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성면역반응

검색결과 632건 처리시간 0.023초

항원제시세포를 이용한 암 치료제 개발전망 (The Prospective of Antigen-presenting Cells in Cancer Immunotherapy)

  • 심두희;이재화
    • KSBB Journal
    • /
    • 제19권6호
    • /
    • pp.415-420
    • /
    • 2004
  • 전 세계적으로 암의 발병률의 증가하고 있고 또한 그 수는 해마다 증가하는 실정이다. 암은 성장양상에 따라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으로 나뉘는데 암으로 구분되는 악성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여러 가지 치료법들이 시행되고 또 개발되고 있다. 그중에서 dendritic cells (DCs)는 인체 내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적응면역에 관여하는 cytotoxic T cell (CTL)에 항원을 제시하여 CTL로 하여금 종양세포를 직접적으로 공격하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여기에는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artificial antigen-presenting cell (aAPC)을 이용한 치료법이 개발되고 있다. 가용성의 human leukocyte antigen-immunoglobulin fusion protein (HLA-Ig)를 기초한 aAPC은 DCs의 단점을 보완한 항원제시세포로써 DCs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CTL반응을 유도해 낼 것으로 기대한다. 본 총설에서는 이 DCs의 역할과 이들을 이용한 암 치료법에 대해서 논하고 그 개발 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폐결핵환자의 말초혈액에서 Activated T Cell의 변화 (Immunocytochemical Study on the Change of the Activated T Cells in Peripheral Blood of the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 류경렬;박은숙;박종화;정판준;황영실;이왕재;장가용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6호
    • /
    • pp.823-830
    • /
    • 1995
  • 연구배경: 결핵감염시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이 관여하여 말초혈액내 조력 T 세포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저왔다. 그러나 말초혈액내 표지물질을 가진 세포의 수적 감소가 세포매개성 면연반응의 저하라고 할 수있지 여부가 앞으로 해결해야 될 문제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폐결핵 환자들의 말초혈액에서 활성화된, 또는 활성화 되고 있은 세포의 수적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객담 결핵균 양성인 폐결핵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말초혈액에서 IL-2R, VLA-1, TLiSAI의 활성화 표지에 대한 단세포군 항체를 면역조직 화학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1) 폐결핵 환자의 말포혈액에서 $T_1$(+) 세포 및 그 아형들의 단위 부피당 절대수는 $T_4$(+) 세포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T_8$(+) 세포는 증가하였다(p<0.05). 2) 폐결핵 환자에서 전체 T임파구의 비율은 감소되어 있으며 $T_4$(+) 세포, $T_8$(+) 세포비율은 각각 유의하게 감소, 증가하였다. 또한 $T_4(+)/T_8(+)$ 비율도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p<0.05). 3) 폐결핵 환자에서 activated T cell의 단위 부피당 절대수는 대조군에 비해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4) 폐결핵 환자에서 activated T cell 비율은, IL-2R, VLA-1, TLiSAI, 각각 6.45+1.56%, 7.64+1.34%, 10.45+1.16%로 모두 대조군에 비해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이며 특히 TLiSAI 항체가 가장 많이 관찰 되었다. 결론: 폐결핵 감염시 말초혈액 임파구의 일부만이 활성화되어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에 참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admium이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admium exposure on the immune respons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변주영;유민호;전려진;이형호;정현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7-102
    • /
    • 2001
  • 어류의 면역반응에 대한 cadmium (Cd)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를 각기 다른 방향으로 Cd에 노출시킨 후 특이적 면역반응의 변화와 Edrwrdsiella tarda KFE (E. tarda KFE)의 인위감염에 대한 저항성을 분석하였다. E. tarda KFE의 formalin killed cell (FKC)로 면역시키기 2주전부터 계속하여 실험 기간동안 침지법으로 Cd(20ppb)에 노출된 시험구는 노출되지 않은 시험구와 양성 대조구보다 혈청 내 특이 항체가가 빠르게 최고치에 이르렀으나, 감소속도는 노출시키지 않은 양성 대조구에 비하여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splenocytes를 ELISPOT-assay (enzyme-linked immunospot assay)를 이용하여 특이 항체 생성 세포 (specific antibody secreting cell, SASC) 수를 분석해 보았을 때에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면역 전 2주 동안만 Cd에 노출시킨 시험구에서는 혈청내 항체생성 결과와는 달리 증가된 SASC의 수를 보여 주었다. 그리고 면역 2주 전부터 실험 전기간동안 계속해서 Cd에 노출시킨 넙치를 대상으로 하여 E. tarda FKC 생균으로 인위 감염시켰을 때 100% 폐사율을 보여 주었다. 이것은 Cd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어류에서의 방어 체계는 면역반응뿐만 아니라 독성효과도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복합적인 것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크론병과 병발한 결절성경화증 1예 (Tuberous Sclerosis Complex with Crohn's Disease)

