 승진은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기술자 인적관리 및 대안창출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향후 연구과제로 직무만족을 상승시키기 위한 합리적인 보직 순환주기 설정을 위한 연구, 저가수주 현황조사와 대책에 대한 연구, 소방시설관리업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스마트기기 사용에 따른 소방관의 감정노동 통계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motional labor of firefighters using smart devices)

  • 신지훈;박부연;이재홍;송설경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297-1306
    • /
    • 2015
  •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다매체 119신고서비스의 도입으로 소방관들은 감정노동에 더욱 노출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소방관의 높아진 감정노동 수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소방관의 감정노동수준이 높을수록 직무 스트레스(${\beta}=0.166$, p=0.000)와 사회적 지지(${\beta}=0.540$, p=0.000) 정도는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나, 직무만족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beta}=-0.136$, p=0.000). 소방관들은 국민의 안전과 재산을 보호하는 중요한 업무를 수행하므로 이들의 직무만족 정도는 업무수행의 원동력이 된다. 이에 소방관의 감정노동을 관리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예방 교육과정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서울종합방재센터 상황실 재난상황관리능력 제고 방안 - 서울특별시 소방공무원 교육훈련을 중심으로 (A Study for Enhancing Disaster Operations Management at Seoul Emergency Operations Center - Focused on the Education and Training for Firefighters of Seoul)

  • 박순일;박찬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480-491
    • /
    • 2018
  • 연구목적: 서울종합방재센터 재난상황실 재난상황관리능력 제고를 위해서 조직몰입을 높이는 사회적 지원을 구성하는 하위차원의 체계적인 관리적 접근을 제기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감정노동을 독립변수로,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로 하여 사회적 지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근거해 재난상황관리 조직몰입을 제고시키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조직지원 차원에서, 재난상황관리업무 객관적 평가, 재난상황관리 감정노동 완화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재난상황관리 모니터링을 통해 상황관리 업무품질 개선과 업무 불균형 완화, 재난상황관리 직원의 업무 동기부여 및 보상책 마련, 재난상황실 소방공무원 감정노동 해결을 위한 체계적 업무 관리를 위해 재난상황 분석실 설치, 현재 상황관리 총괄팀과 재난상황관리 총괄운영 관리자, 재난상황관리 정보 분석가 및 개발자를 전문성을 갖춘 인재 충원이 필요하다. 둘째 관리자 지원 차원에서 역량있는 소방공무원 선발, 재난상황실 소방공무원에 대한 체계화된 단계별 감정노동에 대한 치유대책 마련, 감정노동 소방공무원을 위한 관리자의 상담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결론: 재난상황실 재난상황관리능력 제고를 위해서는 사회적 지원에 기반한 조직몰입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재난관리 공무원의 재난대응훈련에 관한 인식 연구 - 일반 행정직공무원과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isaster Management Officer's Perception about the Disaster Response Exercise - Focused on General Officers and Firemen -)

  • 고기봉;이시영;채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34-44
    • /
    • 2010
  • 본 연구논문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재난관리에 관한 총괄 조정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일반 행정직공무원과 긴급구조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재난대응훈련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결과 두 직렬공무원 모두 재난대응훈련에 동원되는 장비 및 훈련에 필요한 예산의 확보, 유관기관 사이의 네트워크 구축, 실제상황 및 지역특성의 반영, 훈련평가결과는 재난대응매뉴얼 및 다음 훈련에 반영, 훈련에 필요한 지휘통신 시스템의 확보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공무원 채용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the Fire Officers' Employment Regulations)

  • 이용재;현성호;김현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0-23
    • /
    • 2001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전문성 및 채용의 효율적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로, 설문조사 및 각종 공무원 채용방법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현재의 소방공무원 채용방법의 문제점을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소방관련학과 졸업생의 특별채용, 일반공개채용 및 처우에 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얻어진 결론은 특별채용의 확대실시, 업무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채용시험의 과목조정 등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