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계도시

Search Result 90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eveloping and Applying Smart Tourism Cities Competitiveness Index (스마트관광도시 경쟁력 지표 개발과 적용)

  • Lee, Hyun-Ae;Koo, Chul-Mo;Chung, Hee-Chung;Chung, Nam-Ho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9 no.4
    • /
    • pp.91-108
    • /
    • 2022
  • Keen attention has been directed at "smart tourism cities" due to its role of solving urban problems arising from modern tourism development. However, some local governments are making huge investments in developing uniform tourism apps without specific directions or guidelines for the transformation of smart tourism citie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tandardized and objective smart tourism competitiveness index and evaluate the competitiveness rankings of various cities around the world. The index comprises the five subindices of attractiveness, accessibility, digitalization readiness, sustainability, and co-partnership. The analysis results have shown that Singapore is the most competitive smart tourism city, followed by Amsterdam, New York City, Seoul and Barcelona, with Ho Chi Minh and Bangkok being relegated to the bottom of competitiveness rankings. We expect that this index can be employed as a global standard for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monitoring smart tourism city-related projects in the future.

A Study on the Creative City Construction Methodology of Citizen Participation through the Survey of Resident's Awareness - Focusing on Old Downtown in Incheon City - (주민의식조사를 통한 주민참여 중심의 창조도시 조성 방안에 관한 연구 - 인천시 원도심 중심으로 -)

  • Kim, Min Suk;Lee, Woo Hyoung
    • Design Convergence Study
    • /
    • v.12 no.6
    • /
    • pp.159-175
    • /
    • 2013
  • Recently, Interests in rehabilitation of the old town center has grown. Incheon city are propelling many renewal plans for the area, Rapid Urbanization and outskirt developments have expanded city space and city center has been weakened and declined. With responds to these phenomena, World's interests on creative city is increasing nowadays and projects of creating creative city from many countries are being launched.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who follows this trend and is also proceeding projects on creating creative city. However, identities of our nation and city which have rapidly grown only based on logics of economic growth are disappearing. Hence, this study intend to focus on the cities of creative which draw the participation of its citizens. Thus, this study examining basic theoretical background from literatures, theory,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citizen participation & creative city. Then, the study establish a framework of analysis by extracting principal factors to creative city construction methodology centered on citizen participation.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e creative city construction methodology of citizen participation centered on for old downtown through survey residents consciousness.

A Study on Annoyance Degradation to Indoor Noise in the Village Bus (마을버스 이용 실내소음에 의한 성가심도 저하에 관한 연구)

  • Park, Hyungwoo;Bae,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87-88
    • /
    • 2017
  • 오늘날 도시의 규모가 커지고 도시의 기능이 점점 복잡해진다. 또한, 도시에는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으며, 계속해서 도시로 사람들이 모이게 된다. 그러므로 도시에서의 삶은 서로 간에 점점 더 가까워지고 많은 부분에서 이웃 사람들과 연결되고 공간과 시간을 공유하게 된다. 특히, 사람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원하든 원치 않았든 많은 소리에 노출 되며, 그 소리에 대한 영향으로 서로 피해를 보기도 한다. 서울은 세계에서 가장 혼잡한 도시 중 하나이며, 이런 서울의 대중교통 중 마을버스는 좁은 골목길을 포함해 도로를 다니며 시민들의 공공의 이동을 담담하고 있다. 이 마을버스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차량 내에서 좋은 승차감, 높은 공기질 및 적은 소음에서 이용하기를 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마을버스의 실내 소음에 대한 성가심도를 소음도 및 혼잡도에 관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별로 어떠한 경우에 성가심도가 높은지를 판단하고, 저감하는 방법을 마련하도록 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마을버스 내부 소음은 새 차와 오래된 차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성가심도 또한 도로 상황에 따른 소음의 정도에 민감한 반응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저감대안으로는 차량의 소음이 적게 발생 시키는 운전과, 차량의 정비 등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Ability of Urban Parks (도시공원 방재기능 평가체계 개발 및 적용)

