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종실록

Search Result 7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Establishment of National Discharge Observation Network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수자원 관리를 위한 유량측정망 구축 연구)

  • Lee, Chung-Dae;Kim, Won;Choi, Hyuk-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35-1639
    • /
    • 2007
  • 국가적 차원에서 물을 사용하고 통제하는 일은 국민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구상의 모든 나라들은 주어진 여건에 맞게 효율적으로 물을 사용하고 홍수와 가뭄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많은 일울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 가장 근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물이 언제, 어디에, 얼마나 있는지를 파악하여 물이 있는 곳과 물이 필요한 곳을 연계하여 최적으로 물을 공급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목적(이수, 치수, 수질) 적용 기법, 기존 관측소 활용 기법, NARI(Network Analysis for Regional Information) 기법, 지형적 최적 기법 등을 이용하여 하천의 최상류 지점에서 하구까지 모든 지점에 대한 신뢰성 있는 유량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유량측정망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중목적 적용 기법을 위하여, 수질목적으로는 오염총량제 대상지점을 활용 하였으며, 치수목적으로는 5대강 홍수통제소의 홍수예보 프로그램을 활용 하였고, 이수목적으로는 하천수 사용실태를 조사하여 이를 활용 하였다. 기존 관측소 활용 기법은 5대강 홍수통제소, 지자체, 농촌공사, 수자원공사, 환경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위관측소를 통합하여 중복투자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 하고, 최적의 장소에 유량측정망을 구축하는 것이다. NARI 기법은 유량측정망 구축에 있어서 각 지점과의 연계성을 통하여 하천에 흐르는 물의 양을 신뢰성 있게 파악할 수 있도록 분석한 것으로서 하천 상 하류 간의 연계를 통하여 미지의 지점에 대한 유량 값의 유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지형적 최적 기법은 산간지방, 도시지역, 농촌지역, 산업지역, 상업지역 등과 같이 지형적 특성에 따른 유량측정망을 구축하는 것이다.의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한 일련의 과정, 즉 자료의 조사 및 취득에서부터 물순환 해석 모형을 이용한 정량적 현황파악, 물순환 개선 기법 및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주요 착안점 및 실무에서의 기술적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보다 세밀한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적용이 활발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WEP, SHER, SWMM)의 적용사례를 통하여 국내 도시하천의 물순환 해석에 활용함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적용절차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 PDF

Simulation of soil moisture in Hill-slope area using GSSHA model (분포형 수문모형(GSSHA)을 이용한 산지사면에서의 토양수분 모의)

  • Jang, Cheol-Hee;Kim, Hyeon-Jun;Kim, Sang-Hyeon;Noh, S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14-1618
    • /
    • 2007
  • 분포형 수문모형은 유역을 격자단위로 세분화하여 매개변수를 부여하고, 증발산, 침투, 지표면유출, 중간유출, 지하수유출, 하도흐름 등 여러 가지 수문요소를 해석하는 종합적인 수문모형이다. 지표면에 내린 강우의 증발 및 침투, 유출은 토양수분의 함량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토양수분에 대한 적절한 모의가 분포형 수문모형의 정확도를 좌우하는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토양수분은 식물의 생장 및 가용수자원 산정 등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서 토양층 상부의 수 미터 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일컫는다. 토양수분의 공간적 시간적 특성들은 증발, 침투, 지하수 재충전, 토양침식, 식생분포 등을 지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강우로 인한 지면과 지표하에서의 순간적인 포화공간의 형성 및 유출의 생성을 포함하는 과정과 증발산 등은 모두 비포화대(vadose zone) 혹은 토양층에서의 토양수분의 함량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이가영 등, 2005)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에 대한 정밀측정 자료가 있는 설마천 유역 범륜사 사면에 대하여 분포형 수문모형의 토양수분 해석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토양수분 모의에 사용된 격자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은 미공병단에서 개발한 GSSHA(USACE, 2006) 모형이다. 모형의 입력자료는 정밀토양도와 현장측정에 의한 토양매개변수를 반영하여 구축하였고, 강우 및 기상자료는 2003년 1월 1일 ${\sim}$ 2004년 12월 31일의 1시간 자료를 이용하였다. 모의기간 중 2003년은 초기 토양수분값 등 초기조건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웜업 (Warm-up)기간으로 설정하였고, 2004년의 모의결과를 토양수분 관측값과 비교하였다.업지역, 상업지역 등과 같이 지형적 특성에 따른 유량측정망을 구축하는 것이다.의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한 일련의 과정, 즉 자료의 조사 및 취득에서부터 물순환 해석 모형을 이용한 정량적 현황파악, 물순환 개선 기법 및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주요 착안점 및 실무에서의 기술적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보다 세밀한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적용이 활발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WEP, SHER, SWMM)의 적용사례를 통하여 국내 도시하천의 물순환 해석에 활용함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적용절차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 PDF

