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Yunkyopaedocksangamibang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 Based on the mitigation of skin damage and distributive change of mast cell on DNCB re-expasure region of Mice

연교패독산가미방(連翹敗毒散可味方)이 알러지성 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影響) - DNCB 재노출부위의 생쥐 피부손상완화와 비만세포 분포 변화를 중심으로 -

  • Kwon, Oh-Sung (Dept. Internal Medicine, Oriental Medical College, Dongguk University) ;
  • Kim, Jin-Tack (Dept. of Anatomy, Oriental Medical College, Dongguk University) ;
  • Park, In-Sick (Dept. of Anatomy, Oriental Medical College, Dongguk University) ;
  • Ahn, Sang-Hyun (Dept. of Anatomy, Oriental Medical College, Dongguk University) ;
  • Lee, Hai-Poong (Dept. of Applied Biology, College of Life Resource, Dongguk University) ;
  • Kim, Ho-Hyun (Dept. of Physiology, Oriental Medical College, Semyung University) ;
  • Gang, Yun-Ho (Dept. Internal Medicine, Oriental Medical College, Dongguk University)
  • 권오성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진택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 박인식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 안상현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 이해풍 (동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 김호현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 강윤호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9.08.31

Abstract

After allergic contact dermatitis elicitated by Dinitrochlorobenzene(DNCB) treatment, ICR female mice administered Yunkyopaedocksangamibang(YPGM) extract were observ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YPGM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contact hypersensitivity assay, abdominal skin morphologic changes including mast cells. At contact hypersensitivity assay, the right ear swelling in YPGM group were probability decreased than DNCB group. At observation of abdominal skin morphologic change, the infiltration of lymphocyte, lymphocyte insertion to epithelium, enlarged capillary, angiogenesis, and damages of epithelium as cytoplasmic vacuolation and enlarge of inter cellular space in YPGM were diminished than DNCB group. The number of mast cell was increased both DNCB and YPGM group. The shape of mast cell in DNCB group was mainly appeared degranulated type, but granulated type in YPGM group. The number of serotonin positive cell was increased both DNCB and YPGM group. The shape of serotonin positive cell in DNCB group was mainly appeared degranulated type, but granulated type in YPGM group. As results indicated that the YPGM extract administration work on the mitigation of skin damages in mouse with allergic contact dermatitis.

본 실험은 연교패독산가미방(連翹敗毒散加味方)이 알러지성 접촉피부염 유발시 발생되는 면역과민반응과 염증반응 저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위해 행해진 것으로 2,4-dinitrochlorobenzene(DNCB, 5% DNCB $25{\mu}{\ell}$로 감작, 7일경과 후 2.5% DNCB $5{\mu}{\ell}$로 유발)처리로 알러지성 접촉피부염이 유발된 ICR계 암컷 생쥐에 연교패독산가미방추출물(連翹敗毒散加味方抽出物(0.51g/kg/day)을 음용투여한 다음 contract hypersensitivity assay, 피부의 일반적인 구조 그리고 비만세포의 분포 변화를 관찰하였다. Contract hypersensitivity assay의 결과, 연교패독산가미방추출물(連翹敗毒散加味方抽出物) 투여군의 ear swelling이 DNCB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러지성 접촉피부염 유발 후 관찰되는 피부손상은 48시간에 제일 심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연교패독산가미방추출물(連翹敗毒散加味方抽出物) 투여군에서는 DNCB군 비해 완화된 결과를 보였다. 연교패독산가미방추출물(連翹敗毒散加味方抽出物) 투여군의 진피에서 림프구를 비롯한 염증관여세포의 이주와 혈관생성 그리고 표피내로의 림프구의 침윤 등이 감소되었고, 표피 기저층과 가시층세포에서는 세포질내 액포화와 세포사이 공간 확장도 줄어든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알러지성 접촉피부염 유발 후 분포가 증가한 비만세포는 형태가 주로 세포내 함유물이 분비된 degranulated type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연교패독산가미방추출물(連翹敗毒散加味方抽出物) 투여군는 DNCB군에 비해 출현 비만세포 수가 일부 감소했고, 비만세포의 형태는 granulated type였다. 또한 serotonin 면역조직화학적 염색결과로 연교패독산가미방추출물(連翹敗毒散加味方抽出物) 투여군에서 se-rotonin 양성반응성이 높은 granulated type의 비만세포가 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연교패독산가미방추출물(連翹敗毒散加味方抽出物)은 알러지성 접촉피부염으로 유발된 피부 손상과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