  • Huang, Zhirui;Lee, Ai Ra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7 no.3
    • /
    • pp.199-207
    • /
    • 2020
  • Against the backdrop of frequent weather disasters such as floods, droughts, and heat waves worldwide, urban parks should provide functions for the safety of urban residents as well as rest, culture, and ecological functions. In this study, a classification system for urban disaster prevention parks is proposed for the safety of the urbanites with the aim of securing a complex function in a green space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s in the city. Analytical indicators were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was verified through on-site surveys of the target sites and interviews with those involved. The large class for evaluation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location, spatial composition, and disaster prevention complex facilities of urban park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was proposed for problems ident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지역건축탐방(15) - 신도시(하)

  • Dong, Jeong-Geun
    • Korean Architects
    • /
    • no.2 s.370
    • /
    • pp.43-43
    • /
    • 2000
  • 신도시는 수도권 주택문제 해결을 위하여 1980년대부터 건설되어 왔다. 행정기관의 분산정책과 함께 개발된 과천 신도시와, 주택 200만호 건설을 위하여 급조된 분당, 일산 등 신도시들이 건설되면서 건설업계는 한동안 호황과 함께 자재, 인력 부족이라는 몸살을 앓기도 하였다. 고층 고밀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구성된 신도시는 주택 보급률 향상에는 도움을 주었지만 주거의 질에 대한 문제의 심각성을 부각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가장 빠른 기간에 거대한 신도시 건설은 세계 도시사에 신기록으로 남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건설배경이나 건설과정의 어려움을 잊고 이제는 위성도시로 자리잡아 가면서 나름대로의 지역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대부분 수도권에 위치한 신도시의 주민은 수도권 주변에서 떠돌다 모여들었고, 서울을 생활기반으로 삼고 있다. 낯선 곳에 낯선 사람들이 모여 새로운 도시설계 기법으로 설계된 낯선 도시에서 만나 살아가는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새로운 도시 문화를 구축하고 있다. 그들은 급변하는 우리 현실에서 신도시에 대한 적용을 어떻게 하고 있는가? 신도시, 그곳에도 지역성은 있는가? 각 지역별로 새롭게 형성된 신 문화지형은 어떠한 모습으로 형성되고 있는가? 그리고 그곳에서 새롭게 자라나고 있는 도시건축문화는 무엇인가?라는 의문은 건설후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 건설이 완성될 때까지, 또 계속 팽창되어 가는 신도시에 던져질 화두이다. 지역건축탐방은 인천을 시작으로 전국을 돌아 이제 신도시와 북한 편으로 마감을 하게되었다. 이 연제를 계기로 지역건축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고조되었고, 또 지역건축에 관심이 있었던 건축사(가)나 학자들의 모임이 활성화 되기도 하였다. 지역성에 대한 문제는 지역주민의 꾸준한 관심에서 출발되고 그 지역을 만들어나가는 건축사(가)들의 의식속에서 자라나게 된다. 또한 지역건축의 활성화는 지역문화형성의 밑거름이 되고 나아가 우리문화의 원천이 될 것이다. 지역성에 대한 문제는 앞으로 더욱 논의가 되어야할 영원한 과제이다. 신도시 편은 1999년 12월호 상편에 이어 이번호에 하편을 게재한다.

  • PDF

Deep Learning City: A Big Data Analytics Framework for Smart Cities (딥러닝 시티: 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제안)

  • Kim, Hwa-Jong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4 no.4
    • /
    • pp.79-92
    • /
    • 2017
  • As city functions develop more complex and advanced, interests in smart cities are also increasing. Smart cities refer to the cities effectively solving urban problems such as traffic, safety, welfare, and living issues by utilizing ICT. Recently, many countries are attempting to introduce big data, Internet of Thing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to smart cities, but they have not yet developed into comprehensive urban services. In this paper, we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overseas smart cities and suggest ways to solve issues of data sharing and service compatibility. To this end, we propose a "Deep Learning City Framework" that incorporates the deep learning technology into smart city services, and propose a new smart city strategy that safely shares spatial and temporal data in cities and converges learning data of various cities.