  • 김민희;이윤진;김재영;이윤영;강준원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4-287
    • /
    • 2018
  • 결절성경화증은 두 개의 유전자 TSC1 (Encoding hamartin, 9q34)과 TSC2 (Encoding tuberin, 16p13) 중 하나의 돌연변이로 발생하는 상염색체 우성 질환이다. 위 유전자에 문제가 생기면 종양 억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과오종이 생기며 뇌, 신장, 심장, 눈, 폐, 기타 다른 기관들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성 질환이다. 크론병은 명확하게 밝혀 지지 않은 만성 면역 매개성 질환이다. 이는 유전적 소견이 있는 소화관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에 대한 우리 몸의 과도한 면역 반응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위 두 개의 질환이 동시에 발병하는 경우는 없었으나, 본 저자들은 결절성경화증 환자가 크론병을 앓고 있는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2세 남자 환아가 복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 시 결절성경화증에서 보이는 피부 병변이 보였다. 안저 검사 결과 오른쪽 망막에 과오종이 발견되었다. 뇌자기공명영상에서 뇌실막밑거대세포 별아교세포종이 나타났고 결절성경화증으로 진단할 수 있었다. 혈액검사 결과 적혈구 침강 속도와 C-반응성 단백질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부 초음파 검사에서 모든 근위 결장 및 상행 결장, 회맹판, 말단 회장의 혈류 증가로 벽이 두꺼워져 있었다. 대장 내시경 검사 결과 회장, 회맹판 및 맹장의 불연속 궤양과 염증 소견이 보여 크론병으로 진단되었다. 환아는 뇌실막밑거대세포 별아교세포종의 치료를 위해 everolimus를 경구 투여 하였으나 크론병이 악화되어 사용과 중단을 반복하였다. 결절성경화증에서 크론병의 병발이 가능하고 뇌실막밑거대세포 별아교세포종의 치료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복통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크론병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결핵 환자에서 면역학적 지표로서의 sIL-2R, IFN-$\gamma$, Neopterin에 관한 연구 (Soluble IL-2R, IFN-$\gamma$ and Neopterin as Immunologic Markers in Patients with Tuberculosis)

  • 류연주;유금혜;김수현;이종수;천선희;서주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3호
    • /
    • pp.294-308
    • /
    • 2002
  • 연구배경 :결핵은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이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감염성 질환이다. 결핵균 항원으로 T 림프구가 활성화되면 여러 종류의 cytokine을 분비하며 T 림프구의 분화와 증식,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촉진한다. 본 연구에서는 결핵의 중증도, 숙주의 면역상태 및 예후를 반영하는 지표로서 활성화된 T 림프구에서 만들어지는 IL-2의 수용성 수용체인 sIL-2R와 IFN-$\gamma$를 측정하였고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neopterin을 측정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판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활동성 폐결핵 환자 39명, 결핵성 림프절염 환자 6명의 치료전과 정상 대조군 10명에서 혈청 sIL-2R, neopterin, IFN-$\gamma$를 측정하였고, 결핵성 흉막염 환자 22명에서 치료전 혈청과 흉막액에서 각각 sIL-2R, ADA, neopterin을 측정하였다. 폐결핵 환자 39명을 ATS guidelines에 따라 중증도를 분류하였고, 사망한 1명과 결핵요양소로 전원된 2명을 제외한 36명에서 초치료 2개월 후 혈청 sIL-2R, neopterin과 IFN-$\gamma$를 측정하였다. 결 과 : 1) sIL-2R과 IFN-$\gamma$는 결핵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된 경향을 보였다(p>0.05). Neopterin은 대조군 $4949{\pm}1242.l$ pg/ml, 폐결핵 $29.67{\pm}2132.8$ pg/ml, 결핵성 림프절엽 $3013{\pm}1877.3$ pg/ml, 결핵성 흉막염이 $2035{\pm}1216.4$ pg/ml로 결핵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폐결핵군과 결핵성 흉막염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p<0.05). 2) 폐결핵의 중증도가 심할수록 sIL-2R와 IFN-$\gamma$는 증가하였고, neopterin은 감소하였다(p<0.01). 3) 폐결핵 환자 36명에서 치료 후 측정한 sIL-2R는 $1071{\pm}l139.4$ U/ml에서 $1023{\pm}1920.9$ U/ml로(p>0.05), IFN-$\gamma$$41{\pm}52.8$ pg/ml에서 $22{\pm}23.9$ pg/ml로 각각 감소하였고 (p<0.05), neopterin은 $3158{\pm}2272.6$ pg/ml에서 $3737{\pm}2307.5$ pg/ml로 증가하였다(p>0.05). 이러한 결과는 경증군과 중등증군에 비해 중증군에서 현저한 변화를 보였고 임상적 경과와 상관성을 보였다. 4) 결핵성 흉막염 환자 22명에서 sIL-2R와 ADA는 혈청에 비하여 흉막액에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으나(p<0.01), neopterin은 차이가 없었다(p>0.05). 결 론 :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특히 중증군에서 치료 후에 sIL-2R, IFN-$\gamma$와 neopterin을 추적 관찰하면 숙주의 면역반응상태, 임상적 중증도 및 치료 반응성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결핵성 흉막염 환자에서는 국소적인 변역반웅의 활성화로 흉막액내의 면역학적 지표의 측정이 혈청 검사보다 특이적이며, 흉막액의 sIL-2R의 측정이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악성 삼출액에서 E-Cadherin 발현의 유용성 (Usefulness of E-Cadherin Expression in Malignant Effusion)