The parameter investig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odel to predict responses of vegetation to hydrological conditions (수문생태 모델의 개발을 위한 요소 검토)

  • Hong, Il;Lee, Jin-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76-1080
    • /
    • 2007
  • 최근 국내에서는 하천변 생태계를 대상으로 생태구조 및 서식처 평가 등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생태적 변화를 예측하고 예측된 결과에 따라 생태복원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연구는 현재까지 미흡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생태복원 연구에 있어 주요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유럽과 미국에서는 수문학적 서식처 조건에 따른 식생 반응 예측 등 수문생태 모형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습지, 홍수터 등을 대상으로 생태보전 복원분야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수문생태모형 적용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적용가능성 및 문제점에 대한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대상으로는 유역 내에 홍수량 분담을 위한 천변저류지를 적용하였으며, 의미상으로 홍수터(범람원), 습지 역시 해당 범위에 포함할 수 있다. 천변저류지는 홍수기와 비홍수기에 따라 활용 측면을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런 맥락에서 천변저류지의 수위변화는 식생 변화의 중요한 요소(factor)가 될 수 있다. 그 외 범람시기, 범람일수, 건조기간 등을 포함한 수문요소 역시 수문생태 모델의 예측 변수인 식생 성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수문/생태시스템의 상호관계를 활용하고 모형의 형태를 국내 식생에 대한 생리학적 특성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다면 국내 천변저류지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잠재적으로 식생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환경조건 예를 들면 영양물질, 토양구조, 토사 퇴적 등을 적용대상지 환경에 맞게 포함하거나 고려할 수 있다면 모형의 재현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의 기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분석된 인자들은 수달 서식지를 위한 하천정비의 기초자료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따른 유량측정망을 구축하는 것이다.의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한 일련의 과정, 즉 자료의 조사 및 취득에서부터 물순환 해석 모형을 이용한 정량적 현황파악, 물순환 개선 기법 및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주요 착안점 및 실무에서의 기술적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보다 세밀한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적용이 활발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WEP, SHER, SWMM)의 적용사례를 통하여 국내 도시하천의 물순환 해석에 활용함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적용절차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 PDF

