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정조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3초

전기영동 패턴에 의한 2조보리 계통의 Esterase 동위효소 유전자형 변이분석 (Genotypic Variation of Esterase Isozyme in Breeding Lines of Two-rowed Barley by Electrophoretic Banding Pattern)

  • 박광근;최홍집;이종호;서세정;김재철;남중현;김상효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65-470
    • /
    • 2002
  • 맥주보리 교배모본(Crossing block) 380품종 및 계통을 공시재료로 esterase 동위효소 가운데 4개의 loci에 대한 allele의 종류, 발견빈도, 유전자형 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한 380 계통중 Est1 locus에서는Pr, Al, Ca, Af등 4개의 alleles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그 중 Pr allele이 약 70%, Ca allele이 28.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Ca 및 기타 Al allele은 2% 미만이었다. 2. Est2 locus에서는 Dr, Fr, Sp, Un, null 등 5개의 allele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allele이 84.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null allele가 10%이었다. 3. Est4 locus에서는 Nz, Su, At, null 등 4개의 allele이 발견되었는데 Su allele가 약 8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Nz, allele가 10.5%, At allele가 4.2%의 빈도를 보였다. 4. Est5 locus에서는 Mi, Pi, Te, od(null) 등 4개의 allele이 발견되었으며 Pi allele이 61.0% Mi allele이 34.2%이었다. 5. 4개의 Esterase loci에서 나타나는 pattern을 기준으로 한 유전자형은 25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G1형(Pr-Fr-Su-Mi)이 28.1%, G2형(Pr-Fr-Su-Pi)이 39.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12형(Ca-Fr-Su-Pi)이 약 8.1%의 비율로 나타났다. 기타의 유전자형들은 그 발견 빈도가 극히 낮은 편이었다.

$UV/H_2O_2,\;UV/TiO_2/H_2O_2$, Photo-Fenton 산화방법에 의한 Citric Acid의 분해효율 비교 (Comparative Studies Of the $UV/H_2O_2,\;UV/TiO_2/H_2O_2$ and Photo-Fenton Oxidation for Degradation of Citric Acid)

  • 서민혜;조순행;하동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29-437
    • /
    • 2006
  • 화학세정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citric acid의 효율적인 처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UV/H_2O_2,\;UV/TiO_2/H_2O_2$, Photo-Fenton 산화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citric acid의 제거효율 및 그에 따른 전력소비량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조사된 최적 처리조건에서 $UV/H_2O_2,\;UV/TiO_2/H_2O_2$, Photo-Fenton 산화방법을 이용한 citric acid 농도에 근거한 TOC 제거효율은 각각 95.5%, 92.3%, 91.5%로 조사되었으며, 그에 따른 전력소비량은 $11.26kWh/m^3,\;3.85kWh/m^3,\;0.799kWh/m^3$으로 조사되었다. 이 결과에 의하면 세가지 광화학적 산화방법 모두 유기물질이 90% 이상 제거되어 citric acid의 분해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Photo-Fenton 산화방법이 다른 방법에 비해 처리에 소요되는 반응시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화학적 산화방법의 운영비를 결정짓는데 중요한 요소인 전력소모량 측면에서도 Photo-Fenton 산화방법이 다른 방법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어 본 연구에서 비교하는 세가지 방법 중 citric acid 처리에는 Photo-Fenton 방법이 효율적인면과 경제성면에서 가장 적합한 처리기술로 결론지을 수 있었다.

침지형 막 분리 활성슬러지법에서 막의 재질 및 구조가 파울링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embrane Material and Structure on Fouling of a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 최재훈;김형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1-36
    • /
    • 2008
  • 본 연구는 도시하수 처리를 위한 침지형 막 분리 활성슬러지법(membrane bioreactor: MBR) 시스템에서 막 재질 및 구조가 파울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polytetrafluoroethylene(PTFE), polycarbonate(PCTE) 및 polyester(PETE)의 정밀여과 막(기공크기: 0.1 $\mu$m)을 사용하였다. 120일의 운전기간 동안 PETE막 여과속도는 다른 막들에 비해 가장 빠른 감소경향을 보였으나, 화학세정을 할수록 점차 PCTE 및 PTFE막과 유사한 여과속도 감소경향을 보였다. PETE막의 유기물 제거율이 다른 막들에 비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막의 빠른 파울링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응조내 슬러지 상징액 및 막 여과수에 존재하는 DOC성분을 친수성 및 소수성으로 분획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막의 친수성/소수성이 MBR 파울링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파울링이 발생한 막들의 각종 여과저항 값을 분석한 결과, PETE막은 비가역적 파울링에 의한 영향이 다른 막들에 비하여 컸으며, 유기물 제거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웅성불임성을 이용한 수도잡종품종개발 II. 중공의 세포형질 유전적 웅성불임계통에 대한 몇가지 한국품종의 반응 (Development of Hybrid Rice Facilitated by Cytoplasmic Genetic Male Sterility II. Responses of Korean Cultivars to the Chinese Cytoplasmic Genetic Male Sterile lines)

