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척일

Search Result 2,18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플럭 형성 비소 오염토양에 대한 토양세척기법의 적용성 연구

  • Hwang Jeong-Seong;Choi Sang-Il;Han Sang-Geun;Kim Ju-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264-267
    • /
    • 2005
  • 플럭 형성 비소 오염토양에 대한 토양세척기법의 적용성 실험결과, 세척용액 100 mM과 500 mM의 농도에서 대상 토양에 대한 비소 용출량은 수산화나트륨이 염산보다 높은 효율을 보였으며, 농도 1000 mM의 경우에는 염산이 비교적 우세한 세척효율을 보였다. 토양오염공정시험법에 의한 세척후 토양내 잔류비소 농도의 경우, 염산이 수산화나트륨과 비슷하거나 다소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 세척 대상 토양의 Cut-off size limit을 선정하여 토양세척시 생성되는 플럭을 제거하지 않고 반복 세척한 결과, 수산화나트륨의 농도 200 mM은 1000 mM에 비하여 잔류된 비소량이 비슷하거나 비교적 높았으며, 2가지 농도에 대하여 총 5회 반복 세척한 토양의 비소 농도는 토양환경보전법의 가지역 우려기준 농도인 6 mg/kg에 근접한 결과를 보였으나, 염산의 경우 총 5회 세척시 비소의 농도가 약 9 mg/kg으로 비소 잔류량이 보다 큼을 알 수 있었다. 플럭을 제거한 후 반복 세척시 수산화나트륨의 농도 1000 mM이 200 mM에 비하여 토양 세척효율이 증가하였으며, 1000 mM로 5회 세척시 잔류비소 농도가 가지역 우려기준 농도에 근접한 약 6.7 mg/kg이었고 염산을 이용하여 세척한 경우에는 3회 세척시 약 6.7 mg/kg 4, 5회 반복 세척시 각각 약 3.9, 3.3 mg/kg으로 가지역 우려기준에 적합한 농도조건이 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the Soil Washing System for the Remediation of Oil-Contaminated Soil (유류 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토양세척 공정의 개발)

  • Gong, Jun;Cho, Jang-Hwan;Lee, Ji-Hui;Choi, S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11a
    • /
    • pp.60-63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유류 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효율적인 세척공정을 구성하여 현장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토양세척공정은 co-current식 전세척장치와 counter -current식 세척조로 구성된다. 물이 주입되는 co-current식 전세척장치에서는 스크류 축의 회전력에 의한 토양 이송 및 스크류의 각 pitch 사이에 부착된 임펠러의 기계적 교반력에 의한 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전세척장치를 통과한 토양과 물은 세척조로 유입되어 세척용액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세척조의 내벽에 부착된 나선형 웨어에 의해 적정 운전조건하에서 일정 크기를 기준으로 토양이 분리되며, 각 웨어 사이에 부착된 임펠러의 교반력에 의해 오염토양이 세척된다. 실험결과, 운전시 고려해야 할 주요 영향인자들은 전세척장치에서의 토양주입량은 1 kg/min, 진탕비는 1, 회전속도는 50 rpm에서 최대 세척효율(#4-, 83.6%)을 보였으며, 세척조에서는 토양.물 주입위치 15 cm, 회전속도 5 rpm, 경사각 6$^{\circ}$, 세척용액 주입유량이 0.8 L/min일 때 최대 세척효율인 97.9%(#4-)를 나타냈다.

  • PDF

토양 세척법을 이용한 하천 퇴적토 복원 설계

  • 이정산;차종철;이민희;이정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342-345
    • /
    • 2003
  • 비소로 오염된 폐광산주변 하천 퇴적토 오염 복원을 위한 토양세척법의 복원효율을 규명하였다. 세척액에 대한 비소제거 효율을 규명하기 위해 오염된 3종류의 하천 퇴적토에 대하여 초산, 구연산, 염산 각 0.01, 0.05, 0.1, 0.5, 1N 수용액과 증류수(pH 5.41)에 대한 세척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세척 효율은 염산과 구연산 용액의 경우 0.05N 이상에서 저농도의 구연산을 제외하고 99.9% 이상의 제거효과를 나타내었다. 초산의 경우 1N의 경우에도 36%와 71%의 낮은 세척 효율을 보였으며, 증류수로 세척한 경우에는 20% 내외의 세척 효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세척 효율은 본 오염지역의 복원목표를 토양오염 우려기준의 40% 농도(2.4mg/kg)로 설정하여 하천퇴적토를 복원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결론적으로 오염 퇴적토의 농도 분포에 따라 적절한 세척액을 선택한다면 세척 효과를 훨씬 증대시킬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한 세척효율 결과는 연구지역을 포함한 전국 각지의 폐광산 복원공정 설계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Wahsing Effect of Micor-Bubbles and Changes in Quality of Lettuce (Lacutuca sativa L.) during Storage (마이크로버블에 의한 상추의 세척효과 및 저장 중 품질변화)