경험적 방법에 의한 두만강 유사량 추정

  • Lee, Kwang-Man;Jang, Chang-Lae;Kim, Jo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60-1664
    • /
    • 2007
  • 두만강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의 환경보호를 위한 우선순위에서 토양보호가 높은 순위로 분류된 적은 거의 없었다. 토양손실에 의한 부정적 효과가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특히 농촌에서 토양 보전의 가치를 이해하거나 토양에서 직접적으로 혜택을 받고 있다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실제 동북아시아에서 토양보호와 관련하여 일관되게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국가 정책에 반영되고 그 결과 토양유실보호법이나 환경보호법 내에서 우선순위의 국가정책으로 도입된 것은 불과 지난 10-20년 사이의 일이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의 토사 유실은 매우 심각하며 이로 인해 많은 분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 수자원과 토지 자원을 잘 보전하고, 물과 토양의 침식을 제어하면서 생태계를 보호하는 것은 두만강 유역에 있는 연안 국가의 현대화를 위한 기초이자 장기 전략과제이다. 대상 지역에서, 토양의 침식형태는 주로 수리적 침식, 바람에 의한 침식, 결빙과 해동에 의한 침식, 산사태, 토석류, 밀도류 및 구릉의 함몰 등이 포함되며 이중 수리적 침식과 산사태에 의한 유실이 가장 일반적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자원의 이용 압력이 땅과 물의 퇴화를 유발한다는 증거가 많아지면서, 자연자원을 관리하는 방법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있으나 퇴사량에 대한 근본적 이해 없이는 불가능해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지 이용관리와 토사를 보호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토양의 침식에 대한 현재 상태를 상세하게 확인하였으며, 토양의 중요한 기능이 심각한 퇴화 과정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는 인식에 토대를 두고 토양 보호 프로그램을 유도하기 위해 두만강의 유사량을 경험적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포 분석방법으로는 BW관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국내 외적으로 하천 유사량 산정과 관련된 많은 경험식들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외국의 충적하천에 기초하여 개발되어진 유사량 공식들을 우리나라 하천에 무분별하게 적용하는 것은 위험스러우며, 유사량 산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리나라 하천의 지형, 수리, 수문학적 요소들이 유사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측을 통한 유사량 값을 하천의 지형, 수리, 수문학적 요소들과 비교 분석하여우리나라 하천에 맞는 유사특성을 알아보고, 기타 총유사량산정 공식을 이용하여 실측한 유사량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 PD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requency of Appearance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River Habitat for Otter (Lutra lutra) (수달(Lutra lutra)의 서식지 출현빈도와 하천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 Park, Eui-Jung;Kim, Dae-Young;Jin, Young-Hoon;Kim, Chul;Lee, Doo-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63-1069
    • /
    • 2007
  • 우리나라의 하천환경은 1990년대 이전의 산업화와 인구증가를 수반한 고도성장기를 거치면서 이수성 및 치수성만을 강조하며 개수되고 관리되었다. 그 결과 하천은 획일적인 단면과 저수로 및 제방이 콘크리트화되면서 하천의 자정능력은 감소되었고, 하천을 중심으로 생활하는 동물들의 서식처 기능을 상실해 하천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하천공사에 자연형 하천공법이 도입되기 시작하여 자연형 하천공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생태환경의 관점보다는 조경 및 경관적, 그리고 위락적인 관점에서 공원화에 주안점을 두고 있어 하천의 생태적 특성의 반영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듣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의 하천공법이 자연적 기능들 중 생물서식처 기능을 보다 깊이 다루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고려하여, 먹이사슬의 최상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환경의 건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수환경의 지표종이라 불리는 수달(Lutra lutra)을 대상으로 배설물에 의한 출현빈도와 하천환경 요인들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수달 서식지 복원을 위한 하천정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수달이 서식하고 있는 섬진강 지류인 서시천을 연구 대상지점으로 하여 5개 구간을 선정하였으며, 각 구간에 대한 계절별 수달의 배설물 분포를 조사하여 출현빈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먹이, 지형, 식생, 기상인자를 포함한 하천환경 요인들에 대한 자료를 각 계절별로 구축하였으며, 이를 수달의 출현빈도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데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 기술적으로는 멸종위기종의 복원, 사회경제적으로는 하천정비사업의 방향제시 등의 기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분석된 인자들은 수달 서식지를 위한 하천정비의 기초자료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따른 유량측정망을 구축하는 것이다.의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한 일련의 과정, 즉 자료의 조사 및 취득에서부터 물순환 해석 모형을 이용한 정량적 현황파악, 물순환 개선 기법 및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주요 착안점 및 실무에서의 기술적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보다 세밀한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적용이 활발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WEP, SHER, SWMM)의 적용사례를 통하여 국내 도시하천의 물순환 해석에 활용함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적용절차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

  • PDF

A Study on the Use of Buyonghyang During the Joseon Royal Wedding Ceremony - Focused on Sunjo Sunwonwanghoo Garyedogam Uigwe - (조선 왕실 가례의 부용향(芙蓉香) 연구 -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를 중심으로 -)

  • Ha, Sumi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2 no.3
    • /
    • pp.222-239
    • /
    • 2019
  • This paper studied Joseon royal incense, Buyonghyang, focusing on the case of Sunjo Sunwonwanghoo Garyedogam Uigwe. Incense was introduced to Korea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with Buddhist cultures. Buyonghyang is an incense that represented the royal family and was used in various rituals. Civilians also burned this incense in front of a bride's palanquin at a wedding ceremony. Buyonghyang had various uses-ceremonial uses, as a fragrance, to mothproof, and medical uses. Buyonghyang is a combined incense with ten different ingredients. This study tracked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incense ingredients through Takjijunjeol, Sejong Shilok Jiriji, an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identified properties of the ingredients and studied recipes using ancient medical books-Jejungshinpyeon, Donguibogam, etc. Then the cooperation and treatment of incense by craftsman were examined using the records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Seungjeongwon Ilgi. The significance of Buyonghyang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studied by examining its use at a royal wedding ceremony. This study considered Sunjo's wedding ceremony based on Sunjo Sunwonwanghoo Garyedogam Uigwe which is highly regarded as a well-organized system compared to other Uigwe. Buronghyang was burned during all of the ceremonies which took place in the palace. Conversely, it is considered that Buyonghyang was burned only during the Bisuchekui ceremony (investiture), which took place in the bride's place, according to the record of the mobilization of court ladies for various incense burners for the Bisuchekui ceremony. Since the incense was able to be used only after Bisuchekui, it is considered that only the royal family could use the incense, and it was a symbolic incense of the Joseon Royal Family.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during the Chosun Era - Focusing on Drought-related records of Chosunwangjoshillok - (조선시대 기후변화와 환경개선사업 관계 - 조선왕조실록의 가뭄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