  • 허문회;김홍열;조윤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7-231
    • /
    • 1984
  • 중공의 CGMS (cytoplasmic-genetic male sterility)를 한국품종으로 이전하여 그들을 MS유지계통으로 쓸 경우 이들이 임성회복친과 교잡되어 발현될 것으로 기대되는 수중의 잡종강 세정도를 중공의 CGMS계통 및 그 유지계통들과의 잡종과 대비하여 조사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수량의 잡종강세는 heterosis(F$_1$/MP)로 표현하여 113~221.1% 전체평균 150.5%이었고 hetero-beltiosis(F$_1$/better p)로 표현하여 86.1~179.8%전체평균 125.3%이였다. 품종군별로는 중공계통들이 가장 높았는데 유지계통들은 MS계통들보다 높았다. 다음으로 높은 것은 임성회복친들이었고 한국품종으로 유지계통들은 가장 낮은 잡종강세를 보였다. 2. 수량구성요소별로 잡종강세를 heterobeltiosis로 표현해 보면 수수는 전체평균 92.7%로 감소되었고 수당입수는 120.0%로 증가했으며 임실율은 103.0%로 유의할만한 변화가 없었고 천립중은 112%로 증가하였다. 증수에 크게 기여한 수당입수와 천립중의 heterobeltiosis를 품종군별로 보면 수량의 그것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3. 수량구성요소가 수량에 기여한 정도를 임성회복친별 교배조합군별로 검토하기 위하여 경노계수를 계산하였더니 밀양46, 수원294 및 수원287 조합 모두에서 다같이 수당입수가 0.8073~0..8649로 가장 컸고 다음은 천립중으로 0.2000~0.5032이었다. 4. 품종군별 잡종조합의 수량을 교배조합능력이라고 간주하고 이것을 전체평균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여 비교했는데 임성회복친 중 밀양46과 수원294는 일반조합능력은 비슷하나 특수조합능력은 차가 있고 S. 287은 일반조합능력이 떨어진다. 유지계통별로는 중공의 유지계통이 가장 높았고 한국유지계통이 가장 낮았다. 중공의 CGMS를 한국품종으로 이전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 PDF

생물전기화학시스템을 이용한 염화에틸렌의 생물학적 탈염소화 (Biological Dechlorination of Chlorinated Ethylenes by Using Bioelectrochemical System)

  • 유재철;박영현;선지윤;홍성숙;조순자;이태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04-311
    • /
    • 2012
  • 산업용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PCE (Perchloroethylene)나 TCE (Trichloroethylene)와 같은 염화에틸렌화합물은 안정된 세정력을 가지고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무분별한 사용과 부주의한 취급으로 인해 최근 토양 및 지하수 오염지역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퇴적토, 슬러지, 토양, 지하수 등 다양한 지역에서 총 10개의 시료를 식종원으로 이용하여 생물학적 PCE 탈염소화 가능성을 평가하고, 가장 우수한 탈염소화 능력을 보인 낙동강 퇴적토 시료를 대상으로 PCE를 에틸렌까지 안정적으로 탈염소화 가능한 혼합미생물을 농화배양하였다. 농화배양된 탈염소화 미생물을 생물전기화학시스템(Bioelectrochemical System, BES)의 환원부에 식종하여 전극을 전자공급원으로 이용한 탈염소화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PCE가 TCE, cis-dichloroethylene, vinyl chloride를 거쳐 최종산물인 에틸렌으로 탈염소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를 이용한 미생물군집 분석결과, 농화배양액에서 구축된 탈염소 미생물 군집과 BES 환원전극부내 미생물 군집 구조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전기화학적 활성을 지닌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BES 환원전극부에서 부유성장하는 미생물과 전극에 생물막을 형성하는 미생물 군집구조에도 큰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탈염소화 메커니즘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서 자세한 생물전기화학적 탈염소화 메커니즘을 밝혀낸다면 생물전기화학적 탈염소화 기술은 염화에틸렌 오염 토양/지하수의 획기적인 생물정화기술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