지역건축탐방(15) - 신도시(상)

  • Dong, Jeong-Geun
    • Korean Architects
    • /
    • no.12 s.368
    • /
    • pp.61-78
    • /
    • 1999
  • 신도시는 수도권 주택문제 해결을 위하여 1980년대부터 건설되어 왔다. 행정기관의 분산정책과 함께 개발된 과천 신도시와, 주택 200만호 건설을 위하여 급조된 분당, 일산 등 신도시들이 건설되면서 건설업계는 한동안 호황과 함께 자재, 인력 부족이라는 몸살을 앓기도 하였다. 고층 고밀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구성된 신도시는 주택 보급률 향상에는 도움을 주었지만 주거의 질에 대한 문제의 심각성을 부각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가장 빠른 기간에 거대한 신도시 건설은 세계 도시사에 신기록으로 남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건설배경이나 건설과정의 어려움을 잊고 이제는 위성도시로 자리잡아 가면서 나름대로의 지역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대부분 수도권에 위치한 신도시의 주민은 수도권 주변에서 떠돌다 모여들었고, 서울을 생활기반으로 삼고 있다. 낯선 곳에 낯선 사람들이 모여 새로운 도시설계 기법으로 설계된 낯선 도시에서 만나 살아가는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새로운 도시 문화를 구축하고 있다. 그들은 급변하는 우리 현실에서 신도시에 대한 적용을 어떻게 하고 있는가? 신도시, 그곳에도 지역성은 있는가? 각 지역별로 새롭게 형성된 신 문화지형은 어떠한 모습으로 형성되고 있는가? 그리고 그곳에서 새롭게 자라나고 있는 도시건축문화는 무엇인가? 라는 의문은 건설 후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 건설이 완성될 때까지, 또 계속 팽창되어 가는 신도시에 던져질 화두이다. 지역건축탐방은 인천을 시작으로 전국을 돌아 이제 신도시와 북한 편으로 마감을 하게 되었다. 이 연제를 계기로 지역건축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고조되었고, 또 지역건축에 관심이 있었던 건축사(가)나 학자들의 모임이 활성화 되기도 하였다. 지역성에 대한 문제는 지역주민의 꾸준한 관심에서 출발되고 그 지역을 만들어나가는 건축사(가)들의 의식속에서 자라나게 된다. 또한 지역건축의 활성화는 지역문화형성의 밑거름이 되고 나아가 우리문화의 원천이 될 것이다. 지역성에 대한 문제는 앞으로 더욱 논의가 되어야할 영원한 과제이다. 신도시 편은 이번호에 상편을 싣고, 하편은 2000년 2월호에 게제될 예정이다.

  • PDF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urban inundation and the impact analysis of the flood barrier using high-resolution urban flood modeling (고해상도 도시침수 모형을 이용한 침수원인 분석 및 침수방어벽 효과 분석)

