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생존

검색결과 1,972건 처리시간 0.031초

최근 국내발병 개 디스템퍼에 대한 역학적 조사 (Epidemiological Observation on Recent Outbreaks of Canine Distemper in Korea)

  • Doo, Kim;Ji-young, Park;So-jeo, Ahn;Seok-young, Jeoung;Son-il, Pak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29-23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발병하는 개 디스템퍼(CD)의 역학적 조사를 위하여 2002년 2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강원도, 경기도와 서울특별시의 10개 동물병원 수의사에 의하여 CD에 감염된 것으로 잠정진단된 315마리의 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개체의 신상자료와 임상증상을 조사하였으며 CD를 확진하기 위하여 혈액의 단핵구나 결막 상피세포에서 CDV의 NP gene을 RT-PCR로 증폭하였다. CD로 의심되는 총 315마리 중 162마리가 CD 양성으로 진단 되었으며 성별과 종에 따른 발병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나이별 분포는 백신을 접종해야 하는 기간인 6-18주에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1세 이상에서도 소수 발병하였다. CD환축은 호흡기 증상, 위장관 증상, 눈의 증상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 임상증상에 근거하여 CD를 진단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CD 양성의 개 중 84.6%가 백신을 한번도 맞지 않았거나 예방접종을 제대로 실시되지 않은 상태였으며 CDV에 대한 혈청 중화 항체가는 96.9%의 개가 방어수준 이하인 1:16 이하를 나타내었다. CD 양성 162 마리와 CD음성으로 진단 된 153마리의 혈청 중화 항체가 사이에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P<0.05), CD 양성 개 중에 생존 한 개들은 폐사한 개들보다 중화 항체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눈의 증상과 신경증상을 보인 개체들은 다른 개체들에 비해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본 연구의 결과 현재 국내에서 발병하고 있는 개 디스템퍼는 예방접종의 실패에 따라 개들의 항체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예방접종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예방을 위하여 감염에 취약한 시기에는 감염원에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소아 신경모세포종의 치료 후 조직소견의 변화와 예후와의 관계 (Pathologic Change and Prognosis after Combination Therapy in Advanced Neuroblastoma)

  • 서연경;정유진;김준식;김흥식;박우현;최순옥;이병육;권건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1호
    • /
    • pp.1107-1111
    • /
    • 2003
  • 목 적 : 진행된 신경모세포종 환아의 약물치료 후 수술한 예에서 조직변화를 관찰하여 예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1년 1월부터 2000년 6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소아과에서 진단된 신경모세포종 환아 중 항암치료 후 종양절제를 시행한 6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 당시 침생검소견과 항암치료 후 조직소견에서 신경모세포의 분화정도와 핵 모양 및 간질조직의 기질화 양상과 석회와 유무 등을 비교하여 변형된 Shimada 분류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 과 : 항암치료 전과 후에 조직소견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변형된 Shimada 분류에 따라 2가지 예후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좋은 예후군 3례 중 2명은 생존해 있으며, 1명은 추적되지 않고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나쁜 예후군의 3례는 각각 패혈증과 retinoic acid 복용 중 발생한 출혈성 췌장염으로 사망하였다. 결 론 : 항암치료 전과 후에 조직소견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Shimada 분류에 따라 비교하고, 치료 후 종양세포의 성숙을 관찰하였으며, 좋은 예후군에서 생존수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단백질성 항균물질을 생산하는 김치발효용 내산성 Hetero 발효형 유산균주 선발 (Selection of Acid-tolerant and Heter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 Producing Non-proteinaceous Anti-bacterial Substances for Kimchi Fermentation)