잇솔질 마모 처리한 불소방출성 수복재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LUORIDE RELEASING RESTORATIVE MATERIALS AFTER TOOTHBRUSH-DENTIFRICE ABRASION)

  • 박종하;백병주;양연미;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05-713
    • /
    • 2004
  • 불소는 항우식 작용을 보이므로 치아의 우식 예방을 고려 한 진료가 이루어지면서 치면에 불화물을 도포하거나 불소 함유 구강세정액을 사용하거나 불소방출성의 수복재료를 적용하거나 하는 등의 우식억제 방법이 치과임상에서 빈번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불소 방출을 보이는 수복재료의 잇솔질 후 불소방출과 잇솔질로 인한 표면조도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7종의 불소를 방출하는 수복재료로 Fuji II LC Improved: FL, Compoglass F CG, Dyract AP: DR, F2000 : FT, Ariston: AT, Tetric: TR, 그리고 Gradia: GD를 연구재료로 사용하였다. 불소 방출은 10,000회의 잇솔질을 시행한 후 10일 동안의 방출량을 측정하였고, 표면조도는 40,000회의 잇솔질 후 중심선평균거칠기 Ra와 최대거칠기 Ry를 측정하였으며, 마모면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잇솔질 후의 불소 방출량과 표면 관찰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불소방출은 AT군, FL군 및 CF군의 경우에는 초기단계에 다량의 급격 한 방출을 보인 후 상대적으로 낮으면서도 지속적인 방출 양상을 보였지만, 나머지 시험군의 경우에는 초기단계로부터 낮으면서도 지속적인 방출을 보였다. 2. 불소방출은 약 40일 경과 후 안정적인 방출 양상을 나타냈으며, Tukey 분석 결과, AT군, 레진강화 GIC의 FL군, 콤포머군 전부 및 불소방출성 콤포짓트 레진의 GD군과 TC군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방출량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표면조도는 FT군에서 가장 크고 CF군에서 가장 작은 값을 보였으며, Tukey 분석 결과, FT군, AL군 및 FL군과 TC군, DR군, GD군 및 CF군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 PDF

계육(鷄肉)의 유통기간연장(流通期間延長)을 위(爲)한 위생처리방법(衛生處理方法)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 of Sanitation Treatment of Extending Shelf-life on Fresh Poultry Meats)