  • Kim, Bo Mi;Noh, Seong Jin;Lee, Se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88-188
    • /
    • 2022
  •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홍수로 인한 피해 발생 빈도와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인구 및 사회기반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도시에서 침수가 발생할 경우 피해 규모가 막대하여 사전에 침수를 예측하고 원인을 분석하여 예방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물리 기반 도시 침수 모형인 H12 모형을 이용하여 과거 침수 사상을 재현하고 발생 원인을 분석하였다. 대전광역시 서구 A 아파트 인근의 도시 유역에서는 2020년 7월 30일 새벽 발생한 집중호우로 차량 78대와 아파트 2개 동이 침수되고, 사망 1명, 이재민 56명의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고해상도 도시침수 모의를 통해 재해 발생 원인을 분석한 결과, 좁고 긴 유역의 형상과 유역 하류에 위치한 침수 발생 지역의 낮은 지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폭우로 인해 상류로부터 급속히 발생한 유출이 배수가 취약한 하류 저지대에 저류되며 발생한 내수침수 재해로 분석되었다. 또한, 침수 재해 발생 이후 설치된 침수방어벽의 홍수 방어 효과를 고해상도 모의를 통해 분석하였다. 침수방어벽 지점에 고해상도 지표면 입력자료를 수정하여 모의한 결과, 침수방어벽 설치 후 침수 지역 수심이 낮아진 것을 확인하여 침수 저감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해상도 물리기반 모형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침수 원인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침수지역의 배수구용량 산정 등 침수 대안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The Demand Estimation Studie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econd Convention Center in Busan : With the emphasis on time series analysis and Huff model (부산광역시 제2전시컨벤션센터 건립을 위한 수요예측연구 - 시계열분석과 Huff모형을 중심으로 -)

  • Oh, Chang-Ho;Ha, Seuong-Bum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6 no.3
    • /
    • pp.185-202
    • /
    • 2017
  • This study suggests the estimation of the demand for the exhibition center in Busan and to valid reason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2nd Convention Center in Busan. The validity for the estimated demand is acquired by examining the studie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The qualitative data for the phased establishment of the area is suggested in accordance to the results of the demand estimation. From previous study(Oh, 2017), Kangseo-gu, Busan has been evaluated to be the final candidate for building a new convention center in the city of Busan. The potential synergy effects of on-going developmental projects in Kangseo region is one of th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MICE professionals' opinion in the qualitative analysis. Moreover, the region has available land to hold the facility of more than 100,000 square meter to overcome the current drawback of BEXCO, insufficient space to hold large events. Lastly, the expansion of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would bring an increased international flights that would also lead to an increase in MICE industry for the region. The virtual effect of the more than one million $m^2$-sized oconvention center is examined via Huff Model and the results suggests a logical estimated data for further demand needed for the south east regions, not just within the city of Busan.

  • PDF

The Study on Master Plan for the Water Circulation system of Urban (도시 물순환시스템 구축 방안에 대한 연구)

  • Lee, Bae-Sung;Lee, Seung-Hee;Kim, Ji-Ho;Park, Tak-Jun;Oh, Kyu-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05-409
    • /
    • 2008
  • 우리나라의 도시는 리우선언이후 지속가능한 개발 원칙아래 친수와 생태를 모티브로 하여 급격히 변화되어 개발되어 가고 있다. 파주운정신도시는 국내최초 물순환시스템, 광교신도시는 2개의 기존 저류지를 활용한 물순환시스템, 인천청라지구는 녹지공간에 운하를 만드는 운하도시, 김포신도시는 대수로를 활용한 운하도시, 강서지구는 한강과 연결되는 친수도시로 진행중이다. 이러한 개발에는 지속가능한 수량확보와 수질보전이 선결되어야 하므로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물을 다스릴 수 있는 도시로 변화함에 따라 치수적으로 안전할 뿐 만 아니라, 각종 재난으로 부터도 안전한 U-city로 진행되고 있다. 국외의 경우 미국의 샌안토니오 등이 도시내 운하를 건설하여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고, 독일의 크론스베르크가 지구 전체에 우수저류 및 침투시설을 도입하였으며, 일본 동경이 새로운 운하프로젝트를 수행중이다. 또한 홍콩이 세계최대의 습지공원을 신도시와 병행하여 건설하였고, 싱가폴에서는 아시아 최대의 담수화 공장을 건설중이며, 뉴워터(Newater) 프로젝트로 물을 재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 외 사례가 물순환시스템을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물순환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념을 다양한 선진사례 등을 토대로 검토하고, 현재 진행중인 국내 도시들을 토대로 정리하여, 물순환시스템의 체제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연구를 통해 향후 국내 지자체들의 도시재개발과 신도시개발, 국외 도시개발시 물순환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물순환과 관련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