  • 임성직;김교영;김윤화;박용구;양문호;원남희;이주희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1-126
    • /
    • 1999
  • 체강액 내의 악성 종양세포와 중피세포의 구분이 종종 어려우나 환자의 치료나 종양의 임상기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확히 감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E-cadherin은 상피세포에서 표현되는 유착단백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체강액의 세포학적 검사에서 악성세포의 표지자로서 E-cadherin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검사후 조직검사로 진단을 확인한 33예를 대상으로 체강액으로부터 만든 세포 블록에 대하여 E-cadherin에 대한 면역세포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33 예의 세포학적 진단은 선암종 25예, 비정형세포 8예였다. 선암종으로 진단하였던 25 예중 21예(84%)에서 E-cadherin 에 양성이었다. 비정형세포라고 진단하였던 8예중 6예에서 음성이었으며 양성으로 염색된 2예는 조직학적 검사로 전이성 암종임을 확인하였다. 반응성 중피세포나 염증세포는 모두 음성이었다.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84%와 75%였다. 결론적으로 E-cadherin은 체강액에서 악성 종양세포와 반응성 중피세포와의 구분에 유용한 보조적인 표지자이다.

  • PDF

만성 폐질환인 폐이형성증을 보이는 baboon 폐조직에 Dendritic-like cell의 축적 (Dendritic-like Cells Accumulate in BPD Lung of Baboon)

  • 이종환;김광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202-1206
    • /
    • 2008
  • 본 연구에서 정상적인 baboon의 흉선조직 및 폐조직에서 HLA-DR과 PGP9.5항원에 대한 반응성을 나타내는 수지상세포 형태의 세포가 축적되는 것을 보았다. 하지만, 이런 세포들은 baboon 이 BPD즉 폐이형성증에 걸리게 되면 사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140일 제태기간보다 125일 제태 기간을 보낸 미성숙 baboon이 HLA-DR을 가지는 세포가 더 많아 진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BPD동물모델을 구축하는데 125일 제태 기간을 보낸 동물이 훨씬 적합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bombesin의 항체인 2A11을 처리한 baboon (125d-14d/PRN)의 폐조직에서는 정상수준의 HLA-DR positive세포들이 관찰되었다. 더욱이, Baboon의 흉선으로부터 분리한 thymocyte로 bombesin에 대한 chemotaxis를 수행한 결과 세포이동 반응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생체 내 BLP들을 차단하면 BPD에 의해 야기된 폐이형성증을 막을 수 있고 2A11항체가 수동 면역제로 폐이형성증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교패독산가미방(連翹敗毒散可味方)이 알러지성 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影響) - DNCB 재노출부위의 생쥐 피부손상완화와 비만세포 분포 변화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Yunkyopaedocksangamibang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 Based on the mitigation of skin damage and distributive change of mast cell on DNCB re-expasure region of Mice)