  • 김혜림;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9-127
    • /
    • 2013
  • 선행연구에서 김치발효 후기의 우점종으로 알려진 Lactobacillus sakei의 생육을 저해하는 Leuconostoc 속 23균주와 Weissella 속 45 균주를 김치로부터 분리, 동정하였다. 발효 후기까지 생존할 수 있는 김치발효용 hetero 발효형 종균 선발을 위하여 이들 균주에 대한 내산성을 평가한 결과, Lc. mesenteroides CK0128, W. cibaria CK0633, W. cibaria KK0797 균주가 acetic acid와 lactic acid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pH를 4.3으로 조정한 MRS broth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다량의 세포 외 다당류를 생산하였다. 세균주가 생산하는 항균물질의 분자량은 3,000 Da 이하로 추정되며 Staphylococcus aureus와 Lb. sakei에 대한 생육저해를 나타내었다. 분획한 3,000 Da 이하의 조항균물질 모두가 $121^{\circ}C$, 15분의 열처리에도 항균활성을 유지함으로써 항균물질의 열에 대한 높은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pH의 감소에 따른 항균활성의 증가가 pH 5 이하의 산성조건에서 확인되어, 이들 항균물질은 pH 5 이하의 산성조건에서 활성을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 ${\alpha}$-amylase, lipase, pepsin, proteinase K 처리가 항균활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들 균주가 생산하는 항균물질은 탄수화물, 지질을 포함하지 않으며, 비단백질성 물질로 추정된다. 또한, 선발균주가 생산하는 비단백질성 항균물질은 식중독균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성문상부암의 근치적 방사선치료 (Curative Radiotherapy of Supralottic Cancer)

  • 김용호;채규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2호
    • /
    • pp.139-145
    • /
    • 1998
  • 목적 : 성문상부암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의 효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성문상부 편평상피세포암으로 확진되어 1990년 3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21예를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의 연령 분포는 52세부터 75세로 중앙값은 62세 이었다. 남자가 19예이었고 여자는 2예이었다. AJCC TNM 병기에 따른 환자의 분포는 병기 I이 4예, 병기 II가 7예, 병기 III이 3예, 병기 IV가 7예이었다. 추적조사기간의 중앙값은 36개월이었고 95%가 추적이 가능하였다. 결과 : 성문상부암 환자 21예의 전체 5년 생존율은 39.3%이었다. 병기에 따른 5년 생존율은 병기 I이 75.0%, 병기 II가 42.9%, 병기 III이 33.3%, 병기 IV이 28.6%이었다. 전체 5년 국소제어율은 52.0%이었고, 병기에 따른 국소제어율은 병기 I가 75.0%, 병기 II이 57.1%, 병기 III이 66.7%, 병기 IV가 28.6%이었다. 성문상부암의 치료 후 3예의 환자에서 이차 원발종양이 식도에 발생하였고, 진단 후 각기 5개월, 6개월, 5개월에 사망하였다. 결론 : 병기 I, II의 조기 성문상부암의 치료시 우선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하고, 치료실패시 구제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높은 국소제어율과 성대 보존율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라고 판단된다. 진행된 병기에서는 수술이 가능한 경우 근치적 수술과 방사선요법을 병행하고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만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권장된다.

  • PDF

경부식도암에 대한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for Cervical Esophageal Cancer)

  • 김대현;백희종;이해원;박종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2호
    • /
    • pp.253-259
    • /
    • 2008
  • 배경: 경부식도암은 흉부식도암에 비해 발생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방사선치료나 항암 약물치료의 역할이 흉부식도암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경부식도암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역할이 흉부식도암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저자들은 경부식도암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경부식도암(경흉부식도 암 포함 )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43명의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추적이 가능하였으며, 최종 추적일은 2004년 2월 28일이었다. 결과: 대상 환자의 평균 나이는 60세$(43{\sim}77)$였고, 남녀 비는 40:3이었다. 조직학적으로 편평상피세포암이 42명, 악성 흑색종이 1명이었다. 식도 재건 방법은 gastric pull-up 32명, 유리 공장 이식 7명, colon interposition 4명이었다. 전체 43명 중 31명(72%)의 환자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수술 사망자는 7명(16%)이었다. 수술 후 최종 병기는 I 3명, IIa 14 명, IIb 1명, III 19명, IVa 6명이었다. 수술 사망자를 제외한 36 명 중 16명(44%)에서 종양이 재발하였고, 수술 후 3년, 5년 생존율은 29.3% 와 20.9%이었다. 결론: 경부식도암에 대한 수술은 수술 사망률, 합병증 발생률, 재발률이 높고, 장기 생존율이 낮지만, 방사선치료나 항암약물치료 만으로는 연하곤란의 완전한 해소 및 종양의 완치가 어려우므로 수술이 포함되는 다방법 병합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Saccharomyces cerevisiae KNU5377의 NaCl에 대한 적응이 고온내성과 알코올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Cl Adaptation on the Thermotolerance and Alcohol Fermentation in Saccharomyces cerevisiae KNU5377.)