  • Yu, Jae-Shim;Sung, Jong-S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29 no.3
    • /
    • pp.147-153
    • /
    • 2011
  • What kinds of environmental adaptation did people during the Chosun era take when climate change due to drought was perceived and natural disasters occurred? Research hypotheses is 'Mor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were conducted when climate disasters were experienced than rituals for rain calling. In this study, frequency samples for Rituals for Rain (RR, 祈雨祭) defined as abnormal climate of drought, Climate Disaster(CD)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EIP) were extracted from "Chosunwangjoshillok(朝鮮王朝實錄)". The analysis among RR, CD, and EIP were studied for a regression model. Research hypothesis was statistically tested. RR took placed the order of Sejong(世宗), Sukjong(肅宗) and Youngjo(英祖), while climate disasters were extracted under the Jungjong(中宗), Sungjong(成宗) and Taijong(太宗). EIP were most active under Youngjo(英祖), Sungjong(成宗) and Taijong(太宗). During the former part of the Chosun dynasty, abnormal climate was more seriously considered than climate disasters, while the opposite pattern was shown during the latter part. In a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IP and CD, the equation of EIP = 0.632CD was determined. As a test result, the study hypothesis the entire Chosun dynasty was dismissed. However, it is possible to statistically support that more EIP were conducted in order to adapt to the climate change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dynasty when climate disaster were experienced.

Jang(Fermented Soybean) in Official and Royal Documents in Chosun Dynasty Period (조선조의 공문서 및 왕실자료에 나타난 장류)

  • Ann, Yong-Geun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25 no.2
    • /
    • pp.368-382
    • /
    • 2012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system that is relevant to Jang(fermented soybean paste or solution), the relief of hunger-stricken people by Jang, 33 kinds of Jang, and its consumption in the documents, such as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Ihlseong-document, Seungjeongwon daily, Uigwe(record of national ceremony), official documents on the basis of Kyujanggak institute for the Korean studies and data base of Korean classics. There are lots of Jang named after the place of particular soybean's production from the ancient times. Jang, soybean, salt and Meju(source of Jang), during the Dynasty, were collected as taxation or tribute. In the 5th year of Hyeonjong(1664), the storage amount of soybean in Hojo(ministry of finance) was 16,200 $k{\ell}$, and its consumption was 7,694 $k{\ell}$ a year. In the 32nd year of Yongjo(1756), the 1,800 $k{\ell}$ of soybean was distributed to the people at the time of disaster, and in his 36th year(1756), the 15,426 $k{\ell}$ of soybean was reduced from the soybean taxation nationwide. The offices managing Jang are Naejashi, Saseonseo, Sadoshi, Yebinshi and Bongsangshi. Chongyoongcheong(Gyeonggi military headquarters) stored the 175.14 $k{\ell}$ of Jang, and the 198 $k{\ell}$ of Jang in Yebinshi. There are such posts managing Jang as Jangsaek, Jangdoo, and Saseonsikjang. In the year of Jeongjong(1777~1800), the royal family distributed the 3.6 $k{\ell}$ of Meju to Gasoon-court, Hygyeong-court, queen's mother-court, queen's court, royal palace. The 13.41 $k{\ell}$ of Gamjang(fermented soybean solution) was distributed to the Gasoon-court, 17.23 $k{\ell}$ to Hegyeong-court, 17.09 $k{\ell}$ to the queen's mother-court, and the 17.17 $k{\ell}$ to the queen's court each. There are 112 Jang-storing pots in the royal storages, and the 690 are in Namhan-hill, where the 2.7 $k{\ell}$ of fermented Jang was made and brought back by them each year. At the time of starvation, Jang relieved the starving people. There are 20 occasions of big reliefs,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5th year of Sejong(1423), the 360 $k{\ell}$ of Jang was given to the hunger-stricken people. In his 6th year(1424), the 8,512.92 $k{\ell}$ of rice, bean, and Jang was provided and in the 28th year(1446), the 8,322.68 $k{\ell}$ of Jang was also provided to them. In the Dynasty, Jang was given as a salary. In case that when they were bereaved, they didn't eat Jang patiently for its preservation. They were awarded for their filial piety. In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there are 19 kinds of Jang. They are listed in the order of Jang(108), Yeomjang(90), Maljang(11), Yookjang(5), Gamjang(4), and etc.,. In Seungjeongwon daily, there are 11 kinds of Jang. Jang(6), Cheongjang (5), Maljang(5), and Tojang(3) are listed in order. In the Ihlseong-document, there are 5 kinds of Jang. They are listed in Jang(15), Maljang(2), Gamjang(2), and etc.,. There are 13 kinds of Jang in Uigwe, and the official documents, in the order of Gamjang(59), Ganjang(37), Jang(28), Yeomjang(7), Maljang(6), and Cheongjang(5). In addition, shi are Jeonshi(7), and Dooshi(4). All these are made of only soybean except, for Yookjang. The most-frequently recorded Jang among anthology, cookbook,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Ihlseong-document, Seoungjeongwon daily, Uigwe, or official document is Jang(372), and then Yeomjang(194), Gamjang(73), Cheongjang(46), Ganjang(46), Soojang(33), and Maljang(26), which were made of soybean. Jang from China in cookbook is not in anthology and royal palace documents. Thus, traditional Jang made of soybean was used in the daily food life in the royal court, and in the public during the Chosun period.

