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 염색

검색결과 1,376건 처리시간 0.033초

아프리카 왕달팽이(Achatina fulica) 뇌신경절의 면역조직화학적 구조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Cerebral Ganglion of African giant Snail, Achatina fulica)

  • 장남섭;한종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1
    • /
    • 1999
  • 아프리카 왕달팽이(Achatina fulica)의 뇌신경절을 AB/AY 염색법과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아프리카 왕달팽이의 뇌신경절은 2 x 1 mm 정도 크기의 흰색 타원형체로 중앙은 직경 1 mm 정도의 대뇌교련부(cerebral commissure)에 의해 연결되어 있었다. 뇌신경절(cerebral ganglion)의 종단면은 나비모양으로, 세포의 분포형태에 따라 중배부위(medio-dorsal part), 측배부위(latero-dorsal part), 미배부위(caudo-dorsal part) 그리고 측엽부위(lateral lobe)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중배부위와 측배부위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는 LG 세포와 약간의 DG 세포로서, 이들은 혼재되어 나타났다. 그러나 측엽부위에서는 LG 세포와 DG 세포는 거의 관찰되지 않고, 주로 Y 세포만이 관찰되었다. LG 세포는 크기가 20-70 $\mu\textrm{m}$ 정도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세포로서 AB/AY 염색시 밝은 녹색으로 염색되고 핵질속에서는 과립상의 염색질이 고르게 분비되어 있으며, 1-3 개의 인이 관찰되었다. 세포질 속에는 분비성과립들이 고르게 발달해 있었다. DG 세포는 대부분 장타원형의 세포로서 LG 세포에 비해 약간 작았다. 이들은 m-b 이중염색에서 강한 methylenophilia를 보였고, AB/AY 염색에서는 진한 녹색으로 염색되었다. 이 세포는 rabbit anti-somatostatin antibody를 이용한 염색에서 노란색으로 염색되고, H-E 염색에서는 eosinophilia를 보여 호산성세포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BG 세포는 위의 세포들과는 달리 뇌신경절의 주변 부위 결합조직에서 관찰된 매우 드문 세포였다. 이들은 AB/AY 염색시 청녹색으로 염색되고, H-E 염색에서는 hematoxylin 에 강한 반응을 보였다.

  • PDF

Rhodamine B 염료의 토끼 망막 뮬러세포에 대한 선택적 염색 (Selective Accumulation of Rhodamine B in Müller cells in Rabbit Retina)

  • 권오주;이은실;전창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95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토끼 망막에서 특정 신경 세포 염색이 가능한 염료를 조사하였다. 방법: Rhodamine B를 토끼의 안구내 유리체강에 주입하였다. 24시간 후, 망막을 분리하여 현미경으로 염색 상태를 관찰하였다. 염색 된 세포는 그 종류를 알아보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적방법을 실시하였다. 결과: 망막 내핵층 중간 위치에서 선명하게 염색된 핵들이 관찰되었다. 염색된 세포의 분포도와 수가 뮬러세포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뮬러세포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vimentin 항체를 사용하였다. Rhodamine B에 의해 염색된 핵들은 vimentin 항체로 감싸져 있어 뮬러세포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Rhodamine B를 살아있는 망막에 넣을 경우 토끼 망막에 신경교세포의 특이적 염색이 나타났다.

태아 십이지장 내분인포군집의 형태 및 면역조직화학적 특성

  • 김은희;김곤섭;홍혜남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1
    • /
    • 1994
  • 임신 26주, 27주의 생명력이 없는 한국인 태아 2예를 대상으로 십이지장 점막에서의 장내분비세포군집(일부 일본인 학자들이 명명한 "Segi's cap")의 출현, 형태 및 구조를 관찰하고. 이들 세포군집에서 내분비세포들의 존재 및 면역조직 화학적 특징들을 관찰하고자, 파라핀조직절편과 냉동박절 후 hematoxvlin과 eosin염색. Azan염색, Comori법, 그리고 면역조직화학염색 표본을 제작,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얻었다 세포들의 군집 형태는 장 내강을 향해서는 오목한 형태였고, 기저막을 향해서는 볼록한 형태였다. 군집을 이룬 세포들은 중층을 이루었고. 술잔세포도 장 내캉목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내강쪽에 위치한 세포들의 경우 미세융모들의 줄무의가장자리는 관찰되지 않았다 Leuenkephalin, somatostatin, substance p,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 및 5-HT 항혈청을 이용하여 면역조직염색한 결과 somatostatin 양성반응세포와 5-HT 양성반응세포만이 관찰되었다. 이들 somatostatin 양성반응 세포와 5-HT 양성반응세포들은 대개가 원추형의 세포들로서 개구형을 이루고 있음을 관찰한 수 있었다.관찰한 수 있었다.