  • 백상규;윤혜선;사금희;김일섭;이인구;박희동;유춘발;진익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3-68
    • /
    • 2003
  • 구성적으로 고온내성과 고온발효능을 가지고 있는 Saccharomyces cerevisiae KNU5377 균주는 YPD 배지에 0.5M NaCl을 첨가한 YPDS 배지에서 자란 경우, 일반 YPD에서 성장한 지수성장기 세포에서 약 80%의 생존율을 보이던 고온내성이 20% 생존율을 보이고, 또한 약 8.5%정도의 알코올 생산량을 보이던 것이 6%수준으로 감소하여 대조균주와 유사한 고온발효능과 고온내성도를 보였다. 즉 구성적으로 아주 높은 내성도와 발효능을 가진 이 균주가 대조균주와 동질화되는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이것은 S. cerevisiae KNU5377의 고온내성과 고온발효능의 원인이 이 균주 특유의 NaCl adaptation 과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또한 이 균주의 고온발효능은 heat adaptation에 의해서 그 알코올 생산량의 증가폭 또한 대조 균주보다 2배 이상을 보이므로, 이 S. cerevisiae KNU5377가 가지는 생리적 특징이 최소한 대조균주에 비해서는 heat adaptation의 효과를 더 크게 볼 수 있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들은 그 균주 특이적 현상의 원인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단서로서 활용이 가능하며, 이 균주가 충분히 고온하에서의 알콜 생산 균주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묵은지 스타터 Lactobacillus curvatus ML17의 생균제적 특성 및 기능성 조사 (Characterization of Probiotic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Lactobacillus curvatus ML17, a Mukeunji Starter)

  • 김효주;성혜미;신현경;김기명;양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1009-1016
    • /
    • 2014
  • 묵은지 스타터로 개발된 Lb. curvatus ML17의 생균제적 특성 및 기능성 조사를 통하여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Lb. curvatus ML17은 용혈현상을 일으키지 않았으며 ${\beta}$-glucosidase와 ${\beta}$-glucuronidase의 발암효소 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균주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장내 생존성 확인 실험에서는 인공위액에서 2시간 처리한 다음 인공담즙에서 24시간 처리한 결과 초기 균수 대비 12.3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Caco-2 cell에 대한 부착율은 초기 접종균수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5.66{\times}10^9$ CFU/mL로 처리 시 17.31%의 부착율을 나타냈는데 20.78%의 부착율을 나타낸 양성 대조군 Lb. rhamnosus GG에 근접하게 높은 부착율을 나타내어 장내환경에서 바람직한 작용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유해균주에 대한 생육저해 활성 측정에서는 Micrococcus lut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72.88%로 양성 대조군인 0.1 mg/mL ascorbic acid보다 높은 free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AGS 위암세포 및 HT-29 결장암세포에 대한 성장 억제 효과에서는 Lb. curvatus ML17의 배양 상등액 $80{\mu}L/mL$ 처리 시 각각 82.91% 및 79.35%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Lb. curvatus ML17이 묵은지를 포함한 발효스타터로 사용되었을 경우 식품의 보존성 향상과 품질 유지 및 균주에 의한 건강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식품, 사료, 의약 분야의 다양한 산업적 활용이 기대된다.