  • 조무제;장판형;박구부;이보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91-300
    • /
    • 1982
  • 시판계육(市販鷄肉)의 유통기간(流通期間)을 연장(延長)시키기 위(爲)한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效率的)인 위생처리방법(衛生處理方法)을 연구(硏究)하기 위(爲)하여 위생처리제(衛生處理劑)로서 $Cl_2$, $ClO_2$, potassium sorbate, acetic acid, succinic acid, aureomycin, neomycin, $Cl_2+potassium sorbate$, $Cl_2+acetic acid$$Cl_2+succinic acid$ 등(等)을 사용(使用)하여 dipping 및 spray 두가지 방법(方法)으로 위생처리(衛生處理)를 한 후(後) polyvinylidene chloride 및 polyethylene으로 포장(包裝)하여 $3{\sim}4^{\circ}C$의 냉장온도(冷藏溫度) 및 $10{\sim}20^{\circ}C$의 실온(室溫)에서 저장(貯藏)하면서 각위생처리제(各衛生處理劑)의 종류(種類) 및 농도(濃度), 위생처리방법(衛生處理方法), 포장(包裝) 및 저장온도등(貯藏溫度等)이 계육(鷄肉)의 shelf-life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하여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생계표피(生鷄表皮)에는 미생물(微生物)들이 오염(汚染)되어 있으나, 이들의 대부분(大部分)은 침탕(浸湯) 및 털뽑기 과정중(過程中)에 제거(除去)내지는 사멸(死滅)되고 도계최종단계(屠鷄最終段階)에 계육표면(鷄肉表面)에 존재(存在)하는 미생물(微生物)들의 대부분(大部分)은 세정(洗淨) 및 냉각수(冷却水)로부터 오염(汚染)된 것들로서 보다 효과적(效果的)인 위생처리(衛生處理)를 위(爲)해서는 세정수(洗淨水) 및 냉각수(冷却水)가 가급적 미생물(微生物)에 의(依)한 오염(汚染)이 적어야 shelf-life가 연장(延長)될 수 있다. 2. 도계최종단계(屠鷄最終段階)에 계육표피(鷄肉表皮)에 존재(存在)하는 미생물(微生物)들의 총생균수(總生菌數)는 $3.5{\times}10^4/cm^2$, coliform 수(數)는 $400/cm^2$ 내외(內外)였으며 salmonella는 거의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비록 생계(生鷄)에서 salmonella가 검출(檢出)된 경우라 할지라도 침탕과정(浸湯過程)을 거치는 동안 사멸(死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위생처리방법(衛生處理方法)으로서는 dipping 법(法)에 비(比)하여 spray 법(法)이 다소(多少) 효율적(效率的)이었으며 dipping 법(法)의 경우 대부분(大部分)의 위생처리제(衛生處理劑)에 있어서 5분간(分間)의 침적(沈積)으로서 spray 법(法)에서는 1l/bird 정도(程度)의 분무(噴霧)로서 충분(充分)한 위생처리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4. 위생제처리후(衛生劑處理後) $3{\sim}4^{\circ}C$의 냉장온도(冷藏溫度)에 저장(低張)할 경우 control에 비(比)하여 $Cl_2$는 30 ppm 처리(處理)로서 1주간(週間), $ClO_2$는 10 ppm 처리(處理)로서 10일(日), potassium sorbare는 5% 처리(處理)로서 14일(日), acetic acid는 4% 처리(處理)로서 8일(日), succinic acid는 1% 처리(處理)로서 6일(日), aureomycin 및 neomycin은 10 ppm 처리(處理)로서 10일(日), $Cl_2$ 30 ppm+potassium sorbate 5% 처리(處理)로서 2일(日), $Cl_2$ 30 ppm+acetic acid 4% 처리(處理)로서 16일(日), $Cl_2$ 36 ppm+succinic acid 1% 처리(處理)로서 12일(日) 정도(程度) shelf-life를 연장(延長)할 수 있다. 그러나 $10{\sim}20^{\circ}C$의 실온(室溫)에 저장(貯藏)할 경우에는 대부분(大部分)의 위생제처리(衛生劑處理)로서 $1{\sim}2$일(日) 정도 shelf-life를 연장(延長)할 수 있었다. 5. 위생제처리후(衛生劑處理後) 저장(貯藏) 포장(包裝)한 후(後) 저장(貯藏)하는 것이 포장(包裝)하지 않고 저장(貯藏)하는 것에 비(比)하여 연장(延長)되었으며, 포장재료(包裝材料)로서는 산소(酸素)의 투과성(透過性)이 거의 없는 polyvinylidene chloride가 polyethylene에 비(比)하여 보다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Cl_2$ 30 ppm과 potassium sorbate 5%의 연속처리후(處理後) polyvinylidene chloride로 포장(包裝)하여 $4^{\circ}C$에 저장(貯藏)할 경우 약(約) 40일정도(日程度) 부패(腐敗)없이 저장(貯藏)이 가능(可能)하였다.

  • PDF

재배지역에 따른 고구마(Ipomoea batatas (L.) Lam) 품종의 전분 특성 차이 (Difference of Starch Characteristics of Sweetpotato (Ipomoea batatas (L.) Lam) by Cultivated Regions)

  • 한선경;송연상;이형운;안승현;양정욱;이준설;정미남;서세정;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682-692
    • /
    • 2013
  • 재배지역에 따른 고구마 전분의 특성을 구명하여 고구마의 새로운 식품산업 소재로서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구마 재배기간의 평균온도는 $16.7-28.2^{\circ}C$, 강수량은 882(무안)-1,682 mm(함양)로 함양지역의 강수량이 많았으며, 일조시간은 702.4(익산)-793.5 시간(무안)으로 무안지역이 많았다. 지역별 시험구의 토성은 무안, 익산, 보령지역은 사양토, 논산지역은 사질식양토, 함양지역은 양토였으며 pH는 5.5-6.2 범위였다. 재배지역에 따른 전분 함량은 29.4-59.20%, 아밀로스 함량은 22.3-30.9%의 범위를 보였고 전분 함량은 무안지역이, 아밀로스 함량은 익산지역에서 높았다. 고구마 전분의 수분함량은 9.80-15.60%, 단백질 함량은 0.02-0.07%, 조지방 함량은 0.05-0.28%, 회분 함량은 0.10-0.30%의 범위였고 단백질 함량은 익산지역이 높았다. 호화개시온도는 무안지역이 높고 함양지역이 낮았으며 최고, 최저, 최종점도, breakdown, setback은 함양지역이 높고 무안지역이 낮았다. To, $T_p$, $T_c$는 무안, 논산지역이 높고 함양지역이 낮았으나 ${\Delta}T$${\Delta}H$는 함양지역이 높았다. 고구마의 회절각도는 $15.08^{\circ}-15.32^{\circ}$, $16.92^{\circ}-17.72^{\circ}$, $22.90^{\circ}-23.62^{\circ}$에서 강한 피크를 보여 전분의 결정화도 형태 중 C형에 속하였다. 고구마 전분의 입자 형태는 전 지역에서 대부분 둥글고 타원형모양을 하고 있었으며 일부 다각형의 입자 형태를 포함하고 있었다. 전분의 입도분포는 같은 품종이라도 재배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평균입도는 12.07-28.32 ${\mu}m$의 범위로 무안지역이 작고 익산지역이 큰 경향이었다.