  • PDF

세르톨리세포 관찰을 위한 PA-TCH-SP-PD 염색의 적용 (Application of Periodic Acid Thiocarbohydrazide Silver Proteinate Physical Development ( PA-TCH-SP-PD) Stain to Observation of Sertoli Cell)

  • 박영석;이성호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31-339
    • /
    • 1998
  • 본 연구는 Sertoli 세포 column 과 Sertoli 세포돌기 미세구조의 연구를 위해 당질검출을 위한 PA-TCH-SP, -PD 투과전자현미경용 특수염색을 정세관에 적용한 후 각 정세포와 Sertoli 세포를 관찰하고 비교하여 이 분야 연구에 본염색법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PA-TCH-SP, -PD 특수염색을 개의 정세관에 적용하여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던 바, Sertoli 세포 column 과 돌기 부위에 수많은 반응과립이 관찰되었으며 정세관 기저부의 정조세포질에서도 약간의 반응과립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반응과립은 각 정세포의 핵, 정모세포질, 정자세포질 및 잔류체에는 존재하지 않아 반응과립이 존재하는 Sertoli 세포 colunm 과 돌기 및 정자세포질에 침투된 돌기들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었다. 따라서 PA-TCH-SP, -PD 염색법은 투과전자현미경하에서 Sertoli 세포 colunm 과 돌기의 형태학적 및 기능학적 연구에 대단히 유용한 염색법으로 사료된다.

  • PDF

3-Amino Propane Phosphoric Acid (3-APPA) : 새로운 피부 노화 억제 물질 (3-Amino Propane Phosphoric Acid (3-APPA) : A Novel Anti-Aging Substance)

  • 조윤기;변영훈;선보경;황재성;이보섭;김종일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1996년도 4차 심포지움(Skin Biology Efficacy)
    • /
    • pp.52-67
    • /
    • 1996
  • 새로운 노화방지 물질로 개발한 3-APPA가 노화에 의해 야기되는 여러 변화들, 특히 세포 증식, 유전자 수준 및 단백질 수준에서의 collagen의 생합성 변화,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이용한 collagen 생합성의 변화등을 세포배양 및 동물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MTT assay를 이용한 인체 피부 섬유아세포의 증식 실험에서 3-APPA는 무처치군에 비교해서 최고 2배의 섬유아세포 증식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3$[H]-proline incorporation 방법을 이용한 단층세포 배양 및 3차원 dermal equivalent 섬유아세포 배양에서 무처치군 및 vitamin C 처리군에 비해 최고 1.5배의 collagen 생합성 증가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type I alpha-procollagen mRNA expression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H&E 염색을 이용한 hairless mice의 피부에 대한 형태학적 변화 및 type I pM procollagen antibody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 3-APPA는 collagen 생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3-APPA는 섬유아세포 배양 및 hairless mouse를 이용한 실험에서 피부 섬유아세포 증식을 촉진시키며 collagen 생합성을 증가시켜 피부노화를 억제 할 수 있는 물질임을 밝혔다.

  • PDF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른 생쥐 난소의 TUNEL 염색반응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n the TUNEL Reaction of Mouse Ovary by X-ray Irradiation)

  • 윤철호;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2호
    • /
    • pp.135-142
    • /
    • 2007
  • 본 연구는 6 MeV LINAC에서 발생한 X-선을 생쥐 생체에 조사한 후 난소에서 난포의 형태적 변화 양상과 난포의 세포자연사가 일어나는 과정을 TUNEL 염색방법을 이용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정상난포와 퇴화난포 및 방사선이 조사된 난포에서 세포예정사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TUNEL 염색을 실시한 결과, 정상난소의 퇴화난포에서 양성반응을 보이는 과립층세포들은 갈색을 띠고 있었고, 핵은 응축되어 나타났다. 그러나, 정상난포에서는 양성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X-선을 조사한 난소의 난포는 TUNEL 염색에 강한 양성반응이 나타났고, 600 cGy의 X-선 조사에서 난모세포는 이미 세포예정사가 진행되어 파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난포막을 형성하고 있는 난막세포의 핵들도 양성반응으로 나타나, 갈색으로 염색이 되었으며, 수질의 결합조직세포들의 핵도 갈색으로 염색되어 관찰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세포들은 세포예정사가 진행되어 있으며, apoptotic body들이 난포 내에 산재되어 있었다. 이 시기의 난소조직의 전반적인 염색도는 저선량의 X-선 조사에서보다 더 현저히 강한 염색성이 나타났다.