  • Lee, Seon-Ah;Youn, Aye-Ree;Kwon, Ki-Hyun;Kim, Byeong-Sam;Kim, Sang-Hui;Cha, Hwan-Soo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6 no.3
    • /
    • pp.321-326
    • /
    • 2009
  • We assessed quality changes in and washing effects (time and method) on lettuce (Lactuca sativa L.) treated with micro-bubbles. Samples were treated with micro-bubbling for 1, 3, or 5 min, and the 5-min treatment yielded the best results in terms of reduced total microorganism counts, sensory aspects, and degree of washing. Total microorganism counts were 4.30 log colony-forming units (CFU)/g in unwashed lettuce(CT), 4.10 log CFU/g in hand-washed lettuce (HW), 3.98 log CFU/g in conventional, bubble-washed lettuce (BW) and 3.25 log CFU/g in micro-bubble-washed lettuce (MW). In comparison, total counts of samples examined after 10 days of storage were 7.00 log CFU/g for CT, 6.19 log CFU/g for HW, 6.02 log CFU/g for BW, and 5.89 log CFU/g for MW. The lowest counts were seen after micro-bubble treatment. BW and MW samp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unts than did CT and HW samples. In general, BW and MW samples did not vary significantly in count numbers. MW showed a 2.3-fold lower residual pesticide level compared with CT, and also had the lowest level of impurities. HW and BW samples were not well washed.

Development of Moving-Type Soil Washing Device for the Remediation of Oil-Contaminated Soil (유류 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이동형 토양세척 장비의 개발)

  • 소정현;김형수;박준형;최상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4a
    • /
    • pp.194-19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유류 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효율적인 이동형 연속식 토양세척 장비를 개발하여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진세척조는 내부에 스크류를 설치함으로써 주입되는 오염토양과 세척용액의 기계적 교반에 의한 원활한 접촉과 토양간의 마찰 등으로 인하여 토양으로부터 오염물질의 탈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전세척조 외부에 위치한 주세척조는 전세척조에서 탈착된 오염물질과 미세입자를 원 토양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헹굼작용과 배출부에서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세척 유출수가 효율적으로 분리 배출이 될 수 있도록 설계.제작하였다. 현장 적용 실험결과, 설계 목표치인 토양 주입 속도 15m$^3$/day, 계면활성제 POE$_{5}$POE$_{14}$의 비 1:1 (농도 0.1%), 세척수/토양 비 (부피/중량비) 1, 전세척조 회전속도 18rpm. 주세척조 회전속도 5rpm의 운전조건에서 90% 이상의 높은 세척효율을 나타내었다.

  • PDF

Development of Novel Net Hauler for Improved Washing of Fishing Nets (어업용 그물 세척 효율 향상을 위한 그물 세척용 양망기 개발)

  • Choi, Deok-Ki;Kim, Yong-Yo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4 no.11
    • /
    • pp.1779-1784
    • /
    • 2010
  • Net washing in a fishery involves considerable labor and is a time-consuming process; it also causes severe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et hauler for washing fishing nets. This hauler can be used to simultaneously haul and wash the net. We devised the revolver structure of the net hauler in order to resolve the net slip problem. The net hauler can be used by itself for washing small-sized nets, or it can be used in an auxiliary washing step in case of a large-sized net. Further, the component installed in the net hauler for unraveling the net improves the net washing performance of an automatic net washer. During the experiments conducted using the prototypes of the new net hauler, the net did not slip and the desired washing performance could be achieved.