  • 권오성;김진택;박인식;안상현;이해풍;김호현;강윤호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77-91
    • /
    • 1999
  • 본 실험은 연교패독산가미방(連翹敗毒散加味方)이 알러지성 접촉피부염 유발시 발생되는 면역과민반응과 염증반응 저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위해 행해진 것으로 2,4-dinitrochlorobenzene(DNCB, 5% DNCB $25{\mu}{\ell}$로 감작, 7일경과 후 2.5% DNCB $5{\mu}{\ell}$로 유발)처리로 알러지성 접촉피부염이 유발된 ICR계 암컷 생쥐에 연교패독산가미방추출물(連翹敗毒散加味方抽出物(0.51g/kg/day)을 음용투여한 다음 contract hypersensitivity assay, 피부의 일반적인 구조 그리고 비만세포의 분포 변화를 관찰하였다. Contract hypersensitivity assay의 결과, 연교패독산가미방추출물(連翹敗毒散加味方抽出物) 투여군의 ear swelling이 DNCB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러지성 접촉피부염 유발 후 관찰되는 피부손상은 48시간에 제일 심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연교패독산가미방추출물(連翹敗毒散加味方抽出物) 투여군에서는 DNCB군 비해 완화된 결과를 보였다. 연교패독산가미방추출물(連翹敗毒散加味方抽出物) 투여군의 진피에서 림프구를 비롯한 염증관여세포의 이주와 혈관생성 그리고 표피내로의 림프구의 침윤 등이 감소되었고, 표피 기저층과 가시층세포에서는 세포질내 액포화와 세포사이 공간 확장도 줄어든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알러지성 접촉피부염 유발 후 분포가 증가한 비만세포는 형태가 주로 세포내 함유물이 분비된 degranulated type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연교패독산가미방추출물(連翹敗毒散加味方抽出物) 투여군는 DNCB군에 비해 출현 비만세포 수가 일부 감소했고, 비만세포의 형태는 granulated type였다. 또한 serotonin 면역조직화학적 염색결과로 연교패독산가미방추출물(連翹敗毒散加味方抽出物) 투여군에서 se-rotonin 양성반응성이 높은 granulated type의 비만세포가 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연교패독산가미방추출물(連翹敗毒散加味方抽出物)은 알러지성 접촉피부염으로 유발된 피부 손상과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종양세포 표면항원에 대한 분자면역학적 연구 (Immunological Studies on the Surface Antigens of Tumor Cells)

  • 김한도;김규원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2-152
    • /
    • 1989
  • CALLA 항원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는 백혈병의 진단이나 치료에 대한 활용가능성을 잠재하고 있기 때문에 구미, 일본 등지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이 점에 유의하여 본 연구자들은 CALLA에대한 새로운 단일클론항체 KP-22를 개발하고, 이 단일클론항체를 이용 CALLA의 분포를 여러 세포주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common ALL, Burkitt's lymphoma, T-ALL 세포주는 현저한 CALLA양성 반응을 보였으나 사람의 섬유아세포 계역을 제외한 모든 비백혈병성 암세포주 및 myelocytic leukemia 세포주들은 음성이었다. 막 단백질을 125I 방사능 표지한 후 KP-22를 이용, 면역 침전법으로 백혈병세포주와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에서 CALLA를 정제하여 전기영동한 결과 각각 분자량이 약 95Kd 및 100Kd인 단일 band로 확인되었으나 이들의 peptide mapping 양상은 같았으므로 분자량에서의 미세한 차이는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과정에서 첨가되는 sialic acid에 기인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사멸 살모넬라와 뱅코마이신 첨가 사료가 Salmonella typhimurium 인공 감염 육계 병아리의 생산성과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이범규;임진택;박인경;최도열;최준영;이혜정;고태송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5년도 제22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76-77
    • /
    • 2005
  • 사멸 살모넬라와 뱅코마이신 첨가 사료가 Salmonella typhimurium을 감염시킨 육계 병아리의 생산성과 면역계 및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살모넬라 인공 감염전(27일)에는 육계 병아리의 생산성은 사료에 따른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항산화계에서 사멸 살모넬라와 뱅코마이신 첨가 사료가 기초사료에 비하여 적혈구 세포액내 MnSOD 활성을 낮추었다. 살모넬라 인공 감염 7일후 육계 병아리의 생산성은 사멸 살모넬라와 뱅코마이신 첨가 사료가 대조감염구에 비하여 높은 일당증체량과 사료효율을 나타냈다. 살모넬라 인공 감염 7일후 및 15일후 사멸 살모넬라와 뱅코마이신 첨가 사료가 대조감염구에 비하여 적혈구 세포내 과산화물 분해효소의 활성을 낮춘 반면, LPS 자극에 의한 PBMC 증식도와 PBMC 증식에 분비된 IL-1수준을 높였다. 본 성적은 사료중 사멸 살모넬라와 뱅코마이신 첨가가 살모넬라 감염 육계 병아리 생산성 증가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항산화 효소계와 PBMC 증식도, IL-1 분비 및 혈장 TNF-a농도 등 타고난 면역계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