The significance and structural improvement of burial mound in Geonwonneung and Heonneu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Byeongpungsadaeseok and Nanganseok - (조선초 건원릉과 헌릉의 봉릉 구조개선과 의의 - 병풍사대석과 난간석을 중심으로 -)

  • SHIN Jihye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5 no.4
    • /
    • pp.118-135
    • /
    • 2022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structure of Byeongpungsadaseok (屛風莎臺石) and Nanganseok (欄干石) in Geonwonneung (建元陵) and Heonneung (獻陵), which were built in the early of 15th century, based on the Annals of King Sejong. In addition,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structural changes and their significance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with the contents of the dismantlement survey. Geonwonneung, Jereung(齊陵), and Heonneung were repaired at the same time in 1442, and the structural changes were the similar. The purpose of the repair in 1442 was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underground palace with smooth drainage.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structure of Geonwonneung and Heonneung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it was created in a very similar form to the Hyeonneung and Jeongneung of Goryeo. And it was clearly recognized that the Royal Tomb of Goryeo was followed. However, as the structure was improved in 1442,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Tomb of the Joseon Dynasty were formed. First is the appearance of the Bokbuhyeong lime (覆釜形石灰, which is a convex roof on the Byeongpungsadaseok that serves to prevent rain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burial mound. It also plays a role in connecting and fixing the Manseok (滿石) and the Inseok (引石), which are the upper structures of the Sadaseok (莎臺石). Second, the Bakseok (薄石) between the nanganseok and the sadaseok has been transformed into the Sangseok (裳石) with a slope. This plays a role in protecting the inner stone chamber by expanding the length of the bakseok, which forms an overall slope, like the eaves of the roof. After both of these features were first attempted in 1442, they were applied to all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and became unique features of these Royal Tombs.

A study on the significance and structural improvement of the stone chamber tomb by the application of a compound lime - Mortar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in the Joseon Dynasty (조선 세종대 삼물회(三物灰) 도입에 따른 석실릉 구조개선과 의의)

  • SHIN, Jihye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5 no.1
    • /
    • pp.223-242
    • /
    • 202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ning of structural changes that appeared in th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after the application of a compound lime-mortar(Sammulhoe三物灰: the mortar with lime, sand, oche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royal tomb was constructed by following the system of the stone chamber tomb in the Goryeo Dynasty. However the system of the stone chamber tomb recorded in 『GukJo-OReYi(國朝五禮儀: The five category's formalities in the Joseon Dynasty)』 is very different from that in the Goryeo Dynasty. The biggest difference is that a compound lime-mortar was applied into the system of the stone chamber tomb in order to attempt structural reinforcement. This change reflects King Sejong's willingness to build a dense structure in which water does not permeate the stone chamber when Yeongneung(英陵) was built in 1446(the 28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Yeongneung is a complex structure consisting of a stone chamber and compound lime-mortar wall. After constructing a stone chamber, the 1.2m(4尺) thick wall with a compound lime-mortar is additionally constructed outside the stone chamber structure. In 1468(the year of King Yejong's accession), according to the will of King Sejo, the stone chamber system was abolished and the Hyeongung(玄宮: the chamber enshrining a coffin of the deceased king or queen consort) was constructed only by the thick wall with a compound lime-mortar. This change become a primary cause for the royal tomb to be constructed as Hoekyukneung(灰隔陵: the royal tomb with chamber constructed only by the thick wall with compound lime-mort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Hoekyukneu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s been constructed with the method 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for the thick wall with a compound lime-mortar since the complex structure recorded in 『GukJo-OReYi(國朝五禮儀)』. The Hoekuykseoksilneung(灰隔石室陵: the complex structure consisting of a stone chamber and compound lime-mortar wall) is unique tomb style of Joseon Dynasty and become a motive of tomb system(Hoekuykneung) in the late Joseon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