Automatic Feeding Bottle Washing Machine Usability Evaluation : Infant Product (자동 젖병 세척기 사용성평가 : 영유아 제품)

  • Park, Hye Jin;Kim, Jong Geun;Lee, Seok Ja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3
    • /
    • pp.507-514
    • /
    • 2022
  •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valuation of cleaning cleanliness and usability according to the muscle activity and cleaning method in the wrist rotation motion when using a bottle washer for women with childbirth experience. To this end, when using an automatic bottle washer and a manual bottle washer, the muscle activity and cleaning cleanliness of the forearm muscles were quantitatively evaluated using equipment, and the effects of variables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uscle activity was lower than that of the automatic baby bottle cleaner when using a manual bottle cleaner. Second, the cleanliness was judged to be the best in automatic washing (forward + reverse direction), followed by automatic washing (forward direction) and manual washing. Third,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he use of the baby bottle washing machine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that of the automatic baby bottle washing machine. Through these conclusion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oduct advancement in the future by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using an automatic bottle washer.

토양세척공법을 적용한 유류오염토양 정화 사례

  • Sin Jeong-Yeop;Gong Jun;Kim Geon-U;Jeon Gi-Sik;Hwang J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45-48
    • /
    • 2006
  • 혼합유류(등,경유)로 오염된 대상부지의 토양특성을 파악하여 세척공법의 적용성을 판단하고, 적용성시험을 통하여 장치별 설계인자를 도출하였다. 시험결과 본 세척대상토양의 경우 계면활성제와 같은 첨가제를 주입하지 않고 물리적인 탈착공정만을 거쳐도 90%이상의 오염물질이 토양입자표면으로부터 탈착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반영하여 장치를 제작, 설치하였다. 세척대상 오염토량은 총 $12,225m^3$, 사업수행기간은 약 6개월, 세척장치에 주입된 세척토양의 평균오염농도는 약 3,152ppm 이었으며 세척 완료된 토양의 평균농도는 약 150ppm으로 약 97%의 제거효율을 보여 복원목표인 800ppm을 만족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세척토양의 입도분포를 정확히 파악하고 분리시킬 토양입자 크기를 결정하여 현장 적용한 결과 세척공법으로부터 배출되는 응집슬러지를 최소화할 수 있었으며, 발생되는 세척폐수 또한 세척수 처리시스템을 거쳐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런 결과를 통하여 세척공법이 다른 Ex-situ 공법과 비교하였을 경우 현장의 적용성, 경제성, 복원기간 등을 감안하였을 경우 성공적인 세척공법의 적용사례라 할 수 있다.

  • PDF

The Investigation on Ultrasonic Cleaning of Soft Contact Lenses in Local Optical Shops and the Protein Removal Effect by Lens Containers (안경용 초음파세척기를 이용한 소프트렌즈 세척 실태 조사와 세척용기에 따른 단백질 제거 효과)

  • Koo, Sung Bong;Cho, Seul Bee;Park, Mijung;Kim, So Ra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6 no.1
    • /
    • pp.31-40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about ultrasonic cleaning of soft contact lenses in local optical shops and evaluate the removal effect of protein deposit on soft contact lenses with different lens containers by ultrasonic cleaner for eyeglasses. Methods: The actual state about ultrasonic cleaning of soft contact lenses was surveyed in total 75 local optical shops in Seoul, Korea. The cleaning efficacy of different lens containers was compared by measuring the protein remained on ocufilcon D contact lenses after washing by an ultrasonic cleaner for eyeglasses. The changes on surfaces and wetting angles of ocufilcon D contact lenses by repeat ultrasonication were further investigated. Results: The main purpose to use ultrasonic cleaners in local optical shops was rapid cleaning. The ultrasonic cleaning efficacy of ocufilcon D contact lenses with glass containers was little higher than it with plastic containers,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changes on surfaces and wetting angles of ocufilcon D contact lenses in a plastic lens container by repeat ultrasonication such as 30 and/or 60 times were shown. Conclusions: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cleaning efficacy between glass and plastic lens containers. However, repeat cleaning with ultrasonic cleaner for eyeglasses would be carefully considered since some significant changes in the parameters of lens surface and wetting angles were detected by repeat ultrasonification even when lens containers were used for ocufilcon D contact lens during ultrasonictions.

Application of A Full Scale Soil Washing Process for the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around an Abandoned Mine (폐광산 주변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실규모 토양세척공정 적용)

  • Seo, Sang-Kee;Lee, Sang-Hwa;Son, Jeong-Ho;Chang, Yoon-Young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3 no.2
    • /
    • pp.70-75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full scale soil washing processes for reducing heavy metal contamination level of soil around an abandoned mine. In the results of soil washing of the target soil with $H_2SO_4$ and NaOH, the As concentrations of treated soil continuous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taminated raw soil. Also, removal efficiencies of Zn and Ni were low. This problems might be caused by chemical partitioning of As in soil and its geologic origination, soil particle size, and scale up of washing pl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