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Cerebral Ganglion of African giant Snail, Achatina fulica

아프리카 왕달팽이(Achatina fulica) 뇌신경절의 면역조직화학적 구조

  • 장남섭 (목원대학교 이공대학 생명과학부) ;
  • 한종민 (목원대학교 이공대학 생명과학부)
  • Published : 1999.06.01

Abstract

An immunohisochemical study on the cerebral ganglion of the African giant snail, Achatina fulica.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AB/AY staining and the avidin-bovine-peroxidase complex staining method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out the study. The cerebral ganglion of Achatina fulica is an ellipsoidal body of 2 x 1 mm in size, which is connected by the cerebral commissure of 1 mm in diameter. The cross-section through the cerebral ganglion, shaped like a butterfly, is divided into the medio-dorsal parts, the latero-dorsal parts, the caudo-dorsal parts, and the lateral lobes. In the medio-dorsal and latero-dorsal parts, the LG cells and the DG cells are found mixed, although the LG cells are dominant. In lateral lobe, however, the Y cells are quite dominant, while the LG cells and the DG cells are seldom found. The LG cells are 20-70 $\mu\textrm{m}$ in sizes and circular or ellipsoidal in shapes. They are stained light green with the AB/AY. 1 - 3 nucleoli are found in karyolymph, where granular chromantins are evenly distributed. In cytoplasm, it is found that the secretory granules are evenly developed.

아프리카 왕달팽이(Achatina fulica)의 뇌신경절을 AB/AY 염색법과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아프리카 왕달팽이의 뇌신경절은 2 x 1 mm 정도 크기의 흰색 타원형체로 중앙은 직경 1 mm 정도의 대뇌교련부(cerebral commissure)에 의해 연결되어 있었다. 뇌신경절(cerebral ganglion)의 종단면은 나비모양으로, 세포의 분포형태에 따라 중배부위(medio-dorsal part), 측배부위(latero-dorsal part), 미배부위(caudo-dorsal part) 그리고 측엽부위(lateral lobe)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중배부위와 측배부위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는 LG 세포와 약간의 DG 세포로서, 이들은 혼재되어 나타났다. 그러나 측엽부위에서는 LG 세포와 DG 세포는 거의 관찰되지 않고, 주로 Y 세포만이 관찰되었다. LG 세포는 크기가 20-70 $\mu\textrm{m}$ 정도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세포로서 AB/AY 염색시 밝은 녹색으로 염색되고 핵질속에서는 과립상의 염색질이 고르게 분비되어 있으며, 1-3 개의 인이 관찰되었다. 세포질 속에는 분비성과립들이 고르게 발달해 있었다. DG 세포는 대부분 장타원형의 세포로서 LG 세포에 비해 약간 작았다. 이들은 m-b 이중염색에서 강한 methylenophilia를 보였고, AB/AY 염색에서는 진한 녹색으로 염색되었다. 이 세포는 rabbit anti-somatostatin antibody를 이용한 염색에서 노란색으로 염색되고, H-E 염색에서는 eosinophilia를 보여 호산성세포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BG 세포는 위의 세포들과는 달리 뇌신경절의 주변 부위 결합조직에서 관찰된 매우 드문 세포였다. 이들은 AB/AY 염색시 청녹색으로 염색되고, H-E 염색에서는 hematoxylin 에 강한 반응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