Naegleria fowleri 감염에 대한 방어면역에 관한 실험적 연구 (Protective immunity against Naegzeria meningoencephalitis in mice)

  • 이순곤;임경일;이근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2호
    • /
    • pp.293-299
    • /
    • 1985
  • 병원성 자유생활 아메바인 Naegleria fowleri를 CGVS 배지에서 무균적으로 배양하여 그 영향형을 복강내로 주입하여 인위적으로 면역시킨 마우스에 본 원충율 비강내로 감염시켰을때 방어면역이 생성되는지를 관찰하였다. 감염 8일후부터 마우스가 사망하기 시작하였고 이 마우스의 뇌에서 전형적인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이 발생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N. fowleri 감염으로 인한 마우스의 사망율은 대조군에서 보다 네가지 항원으로 면역시킨 실험군에서 모두 현저히 낮았으며, 감염에서 사망할 때까지의 생존기간도 면역시킨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연장되었으나, N. fowleri 세포막항원으로 면역시킨 실험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할때 차이가 없었다. 또한 N. gruberi 영양형으로 면역시킨 실험군에서도 생존기간이 연장되었다. 이상의 성적을 요약하면 N. fowleri를 마우스 복강내로 주입시켜 면역시킬 때 방어면역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첨가제의 종류와 동해방지제의 농도에 따른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D형 유생의 냉동보존 효과 비교

  • 조필규;최윤희;강경호;고강희;고창순;김병학;임한규;최철영;장영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7-82
    • /
    • 2002
  • 피조개 D형 유생을 냉동보존하기 위한 적절한 첨가제 종류와 농도 및 동해방지제로 적용한 ethylene glycol 농도에 대한 냉동보존 효과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생을 0$^{\circ}C$로 설정된 프로그램 냉동기로 옮겨 -1$^{\circ}C$/분의 냉동율로 -12$^{\circ}C$까지 냉동한 후 10분 동안 유지한 상태에서 식빙하고 -35$^{\circ}C$까지 재냉동한 다음, 즉시 액체질소통에 저장하였다. 1.0 M과 2.0 M ethylene glycol을 동해방지제로 사용하여 첨가제별로 D형 유생을 냉동한 결과, 0.5 M sucrose에서 생존율이 각각 50.5 ${\pm}$ 1.3%, 51.9 ${\pm}$ 1.7%로 가장 좋았다. 0.5 M sucrose를 첨가한 ethylene glycol의 농도별 냉동에서는 2.0 M이 생존율 51.9 ${\pm}$ 1.7%로 가장 높았다.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유생을 관찰한 결과, 냉동 전, 후 유생의 외부형태 및 세포내 구조의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식염용액에서 휴지(休止) 미생물 세포의 사멸 (Death of Non-growing Microbial Cells in Saline)

  • 강영미;경규항;박세원;유양자;김연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60-664
    • /
    • 1998
  • 식염용액에서 휴지미생물(non-growing microorganisms)의 사멸현상과 식염용액에서 미생물의 보호작용이 있다고 알려진 물질의 작용을 시험하였다. L. mesenteroides LA10, S. aureus B3l와 E. coli B34를 완충용액으로 제조한 0, 10, 20, 30%의 식염용액에서 배양하였을 때 각각 pH 6, 7, 5 부근에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이 pH로부터 산성 또는 염기성쪽으로 변화시키거나 식염농도가 증가할 수록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젖산균 5종과 일반세균 9종 및 효모 2종의 균주를 pH 5, 6, 7로 조절한 10% 식염용액에서 실험해 본 결과 식염에 내성이 강한 pH는 미생물마다 달라 이는 균주의 특성에 속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그람양성균이 그람음성균에 비해 식염내성이 높았으며 그람양성균 중에서도 젖산균이 식염에 대한 내성이 두드러지게 컸고 일반세균에서는 S. aureus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식염농도의 영향은 물론 pH가 식염용액에서 미생물의 사멸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염의 미생물 생육저해작용으로부터 미생물을 보호한다고 알려진 물질들의 보호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