마우스 골수세포와 말초혈액을 이용한 Giemsa와 Acridine orange를 이용한 염색법 비교

  • 박지은;이성학;최재묵;김일환;김택로;노현정;김영훈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7-47
    • /
    • 2003
  • Acridine orange를 이용한 염색법은 OECD guideline 474에 채택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염색법으로 Giemsa를 이용하였을 때 보다 artifact를 구별하기 쉬우며 숙련되지 않는 관찰자도 쉽게 소핵을 구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시험에서는 신약의 초기 screening단계에서 유전독성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마우스 골수세포와 말초혈액을 이용하여 Geimsa와 Acridine orange염색법을 비교하였다. (중략)

  • PDF

유성견에서 상악골 급속확장 후 정중구개봉합부에서의 골조직 변화 (THE BONE CHANGES OF THE MIDPALATAL SUTURE AFTER RAPID PALATAL EXPANSION IN YOUNG ADULT DOGS)

  • 박창욱;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91-399
    • /
    • 1997
  • 급속정중구개확장 후 봉합부에서의 골조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유성견 4마리중 1마리는 대조군으로, 3마리는 실험군으로 사용하여 상악골에 급속정중이개장치를 장착한 후 매일 아침, 저녁으로 2회전($180^{\circ}$)씩 활성화시켜 8일간 정중이개를 시킨 직후, 보정 14일후, 보정 28일후에 각각 희생시켜 정중구개봉합부를 절취하여 각각 통법에 따라 H-E 염색, Villanueva 염색,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염색, tartrate저항성 산성분해효소 염색을 시행하여 봉합부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중구개봉합 확장 직후, 교원섬유 다발은 신장되었고 조골세포는 비활성화된 양상으로 소수 관찰되었으며 소수의 골양조직도 관찰되었다. 또한 수평절단 표본에서는 TRAP 염색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세포가 소수 관찰되었으나 전두절단 표본에서는 구개골의 성장방향에 따라 비강에 인접한 부위에서 TRAP 염색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파골세포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2. 정중구개봉합 확장 14일후, 교원섬유다발은 신장되었고 ALP 염색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조골세포가 소수 관찰되었으며, 수평절단 표본에서는 TRAP 염색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세포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나 전두절단 표본에서는 구개골의 성장방향에 따라 비강에 인접한 부위에서 TRAP 염색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파골세포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3. 정중구개봉합 확장 28일후, 교원섬유다발은 대조군과 유사한 양상으로 배열되었고 ALP 염색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조골세포가 다수 관찰되었으며 많은 양의 미성숙골이 형성되었고, 수평절단 표본에서는 TRAP 염색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세포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나 전두절단 표본에서는 구개골의 성장방향에 따라 비강에 인접한 부위에서 TRAP 염색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파골세포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정중구개봉합부를 급속확장시킨 후 신생골 형성은 보정 14일이 지난 후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며, 보정 28일이 지난 후에는 신생골형성이 훨씬 왕성하게 진행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갑상선 미세 유두암종에서 Galectin-3, Cytokeratin 19와 HBME-1의 발현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Galectin-3, Cytokeratin 19 and HBME-1 in Papillary Microcarcinoma of the Thyroid Gland)

  • 김진환;이상숙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3-137
    • /
    • 2007
  • 갑상선 미세유두암종은 영상 기술의 발달로 더욱 그 빈도가 높아질 것이 예상되므로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갑상선 미세 유두암종으로 진단 받은 37예를 대상으로 galectin-3, cytokeratin 19와 HBME-1 분자 표지자들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한 결과 cytokeratin 19에서 1예를 제외하고 모든 예에서 갑상선 종양 세포에서 발현하였다. Galectin-3는 갑상선 종양 세포의 세포질에 강하게 염색되었으며 cytokeratin 19는 세포질과 세포막을 따라 강하게 염색되었다. HBME-1은 종양 세포의 세포막에 강하게 염색되었으나 3가지 분자 표지자 모두 정상 갑상선 조직에서는 염색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galectin-3, cytokeratin 19와 HBME-1은 병리조직학적 소견과 함께 갑상선 미세 유두암종을 진단함에 있어 보조적 도움이 되는 표지자로 생각된다.

꿩 전위의 비만세포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n the Mast Cell of Proventriculus in Pheasant (Phasianus colchicus))

  • 이영훈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7-100
    • /
    • 2005
  • 꿩 비만세포는 원형, 난원형, 방추형 또는 부정형이었고 세포질돌기를 가지고 있었다. 꿩 비만세포는 Karnovsky 용액으로 고정했을 때 가장 좋은 염색성을 얻었고, Toluidine blue로 염색을 했을 때 비만세포의 과립은 이염색성(meta-chromatic)을 나타내었다. 비만세포의 세포질에는 막으로 둘러싸인 과립과 발달이 미약한 세포소기관으로 채워져 있었다. 비만세포의 과립은 원형과 난원형이었고 일부 과립은 막이 함몰된 오목한 모양과 밖으로 돌출된 볼록한 모양이었다. 과립 속의 구조는 동질성, 입자형 또는 망상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