순환식 막 모듈 여과장치를 이용한 산성용액의 수처리 공정 시 발생하는 한외여과막 오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uling of Ultrafiltration Membranes Used in the Treatment of an Acidic Solution in a Circular Cross-flow Filtration Bench)

  • 김남준;최창민;최용훈;이준호;김환진;박병재;주영길;강진석;백윤기
    • 멤브레인
    • /
    • 제19권3호
    • /
    • pp.252-260
    • /
    • 2009
  • 산성 용액의 수처리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중공사형 한외여과막에 미치는 영향을 십자흐름 방식의 순환식 막 모듈 여과 장치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막 모듈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pH 2인 강산성 용액의 수처리를 시작한 지 약 80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막 투과량(permeate flux)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관측하였다. 또한, 수처리 시간 별로 막 모듈 여과장치의 공급조에서 채취한 샘플 용액의 자외선/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럼과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수처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막 모듈을 통과한 농축액 속에 새로운 유기 화합물이 생성된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질량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이 화합물을 1,6-dioxacyclododecane-7,12-dione이라고 예측하였으며, 각종 플라스틱 특히 폴리우레탄 제조 시 사용되는 첨가제 중 하나라는 사실도 알아내었다. 수처리에 사용된 막에 대한 전자주사 현미경 사진 및 고체 NMR 분석 등의 추가 실험을 통해 산성 용액 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막 투과량의 감소는 산성 용액 하에서 일어나는 UF막의 변형에 의한 것이 아니라 막 모듈 여과장치에 사용된 폴리우레탄 튜브에서 산과의 반응에 의해 용출된 저 분자량의 유기화합물이 막 오염 현상을 일으켰기 때문인 것으로 결론지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산성 용액의 수처리 공정 시 UF막 자체의 산에 대한 반응성 뿐 아니라 막 모듈을 포함한 수처리 장치 자체의 산에 대한 반응성 역시 산 용액의 수처리 효율은 물론, 산을 이용한 막의 화학 세정 효율 및 수처리 막의 pH 사용 한계를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는 것을 보여준다.

LC-MS/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식물생장조절제 Trinexapac-ethyl과 대사산물 Trinexapac의 동시분석법 개발 (Development of a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ation of Trinexapac-ethyl and Trinexapac in Agricultural Products Using LC-MS/MS)

  • 장진;김희정;고아영;이은향;주윤지;장문익;이규식;서세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18-327
    • /
    • 2015
  • Trinexapac-ethyl은 식물체 중 생장조절세포의 신장 촉진 호르몬인 gibberellin의 합성을 막아 곡류 및 잔디의 도복 방지나 초장 억제용으로 사용되는 생장조절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농산물에서 trinexpac-ethyl이 대사산물인 trinexapac으로 잔류함에 따라 현행 식품공전(4.1.4.91) trinexpac-ethyl 모화합물 분석법을 trinexapac-ethyl 및 trinexapac의 동시분석법으로 개선하였다. 대표 농산물 시료(현미, 대두, 감귤, 고추, 감자)를 methanol/distilled water 혼합액으로 추출하고 HCl으로 pH를 2.5 이하로 낮춘 뒤 dichloromethane으로 액액분배하여 간섭물질을 제거하였다. 분석기기로는 모화합물과 대사산물을 동시분석하기에 적합한 LC-MS/MS를 사용하였고, 이에 따른 분석법의 검출한계(LOD) 및 정량한계(LOQ)는 각각 0.003, 0.01 mg/kg으로 확인되었다. 모든 농산물 및 처리농도와 관계없이 trinexapac-ethyl 및 trinexapac이 각각 73.6-106.9%, 72.7-99.2%의 평균 회수율을 보였으며 상대표준편차 또한 9.0% 이하로 나타나 잔류물 분석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CAC/GL 40, 2003)을 만족하는 수준으로 확인되어 개발된 분석법의 재현성, 정확성, 정밀성 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법은 농산물 중 trinexapac-ethyl의 안전관리를 위한 공정분석법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